같다에서 = 두번 쓰는 이유는
= 한번 쓰는 것은 할당을 의미
ex) a = 3
a는 3이라는 말이 아니라
a에 3을 대입한다는 의미
a == 3
a는 3이다.
a != 3
a는 3이 아니다.
비교 연산자 사용시 값을 반환하는데 반환값은 항상
불린형인 true, false로 반환
동등연산자의 경우 예상치 못한 상황 발생 가능
ex) const a = 1
const b = "1";
console.log(a == b); // true
이를 방지 하기 위해 일치연산자 사용
ex) const a = 1
const b = "1";
console.log(a === b); // false
형태까지 비교해 준다if뒤의 ()값은 항상 불린형으로 반환 뒤 판단 됨 값이 true일 때 작동
if 값이 false일 때 그 다음 조건문으로 값이 true일 때 작동
if문 반환값이 false일 때 작동
ex)
const age = 19
if(age > 19){
console.log('환영합니다');
} else if {
console.log('수능잘치세요');
} else {
console.log('안녕히가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