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8 - 151 정리

박준수·2022년 7월 18일
0

자바 데이터 타입 : [기본타입] / [참조타입]

[기본타입] :

정수타입 - byte, char, short, int, long
실수타입 - float(소수), double(소수)
논리타입 - boolean

[참조타입] :

배열타입 / 열거타입 / 클래스 / 인터페이스

  • 기본과 참조타입 차이는 저장되는 값이 '실제값' or '번지값'. 실제값=기본타입, 번지값=참조타입

[자바의 메모리 영역]

자바 메모리영역 : 메소드 / 힙 / 스택

  • 스택영역 : if에서 중괄호 {}처럼 해당 공간 안에 있어야 한다는 의미.

  • ==는 true, !=는 false

  • 참조타입은 값을 안가질 때 null 사용.

  • String 사용시 큰따옴표 붙임.

  • new연산자는 힙영역에 새로운 객체를 생성.
    String name = "신용권" 과 new String("신용권")은 다름.

-동일한 객체인지 확인하는 매소드는 equals

  • 취합할 데이터 많아지면 코딩 분량 많아지고 어려워지기에 배열을 사용. score[숫자]. 그리고 for문으로 숫자 계속 늘려서 배열 생성하는 방식.
    -int는 int값만 받고 String은 String값만 받음. 둘이 다르게 받으면 오류 뜸.
  • 한번 생성된 배열은 길이 늘이거나 줄이기 불가.
profile
FrontofFrontEnd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