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수와 변수

Mia Lee·2021년 11월 1일
0

JAVA

목록 보기
1/98

package comment;

public class Ex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 주석(Comment)

	 * - 비실행문 => 자바에 의해 실행되어 지지 않는 문장

	 * - 프로그램에서 프로그램의 용도나 각 코드들의 특징(추가 설명) 등을 기술하는 용도로 사용

	 * - 한 줄 주석(단일 주석), 여러 줄 주석(범위 주석), JavaDoc 주석으로 구분됨

	 * 

	 * 1. 단일 주석(= 한 줄 주석)  //

	 * - 특정 코드 한 줄을 주석으로 처리

	 *   (단일 주석이 적용된 부분 뒷쪽의 한 줄 전체를 주석으로 처리)

	 * - 주석으로 처리할 코드의 앞쪽(왼쪽)에서 // 기호를 사용

	 * - 단축키 : 주석 처리할 코드의 아무 위치에나 커서를 두고 Ctrl + Shift + C 또는 Ctrl + /

	 *   => 해제 단축키도 동일함

	 * - 주로, 실행대상 코드 중 특정 라인을 실행 대상에서 제외하거나

	 *   특정 코드에 대한 간단한 설명을 작성하는 용도로 많이 사용함

	 * - 또한, 주석을 지정할 범위의 코드를 대략적으로 블럭 지정 후 주석 처리 시

	 *   범위 주석 대신 사용도 가능함

	 *   

	 * 2. 범위 주석(= 여러 줄 주석) /* 이 부분이 주석 처리되는 부분 */

	/* - 특정 범위 내의 코드 전체를 주석으로 처리

	 * - 주석으로 처리할 시작부분의 앞쪽에 다음 기호를 사용하고 /*

	 *   주석으로 처리할 마지막부분의 뒷쪽에 다음 기호를 사용 */ 

	/* - 코드를 주석처리하는 것 외에 장문의 설명을 작성하는 용도로도 많이 사용함

	 * 

	 * 3. JavaDoc 주석

	 * - 자바 클래스 내의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서를 만드는데 사용되는 주석

	 * - 범위 주석과 달리 시작 부분이 /* 대신 /** 형태로 바뀜

	 */

	

	

	/*

	 * 이 부분은 범위 주석 내이므로 실행되지 않는 부분이며

	 * 프로그램의 전체 설명등을 작성하는 용도로 사용함

	 */

	

	/**

	 * 이 부분은 JavaDoc 주석 내이므로 실행되지 않는 부분이며

	 * 프로그램의 설명서를 작성하는데 사용하는 주석

	 */

	

	// 1 ~ 10 까지 출력

	System.out.println(1); // 정수 1을 화면에 출력하는 코드

	System.out.println(2);

	System.out.println(3);

	System.out.println(4);

	System.out.println(5);

	System.out.println(6);

	System.out.println(7);

	System.out.println(8);

	System.out.println(9);

	System.out.println(10);

	

	

}

}

package literal;

public class Ex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 상수(Constant) vs 변수(Variable)

	 * 1. 상수 : 변하지 않는 데이터

	 *    => 자바에서 사용되는 실제 데이터는 리터럴(Literal) 이라고 함

	 *    ex) 정수형 리터럴 : 1, 10, 100L 등

	 *        실수형 리터럴 : 3.14, 1.5f 등

	 *        문자형 리터럴 : 'A'

	 *        문자열형 리터럴 : "홍길동"

	 *        논리형 리터럴 : true, false

	 * 

	 * 2. 변수 : 변하는 데이터

	 */

	

	// 기본형 리터럴

	// 1. 정수형 리터럴(소수점이 없는 수치 데이터)

	System.out.println(1); // 정수형 리터럴 1 을 화면에 출력 

	System.out.println(100);

	System.out.println(2147483647);

// System.out.println(2147483648); // 자바에서 기본적인 정수 리터럴은 2147483647 을 초과할 수 없음

	// 2. 실수형 리터럴(소수점이 있는 수치 데이터)

	// => 실수 데이터 중 소수점 18번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소수점 17자리로 표기

	System.out.println(3.14);

	System.out.println(0.12345678901234567890);

	

	// 3. 문자형 리터럴(1개의 문자 데이터를 작은따옴표('') 사이에 명시)

	System.out.println('A'); // 대문자 A 를 화면에 출력

	System.out.println('1'); // 문자데이터 1 을 화면에 출력(정수 1과는 다른 데이터)

// System.out.println('이연태'); // 오류 발생! 작은따옴표 사이에는 반드시 1개 문자만 허용

	// 4. 논리형 리터럴(자바에서 논리 데이터 표현 방식인 true 또는 false 만 사용)

	System.out.println(true);

	System.out.println(false);

	

	

	// 확장형 리터럴

	// 1. long 형 리터럴(정수 데이터 뒤에 접미사 L 을 붙여서 표현 => 소문자는 혼동으로 인해 사용하지 X)

	// => 기본 정수형 리터럴보다 더 큰 범위의 정수를 표현 가능

	System.out.println(100L);

	System.out.println(2147483648L); // 2147483648 은 오류가 발생하지만 접미사 L 붙이면 오류 X

	

	// 2. float 형 리터럴(실수 데이터 뒤에 접미사 f 또는 F 를 붙여서 표현)

	// => 실수데이터의 소수점 9번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8자리로 표기

	System.out.println(3.14f);

	System.out.println(0.12345678901234567890f);

	

	// 3. 문자열형 리터럴(0개 이상의 문자 데이터를 큰따옴표("") 사이에 명시)

	System.out.println("이연태"); // 복수개의 문자 데이터 사용 가능

	System.out.println(""); // 큰따옴표 사이에 아무런 문자를 명시하지 않아도 사용 가능함

	

}

}

package variable;

public class Ex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 상수(Constant) vs 변수(Variable)

	 * 1. 상수 : 변하지 않는 데이터

	 * 2. 변수(Variable)

	 * - 자바에서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공간

	 * - 한 번에 하나의 데이터만 저장 가능

	 *   => 언제든 다른 데이터로 대체될 수 있다(= 변할 수 있다)

	 * - 변수 사용을 위해서는 먼저 변수 선언이 진행되어야 함

	 * - 변수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을 변수 초기화라고 함

	 * 

	 * < 변수 선언 기본 문법 >

	 * 데이터타입 변수명;

	 * => 데이터타입 : 기본형 또는 참조형에 해당하는 타입명을 명시

	 * => 변수명 : 식별자 작성 규칙에 따른 변수명 지정

	 * 

	 * < 변수 초기화 기본 문법 >

	 * 변수명 = 데이터;

	 * => 우변의 데이터를 좌변의 변수에 저장(= 대입 = 초기화)

	 */

	

	// 변수 선언

	int num; // 정수형(int)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공간을 마련하면서

	// 해당 공간의 이름을 num 이라고 지정

	// => 앞으로 해당 메모리 공간은 num 이라는 이름으로 접근이 가능함

	// => 단, 변수 선언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변수에 접근이 불가능(데이터 저장 등 불가)

	

	// 정수형 변수 num 에 정수 데이터(= 리터럴) 1을 저장(= 초기화)

	num = 1;

	// => 만약, 변수 num 을 선언하는 과정이 없을 경우 오류 발생하므로 선언 필수!

	//    (num cannot be resolved to a variable)

	

	System.out.println(num); // 정수형 변수 num 에 저장된 데이터(정수 1)를 꺼내서 출력

	// => 만약, 변수 num 을 초기화하는 과정이 없을 경우 오류 발생하므로 사용 전 초기화 필수!

	//    (The local variable num may not have been initialized)

	

	// 기존에 선언된 정수형 변수 num 에 새로운 값인 99 를 저장(초기화)

	num = 99; // 기존 변수 num 에 저장된 정수 1 은 제거되고, 새로운 정수 99 가 저장됨

	System.out.println(num); // 새로운 정수 99 가 출력됨

	

	// -----------------------

	// int형 변수 num2 를 선언(주의! 이미 선언된 변수 num 과 같은 이름은 사용 불가!)

	int num2;

	

	// num2 변수에 정수 100 을 저장(= 초기화)

	num2 = 100;

	

	// num2 변수에 저장된 정수를 출력

	System.out.println(num2);

	

	

}

}

package variable;

public class Ex2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 자바의 기본 데이터타입(= 기본형 = Primitive Type)

	 * - 메모리의 효율적인 사용을 위해 용도별, 크기별로 분류해 놓은 타입

	 * - 자바에서 기본 데이터타입은 총 8가지로 분류됨

	 *   (데이터 종류에 따라 정수형, 실수형, 문자형, 논리형으로 분류하며, 각 종류별 크기가 별도로 구분됨)

	 * - 참고로, 기본 데이터타입 8가지를 제외한 나머지를 참조 데이터타입(= 참조형 = Reference Type)이라고 함

	 * 

	 * ===============================================================================

	 *              1Byte         2Byte         4Byte        8Byte

	 * ===============================================================================

	 * 1. 정수형    byte          short         int          long

	 * 2. 실수형                                float        double

	 * 3. 문자형                  char

	 * 4. 논리형    boolean

	 */	 * 정수형 데이터 타입 변수에 저장 가능한 정수 범위 : -2^(n-1) ~ 2^(n-1)-1
	 * => n: 메모리 크기 (bit)
	 * 실수형은 정수 타입보다 큰 표현이 가능하다. 
	 * 
	 * 
	 */
	
// 정수형 표현 범위
	byte b = 127;// byte type 변수 b에 정수 127 저장
	System.out.println(b);
	
	//byte 타입 변수 b에 새로운 변수 128 저장
	//b=128; 오류 발생 byte 타입에 저장 가능한 정수는 -128~ +127까지
	short s= 128;
	System.out.println(s);
	
	//s = 32768;// 오류 발생 short 타입에 저장 가능한 정수 - 32768 ~ + 32767 까지 
	
	int i = 32768;
	System.out.println(i);
	
	//i = 2147483648; // 오류 발생 정수형의 기본 타입은 int 형이며, int 형의 표현 가능 범위는 약 21억이다.
	// 따라서, 기본 형태로 표현 가능한 정수 자체의 범위가 21억으로 한정되어 있음
	// = > int형으로 표현 불가능한 정수는 long 타입으로 표현해야함
	// long타입 숫자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숫자 뒤에 접미사 L을 붙여주면 됨

	
	long l = 2147483648L;
	

System.out.println(l);

	//float타입 실수를 표현하는 경우 (접미사 f를 사용해줌)
	float f = 3.14f;
	
	double d = 3.14;
	
	System.out.println(f);
	System.out.println(d);
}

}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