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버네티스(Kubernetes)
- 쿠버네티스(Kubernetes)는 컨테이너화된 애플리케이션의 자동 배포, 스케일링 및 관리를 위한 오픈 소스 플랫폼이다.
- 애플리케이션을 컨테이너 단위로 나누어 관리함으로써 개발 및 운영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 Spring Cloud Kubernetes : 서비스 디스커버리, ConfigMap, Secrets등을 Spring Cloud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Spring Cloud와 Cubernetes의 통합을 지원한다.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를 도입한 기업, 특히 대규모의 분산 시스템을 관리해야 하는 상황에서 매우 유용한 도구로, 클라우드 환경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자동화하고 확장하는 데 있어 강력한 기능을 제공한다.
주요 기능
- 자동화된 배포 및 복구 : 애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배포하고, 장애 발생 시 복구한다.
- 확장성 : 트래픽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스케일 업/다운 한다.
- 서비스 디스커버리 및 로드 밸런싱 : 서비스 디스커버리 및 로드 밸런싱 기능을 제공하여, 포드 간 안정적인 통신을 보장한다.
- 스토리지 오케스트레이션 : 로컬 및 클라우드 스토리지 시스템을 통합하여 사용한다.
- 자원 관리 : CPU, 메모리 등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클러스터의 성능을 최적화한다.
쿠버네티스와 Spring Cloud 비교
공통점
- 확장성: 둘 다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의 확장성을 지원합니다.
- 관리성: 서비스의 배포, 관리, 확장 등을 쉽게 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 고가용성: 서비스의 가용성을 높이고, 장애 발생 시 자동 복구를 지원합니다.
차이점
- 초점:
- Spring Cloud: 마이크로서비스 간의 통신, 서비스 디스커버리, 구성 관리 등 애플리케이션 레벨의 문제 해결에 초점
- 쿠버네티스: 컨테이너 관리, 배포, 스케일링 등 인프라 레벨의 문제 해결에 초점
- 구성 요소:
- Spring Cloud: Eureka, Ribbon, Zuul, Config Server, Hystrix 등 다양한 마이크로서비스 패턴을 지원하는 구성 요소
- 쿠버네티스: Pod, Deployment, Service, Ingress, ConfigMap, Secret 등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에 필요한 구성 요소
(쿠퍼네티스는 MSA라기보다 여러가지 컨테이너를 관리하는 플렛폼으로 본다.)
- 배포 방식:
- Spring Cloud: 애플리케이션 코드와 함께 다양한 클라우드 서비스에 직접 배포
- 쿠버네티스: 컨테이너 이미지를 기반으로 클러스터 내에서 배포 및 관리
쿠버네티스의 장점과 단점
장점
- 확장성: 수평 확장을 통해 대규모 트래픽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
- 자동화: 배포, 스케일링, 복구 등의 작업을 자동화하여 운영 부담을 줄입니다.
- 유연성: 다양한 인프라 환경에서 일관된 운영이 가능합니다.
단점
- 복잡성: 초기 설정과 운영에 대한 학습 곡선이 높습니다.
초기 설정이 복잡하여 도입이 어려움
- 운영 비용: 클러스터 운영과 모니터링에 추가적인 리소스가 필요합니다.
적당한 리소스 할당과 관리가 유지되지 않는다면 비용이 급증 할 수 있다.
- 디버깅 어려움: 분산 환경에서 문제를 추적하고 해결하는 것이 복잡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