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S Deep Dive] 15장. let, const 키워드와 블록 레벨 스코프

lyshine·2023년 4월 6일
0

JS Deep Dive 정리

목록 보기
12/18

var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의 문제점

1. 변수 중복 선언 허용

  • var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는 중복 선언이 가능하다.
    • 이미 선언되어 있는 것을 모르고 중복 선언한다면 의도치 않게 먼저 선언된 변수 값이 변경되는 부작용 발생

2. 함수 레벨 스코프

  • var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는 오로지 함수의 코드 블록만을 지역 스코프로 인정한다.
    • 함수 외부에서 var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는 코드 블록 내에서 선언해도 모두 전역 변수가 된다.
var x = 1;
if(true) {
	//x는 전역 변수다.
	var x = 10;
}
console.log(x);//10
  • 따라서 함수 레벨 스코프는 전역 변수를 남발한 가능성이 높아진다.

3. 변수 호이스팅

  • var 키워드로 변수를 선언하면 변수 호이스팅에 의해 변수 선언문이 소코프의 선두로 끌어 올려진 것 처럼 동작한다.
    • 변수 선언문 이전에 참조 가능(이때는 undefined 반환)
console.log(foo);//undefined
foo =123;
console.log(foo);//123
var foo;
  • 이러한 호이스팅은 가독성을 떨어뜨리고 오류를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let 키워드

es6에서는 var 키워드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let과 const 변수를 도입했다.

1. 변수 중복 선언 금지

  • let 키워드는 이름이 같은 변수를 중복 선언시 에러가 발생한다.

2. 블록 레벨 스코프

  • let 변수는 모든 코드 블록(함수, if, for, while, try/catch문 등)을 지역 스코프로 인정하는 블록 레벨 스코프를 따른다.
let foo = 1;
{
	let foo =2;
	let bar =3;
}
console.log(foo);//1
console.log(bar);//ReferenceError: bar is not defined

3. 변수 호이스팅

  • var 과 달리 let 은 변수 호이스팅이 발생하지 않는 것 처럼 동작하낟.
console.log(foo); //ReferenceError: foo is not defined
let foo;
  • let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는 “선언 단계”와 “초기화 단계”가 분리되어 진행된다.
    • 런타임 이전, 선언 단계 먼저 실행
    • 런타임 변수 선언문에 도달했을때, 초기화 단계 실행
  • 초기화 단계 이전에 변수에 접근시 참조에러가 발생한다.
  • 스코프의 시작 지머부터 초기화 단계 시작 지점(변수선언문)까지 변수를 참조 할 수 없다. 이 구간을 “일시적 사각지대(Temporal Dead Zone : TDZ)라고 한다.
  • let은 호이스팅이 발생하지 않는것 처럼 보이지만 그렇지 않다.(호이스팅 발생되긴 함)
let foo = 1; //전역 변수
{
	console.log(foo);// ReferenceError : Cannot access 'foo' before initialization
	let foo = 2; //지역 변수
}
//호이스팅이 발생하지 않는다면 전역 변수 foo를 출력해야하지만 그렇지 않다.

4. 전역 객체와 let

  • let 키워드로 선언한 전역 변수는 전역 객체의 프로퍼티가 아니다. (var 키워드로 선언한 전역 변수는 전역 객체의 프로퍼티이다.) 즉, window.변수명 으로 접근할 수 없다.
  • let 전역 변수는 보이지 않는 개념적인 블록(전역 렉시컬 환경의 선언적 환경 레코드) 내에 존재하게 된다.

const 키워드

  • const 키워드는 상수를 선언하기 위해 사용한다. (하지만 반드시 상수만을 위해 사용하지는 않는다.)

1. 선언과 초기화

  • const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는 반드시 선언과 동시에 초기화해야 한다.
const foo = 1;
const foo; //SyntaxError: Missing initializer in const declaration
  • let 변수와 마찬가지로 블록 레블 스코프를 가진다.
  • let 변수와 마찬가지로 변수 호이스팅이 발생하지 않는 것처럼 동작한다.

2. 재할당 금지

  • const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는 재할당이 금지된다.
const foo = 1;
foo = 2; //TypeError: Assignment to constant variable

3. 상수

  • const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에 원시값을 할당한 경우 변수 값을 변경할 수 없다. (원시값은 재할당 없이 값을 변경할 수 없기 때문)
  • 변수의 상대 개념인 상수는 재할당이 금지된 변수를 말한다.
  • 상수는 상태 유지, 가독성, 유지보수의 편의를 위해 적극적으로 사용해야 한다.

4. const 키워드와 객체

  • const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에 객체를 할당한 경우에는 값을 변경할 수 있다. (객체는 재할당 없이도 변경 가능한 값이기 때문)
  • const 키워드는 재할당을 금지할 뿐 불변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 프로퍼티 동적 생성, 삭제, 프로퍼티 값 변경 가능. 객체가 변경되도 변수에 할당된 참조값은 그대로이다.
const person = {
	name : 'Lee'
};

person.name = 'Kim';
console.log(person); //{name: "Kim"}

var vs. let vs. const

변수 선언에는 기본적으로 const를 사용한다. (재할당이 필요없는 상수)

  • let은 재할당이 필요한 경우에 한정해 사용하는 것이 좋다.
  • ES6를 사용한다면 var 키워드는 사용하지 않는다.
  • 일단 const를 사용하고 재할당이 필요할때 let 키워드로 변경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