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tilization of application Software Technology 2️⃣

m_ngyeong·2024년 7월 22일
0

정보처리기사 이론

목록 보기
21/36
post-thumbnail

Utilization of application Software Technology


Linux

Linux는 1991년 리누스 토발즈(Linus Torvalds)가 UNIX를 기반으로 개발한 운영체제이다. 프로그램 소스 코드가 무료로 공개되어 있기 깨문에 프로그래머가 원하는 기능을 추가할 수 있고, 다양한 플랫폼에 설치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UNIX / LINUX 기본 명령어

시스템 관련

  • cat : 파일 내용을 화면에 표시

파일 권한

  • chmod : 파일의 보호 모드를 설정하여 파일의 사용 허가를 지정하는 UNIX 명령어
  • chown : 파일 소유자와 그룹을 변경
  • find : 파일을 찾음

파일 처리

  • ls : 현재 디렉터리의 파일 목록 표시
  • pwd : 현재 작업중인 디렉토리 경로를 화면에 표시
  • cp : 파일을 복사
  • rm : 파일을 삭제
  • mv : 파일 이동
  • cd : 디렉터리의 위치를 변경
  • mkdir : 디렉터리 생성
  • rmdir : 디렉터리 삭제

프로세스

  • kill : PID(프로세스 고유 번호)를 이용하여 프로세스를 종료
  • fork : 새로운 프로세스 생성
  • ps : 현제 실행중인 프로세스를 표시

사용자

  • who : 현재 시스템에 접속해 있는 사용자를 표시

UNIX에서 파일의 권한(permission)을 10자리로 표현

- 1번째 : d(디렉토리) / -(파일)
- 2~4번째 : 소유자(Owner) 권한
- 5~7번째 : 그룹(Group) 권한
- 8~10번째 : 기타 사용자(Other) 권한
  • r(읽기), w(쓰기), x(실행), -(권한없음)
  • 권한 표현 방식을 8진수로 변경 :
    각 권한을 권한있음(1) / 권한없음(0)으로 변경 뒤 8진수로 변환

ex)
<처리 조건>

  • 사용자에게 읽기, 쓰기, 실행 권한을 부여한다.
  • 그룹에게 읽기, 쓰기 권한을 부여한다.
  • 기타 사용자에게 실행 권한을 부여한다.
  • 한 줄로 작성하고 8진법 숫자를 이용한 명령문을 이용한다.

1️⃣ rwx r-x --x
↓ ('-'는 0, 나머지는 1로 바꿈)
2️⃣ 111 101 001
↓ ('3자리 2진수를 8진수로 변환)
3️⃣ 7 5 1
∴ chmod 751 a.txt


Protocol

프로토콜은 서로 다른 기기들 간의 데이터 교환을 원할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표준화시켜 놓은 통신규약이다.

  • 1965년 심리학자 Tom Marill(톰 마릴)은 컴퓨터가 메시지를 전달하고, 메시지가 제대로 도착했는지 확인하며, 도착하지 않았을 경우 메시지를 재전송하는 일련의 밥업을 '기술적 은어'라는 뜻의 프로토콜로 정의한 바 있음

프로토콜의 기본 요소

  • 구문(Syntax) :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형식, 부호화, 신호 레벨 등을 규정함
  • 의미(Semantics) : 두 기기 간의 효율적이고 정확한 정보 전송을 위한 협조 사항과 오류 관리를 위한 제어 정보를 규정함
  • 시간(Timing) : 두 기기 간의 통신 속도, 메시지 순서 제어 등을 규정함

Packet Swtiching

패킷 교환 방식은 메시지를 일정한 길이의 패킷으로 잘라서 전송하는 방식이다.

  • 가상 회선 방식 : 연결한 통신에서 주로 사용되는 방식으로, 출발지와 목적지에 전송 경로를 미리 연결하여 논리적으로 고정하는 통신하는 방식
  • 데이터그램 방식 : 비연결형 통신에서 주로 사용되는 방식으로, 사전에 접속 절차를 수행하지 않고 헤더에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의 경로 지정을 위한 충분한 정보를 붙여서 개별적으로 전달하는 방식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네트워크 주소 변환은 한 개의 정식 IP 주소에 대량의 가상 사설 IP 주소를 할당 및 연결하는 기능이다.

  • 1개의 IP 주소를 사용해서 외부에 접속할 수 있는 노드는 어느 시점에서 1개만으로 제한되는 문제가 있으나, 이때는 IP 마스커레이드(Masquerade)를 이용하면 됨

RAID(Redundant Array of Independent Disk)

RAID는 2개 이상의 하드디스크로 디스크 배열를 구성하고, 파일을 구성하는 데이터 블록들을 서로 다른 디스크에 분산 저장하거나 다중화하는 저장 기술로, 구현된 기술에 따라 다음과 같이 Level(레벨)로 구분한다.

RAID 0

  • Striping(스트라이핑)이라고 불림
  • 디스크를 병렬로 연결하여 디스크의 개수만큼 용량과 속도가 배로 증가
  • 하나의 디스크만 손상되어도 전체 데이터가 파손됨

RAID 1

  • Mirroring(미러링)이라고 불림
  • 같은 데이터를 다른 디스크에 동일하게 복사하는 방식

RAID 2~4

  • 하나의 디스크에 오류 정정 부호를 비트(RAID 2)/바이트(RAID 3)/워드(RAID 4) 단위로 저장하고, 나머지 디스크는 RAID 0과 같이 활용하여 안정성을 높인 모드
  • 하나 디스크가 손상되어도 정상 과정이 가능하며, 최소 3개의 디스크가 필요

RAID 5

  • 오류 정정 부호를 즐록 단위로 여러 디스크에 분산 저장한 방식
  • 하나의 디스크가 손상되어서 정상 가동이 가능하며, 최소 3개의 디스크가 필요

RAID 6

  • RAID 5와 원리는 같으나 오류 정정 부호 2 개를 저장하는 방식
  • 두 개의 디스크가 손상되어도 정상 가동이 가능하며, 최소 4 개의 디스크가 필요

Locking(로킹)

로킹은 데이터베이스의 병행제어 기법 중 하나로, 접근한 데이터에 대해 연산을 모두 마칠 때까지 추가적인 접근을 제한함으로써 상호 배타적으로 접근하여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기법이다.



참고,
길벗알앤디. 『정보처리기사 실기 단기완성』. 길벗. 2023.

profile
ʚȉɞ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