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처기 실기: 20년 기출 용어

m_ngyeong·2025년 4월 11일
0
post-thumbnail

정보처리기사 실기


20년 기출

4회차


🖍️ 즉시갱신 회복 기법

데이터베이스의 회복(Recovery) 기법 중 Rollback 시 Redo, Undo가 모두 실행되는 트랜잭션 처리법으로 트랜잭션 수행 중 갱신 결과를 바로 DB에 반영하는 기법이다.

🖍️ 스니핑(Sniffing)

네트워크상에 존재하는 트래픽을 훔쳐보는 행위로, 주로 자신이 수신해야 하는 정보가 아닌 정보를 받도록 조작하는 행위이다.

🖍️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IP 패킷에서 외부의 공인 IP주소와 포트 주소에 해당하는 내부 IP주소를 재기록하여 라우터를 통해 네트워크 트래픽을 주고받는 기술이다.

🖍️ 블록체인

분산 컴퓨팅 기술 기반의 데이터 위변조 방지 기술로 P2P방식을 기반으로 하여 소규모 데이터들이 연결되어 형성된 '블록'이라는 분산 데이터 저장 환경에 관리 대상 데이터를 저장함으로써 누구도 임의로 수정할 수 없고 누구나 변경의 결과를 열람할 수 있게끔 만드는 기술이다.

🖍️ 하둡(Hadoop)

오픈 소스 기반으로 한 분산 컴퓨팅 플랫폼으로, 일반 PC급 컴퓨터들로 가상화된 대형 스토리지를 형성하고 그 안에 보관된 거대한 데이터 세트를 병렬로 처리할 수 있도록 개발된 자바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로 구글, 야후 등에 적용한 기술이다.

🖍️ 프로세스 상태 전의도

🖍️ 샘플링 오라클

테스트 오라클 중 특정한 몇 개의 입력값에 대해서만 기대하는 결과를 제공해주는 오라클이다.

🖍️ 유닉스(UNIX)

데니스 리치와 켄톰슨 등이 함께 벨 연구소를 통해 만든 운영체제이며, 90% 이상 C언어로 구현되어 있고, 시스템 프로그램이 모듈화되어 있어서 다른 하드웨어 기종으로 쉽게 이식 가능하며 계층적 트리 구조를 가짐으로써 통합적인 파일 관리가 용이한 운영체제이다.

🖍️ 가용성(Availability)

정보 보안의 3요소 중 하나로, 인가된 사용자는 원할 때 정보에 접근이 가능해야 한다.

3회차


🖍️ ICMP

( )은/는 TCP/IP에서 신뢰성 없는 IP를 대신하여 송신측으로 네트워크의 IP 상태 및 에러 메시지를 전달해주는 프로토콜이다.

🖍️ 프로토콜

심리학자 톰 마릴은 컴퓨터가 메시지를 전달하고 메시지가 제대로 도착했는지 확인하며 도착하지 않았을 경우 메시지를 재전송하는 일련의 방법을 '기술적 은어'를 뜻하는 ( )이라는 용어로 정의했다.

🖍️ ÷

릴레이션 A, B가 있을 때 릴레이션 B 조건에 맞는 것들만 릴레이션 A에서 튜플을 꺼내 프로젝션하는 관계대수의 기호이다.

🖍️ 헝가리안 표기법(Hungarian Notation)

식별자 표기 시 접두어에 자료형을 붙이는 표기법이다.

🖍️ 데이터베이스에서 스키마(Schema)

데이터베이스의 전체적인 구조와 제약조건에 대한 명세로, 내부 스키마와 개념 스키마, 외부 스키마로 나뉜다.

🖍️ EAI 유형

  • 포인트 투 포인트(Point-to-point)
  • 허브 앤 스포크(Hub & Spoke)
  • 메세지 버스(Message bus) 유형
  • 하이브리드(Hybrid) 유형

🖍️ 생성자

해당 클래스의 객체가 생성될 때 자동으로 호출되는 특수한 종류의 메서드이다.

2회차


🖍️ 목표 복구 시간(RTO; Recovery Time Objective)

🖍️ IPSec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 3계층)인 인터넷 프로토콜(IP)에서 '암호화', '인증', '키 관리'를 통해 보완성을 제공해 주는 표준화된 기술이다.

🖍️ Observer

한 객체의 상태가 바뀌면 그 객체에 의존하는 다른 객체들한테 연락이 가고 자동으로 내용이 갱신되는 방식으로 일대다(one-to-many) 의존성을 가지는 패턴이다.
서로 상호작용을 하는 객체 사이에서는 가능하면 느슨하게 결합(Loose coupling)하는 디자인을 사용해야 한다.

🖍️ SOAP

( )은/는 HTTP 등의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XML 기반의 메시지를 교환하는 프로토콜로, Envelope-Header-Body 주요 3요소로 구성된다. ( )은/는 유사한 기능을 하는 RESTful로 대체될 수 있다.

🖍️ Linked Open Data

  • 전세계 오픈된 정보를 하나로 묶는 방식
  • Linked data와 Open data의 합성어
  •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를 사용
  • RESTful 방식으로 볼 수 있으며, 링크 기능이 강조된 시멘틱 웹에 속하는 기술

🖍️ 개념절 설계 → 논리적 설계 → 물리적 설계

DB 설계(모델링) 과정: 요구사항 분석 → 개념절 설계 → 논리적 설계 → 물리적 설계 → 구현

🖍️ 형상 관리

CVS, SVN, Clear Case 등이 있다.

1회차


🖍️ 구문, 의미, 타이밍

프로토콜을 구성하는 대표적인 세가지 요소

🖍️ 원자성, 일관성, 독립성, 지속성

데이터베이스 트랜잭션의 4가지 속성

🖍️ 랜드 어택(Land Attack)

패킷의 출발지 주소(Address)나 포트(Port)를 임의로 변경하여 출발지와 목적지 주소[포트]를 통일하게 함으로써, 공격 대상 컴퓨터의 실행 속도를 느리게 하거나 동작을 마비시켜 서비스 거부 상태에 빠지도록 하는 공격이다.

🖍️ 물리 계층

OSI 7계층에서 ( )는 전송에 필요한 두 장치 간의 실제 접속과 절단 등 기계적, 전기적, 기능적, 절차적 특성에 대한 규칙을 정의한다. 단위(PDU)는 '비트'를 사용한다.

🖍️ 처리량, 응답 시간, 경과 시간, 자원 사용률

애플리케이션 성능을 측정

profile
ʚȉɞ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