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B_FE) Section4 Unit3 React Diffing Algorithm

PYM·2023년 5월 19일
0

(SEB_FE) SECTION4

목록 보기
5/24

💜React가 DOM 트리를 탐색하는 방법

React는 기존의 가상 DOM 트리와 새롭게 변경된 가상 DOM 트리를 비교할 때, 트리의 레벨 순서대로 순회하는 방식으로 탐색한다.

즉 같은 레벨(위치)끼리 비교한다는 뜻! 이는 너비 우선 탐색(BFS)의 일종이라고 볼 수 있다. (동일 선상에 있는 노드를 파악한 뒤 다음 자식 세대의 노드를 순차적으로 파악)

💟다른 타입의 DOM 엘리먼트인 경우

DOM 트리는 각 HTML 태그마다 각각의 규칙이 있어 그 아래 들어가는 자식 태그가 한정적이라는 특징이 있다. (예를 들어 <ul> 태그 밑에는 <li> 태그만 와야 한다던가, <p> 태그 안에 <p> 태그를 또 쓰지 못하는 것 등)

자식 태그의 부모 태그 또한 정해져 있다는 특징이 있기 때문에, 부모 태그가 달라진다면 React는 이전 트리를 버리고 새로운 트리를 구축해 버린다.

<div>
	<Counter />
</div>

//부모 태그가 div에서 span으로 바뀐다.
<span>
	<Counter />
</span>
  • 이렇게 부모 태그가 바뀌어버리면, React는 기존의 트리를 버리고 새로운 트리를 구축하기 때문에 이전의 DOM 노드들은 전부 파괴된다.
  • 부모 노드였던 <div><span>으로 바뀌어버리면 자식 노드인 <Counter />는 완전히 해제, 즉 이전 <div> 태그 속 <Counter />는 파괴되고 <span> 태그 속 새로운 <Counter />가 다시 실행되는 것.
  • 새로운 컴포넌트가 실행되면서 기존의 컴포넌트는 완전히 해제(Unmount)되어버리기 때문에 <Counter />가 갖고 있던 기존의 state 또한 파괴된다.

💟같은 타입의 DOM 엘리먼트인 경우

React는 최대한 렌더링을 하지 않는 방향으로 최소한의 변경 사항만 업데이트한다.
➡이것이 가능한 이유가 바로 React가 실제 DOM이 아닌 가상 DOM을 사용해 조작하기 때문!

업데이트할 내용이 생기면 virtual DOM 내부의 프로퍼티만 수정한 뒤, 모든 노드에 걸친 업데이트가 끝나면 그때 단 한번 실제 DOM으로의 렌더링을 시도한다.

//className이 before인 컴포넌트
<div style={{color: 'red', fontWeight: 'bold"}} title="stuff" />

//className이 after인 컴포넌트
<div style={{color: 'green', fontWeight: 'bold"}} title="stuff" />
  • 두 엘리먼트를 비교했을 때 React는 정확히 color 스타일만 바뀌고 있음을 눈치챌 수 있다. 따라서 color 스타일만 수정하고 fontWeight 및 다른 요소는 수정하지 않는다.

이렇게 하나의 DOM 노드를 처리한 뒤 React는 뒤이어서 해당 노드들 밑의 자식들을 순차적으로 동시에 순회하면서 차이가 발견될 때마다 변경한다.
이를 재귀적으로 처리한다고 표현한다.

💜자식 엘리먼트의 재귀적 처리

예를 들어 이렇게 자식 엘리먼트가 변경이 된다고 가정하자.

<ul>
  <li>first</li>
  <li>second</li>
</ul>

//자식 엘리먼트의 끝에 새로운 자식 엘리먼트를 추가
<ul>
  <li>first</li>
  <li>second</li>
  <li>third</li>
</ul>
  1. React는 기존 <ul>과 새로운 <ul>을 비교할 때 자식 노드를 순차적으로 위에서부터 아래로 비교하면서 바뀐 점을 찾는다.

  2. React는 첫 번째 자식 노드들과 두 번째 자식 노드들이 일치하는 걸 확인한 뒤 세 번째 자식 노드를 추가

➡ 이렇게 React는 위에서 아래로 순차적으로 비교하기 때문에, 이 동작 방식에 대해 고민하지 않고 리스트의 처음에 엘리먼트를 삽입하게 되면 이전의 코드에 비해 훨씬 나쁜 성능을 내게된다.

그 예시를 살펴보자.

<ul>
  <li>Duke</li>
  <li>Villanova</li>
</ul>

//자식 엘리먼트를 처음에 추가
<ul>
  <li>Connecticut</li>
  <li>Duke</li>
  <li>Villanova</li>
</ul>

이렇게 구현하게 되면 React는 우리의 기대대로 최소한으로 동작하지 못하게 된다.

그 이유는,

처음의 자식 노드를 비교할 때, <li>Duke</li><li>Connecticut</li>으로 자식 노드가 서로 다르다고 인지하게 된 React는 리스트 전체가 바뀌었다고 받아들인다.
즉, <li>Duke</li><li>Villanova</li>는 그대로이기 때문에 두 자식 노드는 유지시켜도 된다는 것을 깨닫지 못하고 전부 버리고 새롭게 렌더링 해 버리는 것.

그래서 React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key라는 속성을 지원한다.

💟키(key)

만약 자식 노드들이 이 key를 갖고 있다면, React는 그 key를 이용해 기존 트리의 자식과 새로운 트리의 자식이 일치하는지 아닌지 확인할 수 있다.

<ul>
  <li key="2015">Duke</li>
  <li key="2016">Villanova</li>
</ul>

//key가 2014인 자식 엘리먼트를 처음에 추가
<ul>
  <li key="2014">Connecticut</li>
  <li key="2015">Duke</li>
  <li key="2016">Villanova</li>
</ul>

위 코드에서 React는 key 속성을 통해 ‘2014’라는 자식 엘리먼트가 새롭게 생겼고, ‘2015’, ‘2016’ 키를 가진 엘리먼트는 그저 위치만 이동했다는 걸 알게된다.

따라서 React는 기존의 동작 방식대로 다른 자식 엘리먼트는 변경하지 않고 추가된 엘리먼트만 변경한다.

key 속성에는 보통 데이터 베이스 상의 유니크한 값(ex. Id)을 부여해 주도록 한다. 키는 전역적으로 유일할 필요는 없고, 형제 엘리먼트 사이에서만 유일하면 OK!

  • 만약 이런 유니크한 값이 없다면 최후의 수단으로 배열의 인덱스를 key로 사용할 수 있다.
    • BUT, 배열이 다르게 정렬될 경우가 생긴다면 다르게 정렬되고 난 뒤에도 인덱스는 그대로 유지되게 되는데, 이때 인덱스는 그대로지만 그 요소가 바뀌어버린다면 React는 배열의 전체가 바뀌었다고 받아들일 것이고, 기존의 DOM 트리를 버리고 새로운 DOM 트리를 구축해 버리기 때문에 비효율적으로 동작하게 된다.
profile
목표는 "함께 일하고 싶은, 함께 일해서 좋은" Front-end 개발자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