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처기 실기 : 2022년 2회차 기출, 1️⃣6️⃣~2️⃣0️⃣

m_ngyeong·2024년 4월 24일
0
post-thumbnail

정보처리기사 실기


📝 2022년 2회차 기출, 1️⃣6️⃣~2️⃣0️⃣

16. C Lang. - pointer

#include <stdio.h>

void main() {
    int a[4] = {0, 2, 4, 8};
    int b[3] ;
    int* p;
    int sum = 0;
 
    for (int i=1; i < 4; i++) {
        p = a + i;
        b[i-1] = *p - a[i-1];
        sum = sum + b[i-1] + a[i];
    }
    printf("%d", sum);
}

🖍 22
p = {2,4,8} / b = {2, 2, 4}
1️⃣ i = 1 ➡️ p = &(a+1) = &a[1], b[0] = 2 - a[0] = 2, sum = 0 + b[0] + a[1] = 0 + 2 + 2 = 4, ∴ sum = 4
2️⃣ i = 2 ➡️ p = &(a+2) = &a[2], b[1] = 4 - a[1] = 4 - 2 = 2, sum = 4 + b[1] + a[2] = 4 + 2 + 4 = 10, ∴ sum = 10
3️⃣ i = 3 ➡️ p = &(a+3) = &a[3], b[2] = 8 - a[2] = 8 - 4 = 4, sum = 10 + b[2] + a[3] = 10 + 4 + 8 = 22, ∴ sum = 22

17. Java Lang. - 클래스와 메서드를 활용

class HelloWorld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cond obj = new cond(3); // 1️⃣
        obj.a = 5; 				// 2️⃣
        int b = obj.func();		// 3️⃣
        System.out.print(obj.a + b); // 4️⃣
    }
}

class cond{ // class cond 정의.
    int a;
    public cond(int a){ // 5️⃣
        this.a = a;
    }
    public int func(){ // 6️⃣
        int b = 1;
        for (int i=1; i<a; i++){
            b += a * i;
        }
        return a + b;
    }
}

🖍 61
1️⃣ cond obj = new cond(3); : obj라는 객체를 생성하면서 a = 3으로 초기화됨. 즉, obj.a == 3
• this : 현재의 실행중인 메소드가 속한 클래스를 가리키는 예약어
2️⃣ obj.a = 5; : 생성자에서 3으로 세팅됐던 a 값을 다시 5로 덮어씀. 이제 obj.a == 5
3️⃣ int b = obj.func(); : obj.func() 호출 → 이제 a = 5로 계산됨
• func() 메소드에서 별도로 생성한 'a'라는 변수가 없으므로 cond 클래스의 'a'를 가져와 사용
a = 5 → for문은 i = 1 to 4까지:
b = 1 + (5 ∗ 1) + (5 ∗ 2) + (5 ∗ 3) + (5 ∗ 4) = 1 + 5 + 10 + 15 + 20 = 51
return a + b = 5 + 51 = 56b = 56
4️⃣ obj.a + b = 5 + 56 = 61

18. Functional Dependency(다함수적 종속)

(단, 테이블 <R>의 속성 '학생'과 '학과'의 밑줄은 키임을 의미한다.)
<R>

  • 테이블 <R>에서 '성적'은 기본키인 {학생, 학과}에 대해 ( ① ) Functional Dependency이다.
  • 테이블 <R>에서 '학년'은 기본키인 {학생, 학과} 중 '학생'만으로 식별이 가능하므로 기본키에 대해 ( ② ) Functional Dependency이다.
  • 임의의 테이블 속성 A, B, C가 있을 대, A→B, B→C일 때, A→C인 관계는 ( ③ ) Functional Dependency이다.

🖍 ① Full, ② Partial, ③Transitive

  • 함수적 종속(Functional Dependency) : 어떤 테이블 R에서 X와 Y를 각각 R의 속성 집합의 부분집합이라 하면, 속성 X의 값 각각에 대해 시간에 관예없이 항상 속성 Y의 값이 오직 하나만 연관되어 있을 때 Y는 X에 함수적 종속 또는 X가 Y를 함수적으로 결정한다고 하며, X → Y 로 표기

19. Internet

인터넷이란 TCP/I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여 전 세계 수많은 컴퓨터와 네트워크들이 연결된 광범위한 컴퓨터 통신망이다.
( ① ) : WWW에서 HTML 문서를 송수신 하기 위한 표준 프로토콜로, GET과 POST 메소들를 통해 메시지를 주고 받는다.
( ② ) : 다른 문서나 그림으로 이동할 수 있는 연결을 가지고 있는 텍스트를 의미한다.
( ③ ) : 인터넷의 표준 문서인 하이퍼텍스트 문서를 만들기 위해 사용하는 언어이다.

🖍 ① HTTP, ② Hypertext, ③ HTML

20.

F의 팬인(Fan-In)과 팬아웃(Fan-Out)을 구하시오.

🖍

  • 팬인(Fan-In) : 3
  • 팬아웃(Fan-Out) : 2


참고,
길벗알앤디. 『정보처리기사 실기 단기완성』. 길벗. 2023.
https://newbt.kr/시험/정보처리기사%20실기/2022년%202회/흙기사

profile
ʚȉɞ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