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스트, 튜플, 문자열의 일부분을 잘라내서 가져올 수 있다.
원소 일부를 연속해서 또는 일정한 간격으로 꺼내 새로운 리스트/튜플/문자열 를(을) 만든다.
# List
fruits = ['apple', 'banana', 'cherry', 'orange', 'grape']
print(fruits[1:4]) # ['banana', 'cherry', 'orange'] (인덱스 1에서 4전까지)
print(fruits[-3:-1]) # ['cherry', 'orange'] (뒤에서 3번째부터 1번째 전까지)
print(fruits[::-1]) # ['grape', 'orange', 'cherry', 'banana', 'apple']
# Tuple
my_tuple = (10, 20, 30, 40, 50)
print(my_tuple[1:4]) # (20, 30, 40)
# String
str = "Hello My name is HelloKitty."
print(str[1:28:3]) # 'eoya lKt'
print(str[-11:]) # 'HelloKitty.'
s[:]
: s의 원소를 모두 출력s[:n]
: 맨 앞부터 n-1 번까지 출력s[n:]
: n 번째부터 끝까지 출력s[n:m]
: n 번째부터 m-1 번까지 출력s[-n:]
: 뒤에서 n-1번째부터 끝까지 출력s[::k]
: 맨 앞부터 k개씩 건너뛰며 출력s[::-1]
: 거꾸로 출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