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I(Open System Interconnection) 7계층
3️⃣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
네트워크 계층은 개방 시스템 간의 네트워크 연결을 관리하며, 경로 제어, 패킷 교환, 트래픽 제어 드으이 기능을 수행한다.
네트워크 계층의 프로토콜
-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 IP 네트워크상에서 IP주소를 MAC주소(물리 주소)로 변환하는 프로토콜, IP → MAC
- RARP(Reverse Address Resolution Protocol) : ARP와 반대로, 인터넷 환경에서의 호스트 상호 간 통신에서 연결된 네트워크 접송 장치의 MAC(물리적) 주소를 이용하여 IP 주소를 찾는 인터넷 계층의 프로토콜로, 역순 주소 결정 프로토콜이라고도 불림, MAC → IP
-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 IP와 조합하여 통신중에 발생하는 오류의 처리와 전송 경로의 변경등을 위한 제어 메세지를 취급하는 무연결 전송용 프로토콜로 Ping-of-Death에서 사용함
- IGPM(Internet Group Management Protocol) : 인터넷 그룹 관리 프로토콜은 호스트 컴퓨터와 인접 라우터가 멀티태스킹 그룹 멤버십을 구성하는 데 사용하는 통신 프로토콜
IP(Internet Protocol) Address
IP 주소는 인터넷에 연결된 모든 컴퓨터 자원을 구분하기 위한 고유한 주소이다.
IPv4(Internet Protocol version 4) :
- 8bit 씩 4부분, 총 32bit로 구성됨
- 네트워크 부분의 길이에 따라 A 클래스에서 E 클래스까지 총 5단계로 구성되어 있음
- Subnetting(서브네팅) :
- 할당된 네트워크 주소를 다시 여러 개의 작은 네트워크로 나누어 사용하는 것
- 4바이트의 IP 주소 중 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 주소를 구분하기 위한 비트를 서브넷 마스크(Subnet Mask)라고 하며, 이를 변경하여 네트워크 주소를 여러 개로 분할하여 사용
IPv6(Internet Protocol version 6) :
- 현재 사용하고 있는 IP 주소 체계인 IPv4의 주소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됨
- 16bit 씩 8부분, 총 128bit로 구성됨
- 각 부분을 16진수로 표현하고, 콜론(:)으로 구분함
- 인증성, 기밀성, 데이터 무결성의 지원으로 보안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
- IPv6의 주소 체계 :
- Unicast(유니캐스트) : 단일 송신자와 단일 수신자 간의 통신(1 대 1 통신)
- Multicast(멀티캐스트) : 단일 송신자와 다중 수신자 간의 통신(1 대 다 통신)
- Anycast(애니캐스트) : 단일 송신자와 가장 가까이 있는 단일 수신자 간의 통신(1 대 1 통신)
Routing Protocol (경로 제어 프로토콜)
경로 제어는 송 ∙ 수신 측 간의 전공 경로 중에서 최적 패킷 교환 경오를 결정하는 기능이다.
- 경로 제어는 경로 제어표를 참조해서 이우러지며, 라우터에 의해 수행 됨
- 대표적인 경로 제어 프로토콜 : IGP(RIP, OSPF), EGP(BGP)
IGP(Interior Gateway Protocol, 내부 게이트웨이 프로토콜) :
- 하나의 자율 시스템(AS) 라우팅에 사용되는 프로토콜
- RIP(Routing Information Protocol) :
-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는 라우팅 프로토콜로 거리 백터 라우팅 프로토콜이라고도 불림
- 최단 경로 탐색에 Bellman-Ford 알고리즘을 사용
- 소규모 동종의 네트워크(자율 시스템, AS) 내에서 효율적인 방법
- 네트워크 경로를 계산 할 때 홉 수(hop count)를 기준으로 최적 경로 선택 (홉 수는 라우터가 목적지까지 가는 데 거쳐야 하는 라우터의 수를 의미)
- (홉 수 동일하다면) 비용이 적은 경로
- 홉 수가 15를 넘기면 불가능한 경로로 판단
- OSPF(Open Shortest Path First protocol) :
- RIP의 단점을 해결하여 새로운 기능을 지원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 인터넷 망에서 이용자가 최단 경로를 선정할 수 있는 라우팅 정보에 조드 간의 거리 정보, 링크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최단 경로로 라우팅을 지원
- 대규모 네트워크에서 많이 사용
- 최단 경로 탐색에 Dijkstra(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을 사용
- 최단 경로 트리(SPT)를 생성하여 라우터는 자신을 루트로 설정하고 각 목적지까지의 비용을 계산.
- 가장 낮은 비용의 경로가 최단 경로
EGP(Exterior Gateway Protocol, 외부 게이트웨이 프로토콜) :
- 자율 시스템(AS) 간의 라우팅, 즉 게이트웨이 간의 라우팅에 사용되는 프로토콜
- BGP(Border Gateway Protocol) :
- 자율 시스템(AS) 간의 라우팅 프로토콜로, EGP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만들어진 프로토콜
- 초기에 BGP 라우터들이 연결되 때에는 전체 경로 제어표(라우팅 테이블)를 교환하고, 이후에는 변화된 정보만을 교환
참고,
길벗알앤디. 『정보처리기사 실기 단기완성』. 길벗. 2023.
NCS 정보처리기술사 연구회. 『수제비 2023 정보처리기사 실기』. 건기원.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