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트레이너 개념 101

힐링코더·2023년 9월 13일
0

IT-개념-101

목록 보기
7/9

기본 컴퓨터 하드웨어 구성 요소

초급 수준은 나도 아니까 중급 수준으로 설명해 달라니까
이렇게 주는데...
각 내용이 내가 다 별도로 리서치해야 하는 수준이다.

  1. CPU (Central Processing Unit)
    중급 내용: 멀티코어 프로세서와 하이퍼스레딩, CPU 캐시의 이해
    실무 팁: 웹 서버나 데이터베이스 서버 등의 용도에 따라 적합한 CPU를 선택해야 합니다.
  2. RAM (Random Access Memory)
    중급 내용: DDR4 vs DDR3, CAS Latency와 같은 세부 스펙
    실무 팁: RAM은 프로그램 실행에 필요한 데이터를 빠르게 읽고 쓰는 데 사용됩니다. 빅 데이터나 메모리 집약적인 작업을 할 때는 더 높은 사양의 RAM이 필요합니다.
  3. Storage (HDD, SSD)
    중급 내용: SSD의 NVMe와 SATA 차이, IOPS 개념
    실무 팁: 저장 공간의 크기뿐만 아니라 읽기/쓰기 속도도 중요합니다. I/O 집약적인 작업을 할 때는 높은 IOPS를 가진 SSD를 선택하면 성능 향상이 있습니다.
  4. GPU (Graphics Processing Unit)
    중급 내용: CUDA나 OpenCL을 사용한 병렬 컴퓨팅
    실무 팁: 머신 러닝이나 그래픽 작업에서 GPU는 CPU보다 훨씬 높은 병렬 처리 능력을 가집니다.
  5. Motherboard
    중급 내용: PCI Express 슬롯, SATA 포트, 칩셋 등의 중요성
    실무 팁: 향후 확장성을 고려하여 필요한 연결 포트와 슬롯이 충분한지 확인해야 합니다.
  6. Power Supply Unit (PSU)
    중급 내용: 80 PLUS 인증, 전력 효율
    실무 팁: 전력 소모가 높은 하드웨어 구성에는 높은 효율의 PSU를 사용해야 전력 낭비를 줄일 수 있습니다.
  7. Cooling System
    중급 내용: 공냉과 수냉의 차이, 온도 모니터링
    실무 팁: 고성능 또는 지속적인 작동이 필요한 시스템에서는 효율적인 냉각 시스템이 필수입니다.
  8. Network Interface Card (NIC)
    중급 내용: Gigabit Ethernet, 무선 LAN 표준 (Wi-Fi 5, Wi-Fi 6 등)
    실무 팁: 서버용 NIC는 종종 추가 기능이 있는데, 이런 기능은 가상화 환경이나 고성능 네트워킹에서 유용합니다.

=> 고급으로 설명하면 어떨까 싶어 물어봤더니

  1. CPU (Central Processing Unit)
    고급 내용: 파이프라이닝, 슈퍼스칼라 아키텍처, 분기 예측, SIMD 명령어 등
    실무 팁: CPU 바인딩이나 NUMA 아키텍처를 이해하고 이를 통해 시스템 성능을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2. RAM (Random Access Memory)
    고급 내용: 메모리 히어라키, 페이지 캐싱, 메모리 오버커밋 등
    실무 팁: 실시간 시스템이나 높은 처리량을 필요로 하는 시스템에서는 메모리 latency와 throughput을 철저히 분석해야 합니다.
  3. Storage (HDD, SSD)
    고급 내용: RAID 구성, ZFS나 다른 고급 파일 시스템, S.M.A.R.T 등
    실무 팁: 데이터 무결성과 고가용성을 위해 적절한 RAID 레벨과 파일 시스템을 선택해야 합니다.
  4. GPU (Graphics Processing Unit)
    고급 내용: 텐서 코어, 레이 트레이싱, GPGPU 아키텍처
    실무 팁: 커스텀 머신 러닝 모델을 훈련시킬 때나 그래픽 렌더링을 최적화할 때는 GPU 아키텍처에 대한 깊은 이해가 필요합니다.
  5. Motherboard
    고급 내용: UEFI/BIOS 설정, TPM 모듈, 서버급 기능 (IPMI 등)
    실무 팁: 보안을 높이거나 원격 관리를 위해 특별한 모듈이나 설정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6. Power Supply Unit (PSU)
    고급 내용: PFC(Power Factor Correction), 복수의 PSU를 사용하는 전력 분배 전략
    실무 팁: 에너지 효율과 시스템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고급 PSU 기능을 활용해야 합니다.
  7. Cooling System
    고급 내용: Peltier 쿨러, 액체 냉각 시스템의 열 역학, CFM(Cubic Feet per Minute) 등
    실무 팁: 서버 룸의 냉각을 위해 고급 쿨링 솔루션과 전략을 적용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8. Network Interface Card (NIC)
    고급 내용: QoS 설정, MTU 사이즈 조절, VXLAN과 같은 네트워크 가상화 기술
    실무 팁: 고성능 네트워킹을 위해 NIC의 고급 설정을 이해하고 적용해야 합니다.

=> 정도로 답한다. 그만 물어보자(?).

운영 체제 및 그 기능

초급 수준이 너무 쉬워 중급으로 물어 보니

  1. 프로세스 관리
    중급 설명: 프로세스 스케줄링 알고리즘(FIFO, Round Robin, Priority-based 등)과 멀티스레딩, 프로세스 동기화, 데드락(deadlock) 등에 대해 알아야 합니다.
  2. 메모리 관리
    중급 설명: 가상 메모리,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 세그먼트와 페이지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메모리 관리 기법(Virtual Memory, Paging, Segmentation 등)에 대한 이해도 중요합니다.
  3. 파일 시스템 관리
    중급 설명: 인덱싱, 메타데이터, 저널링 등 고급 파일 시스템 기술을 이해하고, 다양한 파일 시스템(NTFS, ext4, FAT32 등)의 특징과 장단점을 알아야 합니다.
  4. 장치 드라이버 관리
    중급 설명: 하드웨어 추상화의 중요성과 장치 드라이버가 어떻게 시스템 리소스와 상호 작용하는지를 이해해야 합니다.
  5.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급 설명: GUI와 CLI의 동작 원리와 특징, 그리고 각각의 적절한 사용 상황에 대해 알아야 합니다.
  6. 보안
    중급 설명: 암호화, 접근 제어 리스트(ACL), 역할 기반 접근 제어(RBAC) 등 보안 메커니즘에 대한 깊은 이해가 필요합니다.
  7. 네트워킹
    중급 설명: 소켓 프로그래밍, 네트워크 프로토콜 스택, 그리고 TCP/IP의 원리에 대해 알아야 합니다.
  8. 시스템 호출
    중급 설명: 시스템 호출은 커널 기능에 접근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입니다. fork(), read(), write() 등과 같은 기본적인 시스템 호출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9. 리소스 모니터링 및 성능 튜닝
    중급 설명: 시스템의 성능을 모니터링하고 튜닝할 수 있는 도구와 방법론(top, vmstat, iostat 등)에 대한 지식이 필요합니다.

고급 수준은...

  1. 프로세스 관리
    고급 설명: CPU 스케줄링을 넘어선 실시간 운영 체제의 스케줄링, 병렬 컴퓨팅과 분산 시스템에서의 프로세스 관리, 프로세스 마이그레이션 등에 대한 깊은 이해가 필요합니다.
  2. 메모리 관리
    고급 설명: TLB 관리, 메모리 과부하(overcommit), NUMA 아키텍처와 같은 복잡한 메모리 관리 전략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3. 파일 시스템 관리
    고급 설명: 파일 시스템에 내장된 암호화 메커니즘, COW (Copy-On-Write), B-trees 또는 LSM-trees와 같은 고급 자료구조를 이해해야 하며, 네트워크 파일 시스템(NFS, CIFS)의 작동 원리에 대해 알아야 합니다.
  4. 장치 드라이버 관리
    고급 설명: Direct Memory Access (DMA), 인터럽트 처리 및 하드웨어 폴링과 같은 저수준의 하드웨어 제어 메커니즘이 필요합니다.
  5. 사용자 인터페이스
    고급 설명: 터미널 에뮬레이션, 텍스트 및 그래픽 렌더링 엔진의 작동 원리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6. 보안
    고급 설명: SELinux나 AppArmor과 같은 Mandatory Access Control, 특권 분리, 커널 패치와 보안 업데이트의 적용 방법에 대한 지식이 필요합니다.
  7. 네트워킹
    고급 설명: 네트워크 스택의 커널 내부 구현, 네트워크 드라이버 최적화, 고급 라우팅 프로토콜의 작동 원리 등에 대한 깊은 이해가 필요합니다.
  8. 시스템 호출
    고급 설명: 사용자 공간과 커널 공간 사이의 상호 작용, 시스템 호출의 내부 구현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9. 리소스 모니터링 및 성능 튜닝
    고급 설명: 프로파일링 도구를 사용한 성능 분석, 시스템 병목 현상 해결을 위한 고급 디버깅 기술이 필요합니다.
  10. 가상화와 컨테이너
    고급 설명: 하이퍼바이저의 작동 원리, 컨테이너의 리소스 격리 메커니즘, 그리고 이러한 기술이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깊은 이해가 필요합니다.

네트워킹 개념 및 프로토콜

초급 수준 제끼고
중급 개념:

네트워킹:
서브네팅(Subnetting): 하나의 네트워크를 여러 개의 작은 네트워크로 분할하는 기술입니다.
CIDR(Classless Inter-Domain Routing): IP 주소 할당을 더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방법입니다.
VLAN(Virtual LAN): 물리적인 위치와 상관없이 가상의 로컬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기술입니다.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프라이빗 네트워크와 퍼블릭 네트워크 간의 IP 주소를 변환하는 기술입니다.
VPN(Virtual Private Network): 암호화를 통해 안전한 네트워크 터널을 생성합니다.
QoS(Quality of Service): 네트워크 트래픽을 분석하고 우선순위를 정하여 특정 서비스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네트워크 성능을 보장합니다.
로드 밸런싱(Load Balancing): 네트워크 트래픽이나 요청을 여러 서버에 분산시켜 서비스의 안정성과 성능을 높입니다.

프로토콜:
TCP/IP의 세부 계층: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인터넷, 전송, 그리고 응용 계층 등에 어떤 프로토콜이 사용되는지에 대한 깊은 이해가 필요합니다.
OSI 모델: 네트워크의 다양한 레이어를 이해하고 각 레이어에서 어떤 일이 발생하는지를 알아야 합니다.
BGP(Border Gateway Protocol): 다양한 라우터와 네트워크 간에 라우팅 정보를 교환하는 프로토콜입니다.
STP(Spanning Tree Protocol): 네트워크 내의 루핑을 방지하여 안정성을 높이는 프로토콜입니다.
HTTP/2, WebSockets: HTTP/1.1을 개선한 버전과 실시간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프로토콜입니다.
RESTful APIs: 웹 서비스를 구축할 때 사용하는 아키텍처 스타일입니다.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네트워크 장치를 관리하는 데 사용되는 프로토콜입니다.
TLS/SSL: 네트워크 상의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프로토콜입니다.

고급 개념:

네트워킹:
SDN(Software Defined Networking):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레이어를 분리하여 네트워크 구성과 관리를 더 유연하게 만드는 기술입니다.
NFV(Network Functions Virtualization): 네트워크 기능을 가상화하여 하드웨어 의존성을 줄이고 유연성을 높입니다.
Zero Trust Architecture: 네트워크 내부의 모든 요소를 미리 신뢰하지 않고 엄격한 접근 제어와 신원 확인을 진행하는 보안 모델입니다.
Anycast, Multicast, Unicast: 다양한 캐스팅 방식을 이해하고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High Availability & Fault Tolerance: 네트워크가 다운되거나 문제가 발생해도 서비스가 중단되지 않도록 하는 기술과 전략입니다.

프로토콜:
MPLS(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데이터 패킷의 라우팅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처리합니다.
BGP Confederations and Route Reflectors: BGP를 더욱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고급 기술입니다.
IPSec: 높은 수준의 VPN 보안을 제공합니다.
IPv6: IPv4의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 설계된 새로운 인터넷 프로토콜입니다.
Deep Packet Inspection: 네트워크 패킷을 세부적으로 분석하여 보안, QoS 등을 효과적으로 관리합니다.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 VoIP(Voice over IP): 인터넷을 통한 음성 및 영상 통화 서비스에 사용되는 프로토콜과 기술입니다.
DNSSEC(Domain Name System Security Extensions): DNS 쿼리 결과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확장 프로토콜입니다.
Traffic Shaping & Policing: 네트워크 트래픽을 조절하여 특정 트래픽에 우선순위를 부여하거나 제한합니다.

그 외 고려해야 할 사항
Compliance and Regulation: GDPR, HIPAA와 같은 법률 및 규정을 준수해야 하며, 이에 따른 네트워크 구성과 보안 설정이 필요합니다.
Network Telemetry and Analytics: 고급 네트워크 모니터링 및 분석 도구를 활용하여 네트워크 성능을 지속적으로 최적화합니다.

인터넷 기술 및 웹 개발

초급:
간단한 웹 개발 프로세스
페이지 설계: 웹 페이지가 어떻게 보일지, 어떤 정보를 담을지 먼저 설계합니다.
코딩: HTML, CSS, JavaScript 등을 사용해 웹 페이지를 만듭니다.
테스트: 만든 웹 페이지가 제대로 동작하는지 브라우저에서 확인합니다.
배포: 웹 페이지를 인터넷에 올리기 위해 웹 호스팅 서비스를 이용합니다.

중급:

중급 개념
반응형 웹 디자인 (Responsive Web Design): 다양한 화면 크기와 장치에 맞게 웹사이트가 올바르게 보이고 동작하도록 하는 디자인 방식.
웹 호스팅 & 서버: 웹 페이지를 저장하고,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서버에 대한 이해. (예: Apache, Nginx)
웹 표준과 접근성: W3C 표준과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WCAG)에 대한 이해.
크로스 브라우징: 다양한 브라우저에서 웹사이트가 올바르게 동작하도록 하는 방법.

중급 웹 개발 도구 및 언어
프레임워크 & 라이브러리: jQuery, React, Vue.js, Angular 등의 JavaScript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
백엔드 개발: 서버 측 개발에 사용되는 언어 및 프레임워크 (예: Node.js, Express, Django, Ruby on Rails).
데이터베이스: 웹 어플리케이션에서 데이터를 저장, 검색, 업데이트하는 데 필요한 시스템 (예: MySQL, MongoDB, PostgreSQL).
APIs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s): 다른 소프트웨어와 상호 작용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RESTful APIs, GraphQL 등에 대한 이해.
버전 관리: 코드 변경사항을 추적하고 협업할 때 사용되는 도구 (예: Git, GitHub).

중급 웹 개발 프로세스
사전 계획 및 설계: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웹사이트의 기능 및 구조를 계획합니다.
개발 환경 설정: 필요한 개발 도구 및 라이브러리를 설치하고 환경을 구성합니다.
코딩 및 개발: 백엔드와 프론트엔드 코드를 작성하며,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합니다.
테스팅 및 디버깅: 개발한 웹사이트의 오류를 찾아 수정하며, 다양한 브라우저와 장치에서 테스트합니다.
배포 및 유지보수: 웹사이트를 실제 서버에 올리고, 필요에 따라 업데이트하거나 수정합니다.

고급:

고급 개념: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복잡한 애플리케이션을 작은, 독립적인 서비스로 분리하여 개발 및 배포합니다.
Serverless 아키텍처: 서버 관리의 복잡성을 줄이고 AWS Lambda, Azure Functions 등의 플랫폼을 이용하여 백엔드 서비스를 개발합니다.
WebAssembly: 높은 성능이 필요한 웹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기 위한 바이너리 코드 포맷.
컨테이너화 및 오케스트레이션: Docker, Kubernetes 등을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과 그 의존성을 캡슐화하고 관리합니다.

고급 웹 개발 도구 및 언어:
State Management Libraries: Redux, MobX 등을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의 상태를 효율적으로 관리합니다.
End-to-End 테스팅: Cypress, Selenium 등을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의 전체 플로우를 자동으로 테스트합니다.
CI/CD 파이프라인: Jenkins, GitLab CI/CD, GitHub Actions 등을 사용하여 코드 변경을 자동으로 테스트하고 배포합니다.
GraphQL: REST API를 대체할 수 있는 데이터 쿼리 및 조작 언어로, 더 효율적인 데이터 처리를 가능하게 합니다.

고급 설계 패턴:
MVVM, MVC, MVI 등: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아키텍처와 설계 패턴을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습니다.
Design Systems: 재사용 가능한 컴포넌트와 스타일 가이드를 포함하는 디자인 시스템을 구축합니다.
Optimization and Caching Strategies: 성능 최적화와 캐싱 전략을 구축하여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킵니다.

고급 웹 개발 프로세스:
Requirement Analysis: 비즈니스 로직과 사용자 요구 사항을 깊게 분석합니다.
System Design: 고수준과 저수준의 시스템 설계를 수행합니다.
Implementation: 개발 과정에서 코드 리뷰, 테스팅, 리팩토링을 지속적으로 수행합니다.
Monitoring and Scaling: 실시간 모니터링 도구를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의 성능을 추적하고, 필요에 따라 스케일을 조정합니다.

프로그래밍 언어 및 소프트웨어 개발

중급:

중급 개념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OOP): 클래스와 객체, 상속, 다형성 등의 개념을 이해하고 적용합니다.
에러 처리 (Error Handling): try, catch, finally 등을 사용하여 예외 상황을 처리합니다.
자료 구조: 배열, 연결 리스트, 스택, 큐, 트리, 그래프 등을 이해하고 사용합니다.
알고리즘: 정렬, 탐색, 동적 프로그래밍 등의 기본 알고리즘을 이해하고 구현합니다.
비동기 프로그래밍: 콜백, 프로미스, async/await 등을 사용하여 비동기 코드를 작성합니다.

중급 도구 및 언어
IDE (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 Visual Studio, IntelliJ, Eclipse 등을 사용하여 개발 효율성을 높입니다.
버전 관리: Git을 이용한 브랜치, 머지, 리베이스 등의 고급 기능을 사용합니다.
빌드 도구: Maven, Gradle, Webpack 등을 사용하여 코드를 빌드하고 배포합니다.
테스트 프레임워크: JUnit, PyTest, Mocha 등을 사용하여 코드를 테스트합니다.

중급 프로젝트 아이디어
To-Do List 애플리케이션: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데이터베이스 연동을 포함한 완전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합니다.
API 사용: 외부 서비스의 API를 호출하여 데이터를 가져오거나 처리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만듭니다.
소셜 미디어 클론: 간단한 소셜 미디어 웹사이트를 만들어 볼 수 있습니다. 프론트엔드와 백엔드 모두 다룹니다.
협업과 코드 리뷰
코드 리뷰: 다른 개발자가 작성한 코드를 검토하고 피드백을 제공합니다.
페어 프로그래밍: 두 명 이상의 개발자가 함께 코딩하는 방식을 익힙니다.

고급:

고급 개념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마이크로서비스, 클린 아키텍처, CQRS(Command Query Responsibility Segregation) 등 복잡한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합니다.
메타 프로그래밍: 코드를 동적으로 생성하거나 수정하는 기술입니다.
분산 시스템: 병렬 처리, 데이터 분할, CAP 이론, 분산 트랜잭션 등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보안: 인증, 인가, 암호화, 보안 프로토콜 등에 대한 고급 지식을 갖춥니다.

고급 도구 및 플랫폼
컨테이너 & 오케스트레이션: Docker, Kubernetes 등을 활용해 더 복잡한 배포 전략을 수립합니다.
CI/CD: Jenkins, GitLab CI, GitHub Actions 등을 활용한 자동화된 테스트와 배포 파이프라인을 구축합니다.
모니터링 및 로깅: Grafana, Kibana, ELK 스택 등을 사용하여 성능 모니터링과 로깅을 설정합니다.

고급 언어 기능
함수형 프로그래밍: 람다, 고차 함수, 불변성, 순수 함수 등을 이해하고 활용합니다.
컴파일러 최적화: 퍼포먼스를 최적화하기 위한 컴파일러 플래그나 어셈블리 언어에 대한 깊은 이해가 필요합니다.
메모리 관리: 가비지 컬렉션, 메모리 누수, 메모리 최적화 등에 대한 깊은 이해입니다.

고급 프로젝트
머신 러닝 플랫폼: 머신 러닝 모델을 학습, 배포, 모니터링하는 전체 플랫폼을 구축합니다.
실시간 스트리밍 애플리케이션: Kafka, RabbitMQ 등을 사용하여 실시간 데이터 스트리밍 처리를 수행합니다.
블록체인: 스마트 컨트랙트, 합의 알고리즘 등을 이해하고 블록체인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합니다.

리더십과 멘토링
코드 리뷰의 리더십을 가져 각 팀원의 성장을 도와주며, 코드의 품질과 팀의 생산성을 높입니다.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서 전략적인 가이던스를 제공합니다.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및 SQL

중급: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DBMS)
정규화와 반정규화
정규화(Normalization): 중복을 제거하고 데이터 무결성을 유지하기 위해 테이블을 설계하는 과정입니다.
반정규화(Denormalization): 성능 향상을 위해 일부 중복 데이터를 허용하는 것입니다.
트랜잭션
ACID 속성 (Atomicity, Consistency, Isolation, Durability): DB 트랜잭션에서 보장해야 하는 속성입니다.
인덱싱
B-Tree, Hash 인덱스: 데이터 검색 성능을 향상시키는 데 사용됩니다.

SQL
중급 쿼리
서브쿼리: 쿼리 내부에서 다른 쿼리를 실행합니다.
GROUP BY와 집계 함수: 데이터를 그룹화하고, COUNT, SUM 등의 함수로 요약합니다.
HAVING: GROUP BY 적용 후 필터링을 수행합니다.
데이터 정의 언어 (DDL)
CREATE, ALTER, DROP: 테이블 생성, 수정, 삭제 등의 작업을 수행합니다.
데이터 조작 언어 (DML)
트랜잭션 제어: COMMIT, ROLLBACK을 통해 트랜잭션을 제어합니다.
데이터 제어 언어 (DCL)
GRANT, REVOKE: 사용자에게 특정 작업 권한을 부여하거나 취소합니다.

중급 도구 및 기술
스토어드 프로시저와 트리거
로직을 DB 내부에 저장해 재사용하고, 자동으로 실행되게 합니다.
NoSQL
캐핑, 샤딩, 복제: 성능과 가용성을 높이기 위한 NoSQL의 고급 기능입니다.
데이터 마이그레이션
ETL (Extract, Transform, Load): 다양한 소스에서 데이터를 추출, 변환, 적재합니다.
모니터링
Slow Query 로그, Explain Plan: 성능 문제를 진단하고 해결합니다.

고급: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DBMS)
분산 데이터베이스
다중 노드에서 동작하는 데이터베이스 아키텍처를 이해하고, CAP 이론을 적용하여 설계합니다.
고급 인덱싱
Bitmap 인덱스, 풀텍스트 인덱스, 클러스터링 인덱스 등을 사용하여 복잡한 쿼리를 최적화합니다.
물리적 저장구조
데이터베이스의 물리적 설계에 대한 이해 (예: 파티셔닝, 클러스터링).
메모리 관리
In-memory 데이터베이스, 버퍼 풀, 캐시 등을 최적화하여 성능을 향상시킵니다.

SQL
최적화
쿼리 플랜을 분석하고, 최적화기에 의한 변환을 이해합니다.
CTE (Common Table Expressions)
복잡한 쿼리를 분리하고 재사용 가능한 형태로 작성합니다.
윈도우 함수
ROW_NUMBER(), RANK(), LAG() 등을 이용한 고급 데이터 분석을 수행합니다.

고급 도구 및 기술
데이터 웨어하우징
별도의 데이터 웨어하우스에서 OLAP 작업을 수행하고, 복잡한 분석 쿼리를 실행합니다.
데이터베이스 복제와 샤딩
데이터를 여러 노드에 분산하여 가용성과 성능을 높입니다.
보안
TDE (Transparent Data Encryption), 역할 기반 접근 제어 (RBAC) 등을 통해 고급 보안을 구현합니다.
모니터링 및 튜닝
퍼포먼스 모니터링 도구를 사용하여 병목 현상을 찾고, 성능을 튜닝합니다.

최신 트렌드
데이터베이스와 AI, 블록체인 등을 연동하여 새로운 유스케이스를 탐색합니다.

클라우드 컴퓨팅 및 가상화

초급:

클라우드 컴퓨팅
개념: 클라우드 컴퓨팅은 인터넷을 통해 서버, 스토리지, 데이터베이스, 네트워킹, 소프트웨어 등의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서비스 모델:
IaaS (Infrastructure as a Service): 가상 머신, 서버, 스토리지 등의 기본 인프라를 제공합니다.
PaaS (Platform as a Service): 애플리케이션을 개발, 실행, 관리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합니다.
SaaS (Software as a Service):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인터넷을 통해 제공합니다.
장점: 접근성, 유연성, 비용 효율성 등이 있습니다.

가상화
개념: 하나의 물리적 자원을 여러 개의 가상 자원으로 나누는 기술입니다.
유형:
서버 가상화: 하나의 물리적 서버를 여러 개의 가상 서버로 분리합니다.
네트워크 가상화: 물리적인 네트워크를 여러 개의 독립된 가상 네트워크로 분리합니다.
스토리지 가상화: 다양한 물리적 스토리지 리소스를 하나로 통합합니다.
장점: 자원 사용률 향상, 비용 절감, 유연한 리소스 관리 등이 있습니다.

초급 예제와 도구
AWS, Azure, Google Cloud: 클라우드 서비스를 체험할 수 있는 대표적인 플랫폼입니다.
VirtualBox, VMware: 개인 컴퓨터에서 가상화를 경험할 수 있는 도구입니다.
Dropbox, Google Drive: SaaS 형태의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입니다.

중급:

클라우드 컴퓨팅
멀티-테넌시와 고가용성
멀티-테넌시(Multi-tenancy): 하나의 클라우드 인프라가 다수의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고가용성(High Availability): 클라우드 서비스는 여러 데이터 센터에 분산되어 있어 서비스 중단 시간을 최소화합니다.
자동 스케일링
수요에 따라 자동으로 리소스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서비스 메쉬
마이크로서비스 간의 통신을 관리하고 구성하는 레이어입니다. 예: Istio, Linkerd
DevOps와 CI/CD
클라우드는 DevOps 문화와 CI/CD 파이프라인을 자동화하는 데 유용한 도구를 제공합니다.

가상화
하이퍼바이저
Type 1, Type 2 하이퍼바이저: 하이퍼바이저는 물리적 하드웨어 위에서 여러 OS를 구동할 수 있게 하는 소프트웨어입니다.
컨테이너 가상화
Docker, Kubernetes: 리소스 격리를 통해 가볍고 빠른 가상화를 제공합니다.
가상 스위치
가상 머신들 사이에서 데이터 패킷을 라우팅하는 소프트웨어 기반의 네트워크 스위치입니다.
리소스 할당과 QoS
CPU, 메모리, 네트워크 대역폭 등을 효율적으로 할당하고 관리합니다.

중급 도구 및 서비스
AWS Lambda, Azure Functions: 서버리스 아키텍처를 구현할 수 있습니다.
Terraform, Ansible: 인프라를 코드로 관리하고 자동화합니다.

고급:

클라우드 컴퓨팅
하이브리드 클라우드와 멀티 클라우드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로컬 데이터 센터와 클라우드 서비스가 통합된 환경.
멀티 클라우드: 여러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를 동시에 사용하는 전략.
미션 크리티컬 애플리케이션
재해 복구, 지리적 분산, 글로벌 로드 밸런싱 등을 고려한 아키텍처 설계.
마이크로서비스와 서버리스 아키텍처
클라우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 개발과 배포 전략.
보안 및 컴플라이언스
클라우드에서의 데이터 암호화, IAM 정책, GDPR과 같은 법적 요구사항 충족.

가상화
Software Defined Networking (SDN)
네트워크 구성을 소프트웨어로 관리, 최적화하는 고급 네트워킹 전략.
Nested Virtualization
가상 머신 내부에 또 다른 가상 머신을 실행하는 복잡한 가상화 케이스.
자원 오버커밋과 캐패(CAPEX)/오펙스(OPEX) 최적화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며 총 소유 비용과 운영 비용을 최적화.
가상화 기반의 보안 전략
VM Escape Prevention, 트래픽 격리 및 모니터링 등을 통한 보안 강화.

고급 도구 및 서비스
AWS Step Functions, Azure Logic Apps: 복잡한 워크플로우와 프로세스 자동화.
Kubernetes Operators: 특정 애플리케이션과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관리.

사이버 보안 및 데이터 보호

사이버 보안 및 데이터 보호: 초급

기본 개념
사이버 보안: 컴퓨터 시스템, 네트워크, 데이터를 해커나 악성 소프트웨어로부터 보호하는 것입니다.
데이터 보호: 개인 정보나 기업 정보를 누출, 변조, 삭제 등의 위협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입니다.

보안 위협의 예
파밍(Pharming): 사용자를 가짜 웹사이트로 유도하여 정보를 빼낼 목적으로 도메인을 변조합니다.
피싱(Phishing): 가짜 이메일이나 웹사이트를 통해 사용자의 정보를 얻어내려고 시도합니다.

기본 보안 조치
암호 설정: 강한 암호를 사용하고 정기적으로 변경합니다.
백업: 중요한 데이터는 주기적으로 백업합니다.
안티바이러스 소프트웨어: 신뢰할 수 있는 안티바이러스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고 업데이트합니다.

데이터 암호화
HTTPS, SSL 등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암호화합니다.

인터넷 보안 설정
브라우저의 보안 설정을 체크하고, 필요한 보안 업데이트를 수행합니다.

사회 공학 공격 대비
개인 정보를 임의로 공유하지 않으며, 의심스러운 이메일이나 메시지에는 클릭하지 않습니다.

기본 보안 소프트웨어/도구
Windows Defender, Mac의 Gatekeeper, 또는 기타 기본 제공되는 보안 도구를 활용합니다.

사이버 보안 및 데이터 보호: 중급

네트워크 보안
방화벽 설정: 인바운드와 아웃바운드 트래픽을 관리하여 안전하지 않은 접근을 차단합니다.
VPN(Virtual Private Network): 안전한 접근과 데이터 전송을 위해 VPN을 사용합니다.

인증과 인가
2-팩터 인증 (2FA): 암호 외에도 두 번째 인증 수단 (예: OTP, 스마트폰 앱)을 사용합니다.
역할 기반 접근 제어 (RBAC): 사용자의 역할에 따라 필요한 권한만을 부여합니다.

데이터 보호
데이터 마스킹: 중요 정보의 일부를 숨겨 데이터 노출을 최소화합니다.
토큰화: 중요 정보를 무작위 문자열로 대체하여 저장합니다.

보안 모니터링 및 로깅
SIEM(Security Information and Event Management): 보안 이벤트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분석합니다.
로그 관리: 사용자 행동, 접근 기록 등을 로그로 저장하고 주기적으로 분석합니다.

취약점 관리
패치 관리: 보안 업데이트와 패치를 정기적으로 적용합니다.
취약점 스캐닝: 시스템과 소프트웨어의 취약점을 찾아내고 조치합니다.

보안 정책 및 교육
보안 정책 문서: 중요한 보안 관행과 프로세스를 문서화합니다.
직원 교육: 보안 인식 향상을 위한 교육과 트레이닝을 진행합니다.

포렌식 및 인시던트 응답
인시던트 응답 플랜: 보안 사고 발생 시 취할 조치와 프로세스를 미리 계획합니다.
디지털 포렌식: 사고 발생 후 원인 분석과 증거 확보를 위한 기술적 조사를 진행합니다.

사이버 보안 및 데이터 보호: 고급

위협 모델링 및 위험 평가
STRIDE, DREAD 등의 위협 모델링 기법을 활용하여 취약점과 위협을 체계적으로 평가합니다.

고급 네트워크 보안
Zero Trust 아키텍처: "신뢰하지 않는다"는 전제 하에 네트워크를 설계하고 운영합니다.
분산 네트워크 보안: 분산된 물리적 위치에 대한 통합 보안 관리를 실시합니다.

고급 인증 메커니즘
인증 공유, SSO(Single Sign-On): 여러 시스템에 대한 통합된 인증 메커니즘을 구축합니다.

데이터 보호 및 프라이버시
HSM(Hardware Security Module): 암호화 키 관리를 위한 하드웨어 기반의 보안 모듈을 사용합니다.
가상화 기반 보안: 데이터를 분리하여 저장하고 액세스하는 고급 보안 메커니즘을 구현합니다.

APT(Advanced Persistent Threat) 대응
헌트 팀: 지속적으로 네트워크와 시스템을 모니터링하여 고도로 발전한 위협을 탐지하고 대응합니다.

보안 컴플라이언스 및 법률
ISO 27001, GDPR, CCPA 등 다양한 규제와 컴플라이언스를 준수하고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합니다.

보안 자동화 및 DevSecOps
보안 테스트와 모니터링을 개발 라이프사이클에 통합하여 지속적인 보안을 유지합니다.

고급 포렌식 및 인시던트 응답
루트 원인 분석(Root Cause Analysis): 사건 발생 원인을 분석하여 재발을 방지합니다.
Threat Intelligence: 외부에서 수집한 위협 정보를 분석하여 사내 보안 대응에 활용합니다.

프로젝트 관리 방법론

요약

초급
Waterfall(워터폴)
순차적으로 프로젝트 단계를 진행합니다. 하나의 단계가 끝나면 다음 단계가 시작됩니다.
Agile(애자일)
프로젝트를 작은 부분으로 나누고, 각 부분을 빠르게 개발하며 변경에 유연하게 대응합니다.
Kanban(칸반)
작업을 카드로 표시하고, 프로세스 단계 별로 이동시키면서 진행 상황을 시각화합니다.
기본 용어
스코프: 프로젝트의 범위와 목표
리소스: 사용되는 인력, 시간, 예산
마일스톤: 중요한 단계나 이정표

중급
Scrum (스크럼)
애자일의 하위 집합으로, 스프린트라는 시간 단위로 작업을 나누고 진행합니다.
Critical Path Method (CPM)
프로젝트에서 가장 중요한 작업 경로를 식별하여 최적의 일정을 계획합니다.
PRINCE2 (Projects IN Controlled Environments)
프로젝트를 일련의 프로세스로 나누고, 각 프로세스를 체계적으로 관리합니다.
Risk Management
위험을 식별, 분석, 대응하는 전략을 마련합니다.
Key Performance Indicators (KPIs)
프로젝트 성공을 측정하기 위한 지표를 설정하고 모니터링합니다.

고급
Lean Project Management
낭비를 최소화하고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방법론입니다.
Six Sigma
프로세스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통계적인 방법을 사용합니다.
Scaled Agile Framework (SAFe)
대규모 조직에서 애자일 방법론을 적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프레임워크입니다.
Program Evaluation and Review Technique (PERT)
복잡한 프로젝트에서 작업 시간을 추정하고 일정을 계획하는 통계적 방법론입니다.
Business Process Re-engineering (BPR)
전체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재설계하여 근본적인 개선을 목표로 합니다.
Portfolio Management
여러 프로젝트나 프로그램을 통합적으로 관리하여 조직 목표 달성을 지원합니다.

민첩한 개발 관행

요약

초급
Daily Stand-up
매일 진행 상황과 계획을 공유합니다.
Sprint Planning
2~4주의 작업을 계획하는 미팅을 진행합니다.
User Stories
사용자의 관점에서 기능을 정의합니다.
Retrospective
스프린트가 끝날 때, 무엇이 잘 되었고 무엇을 개선할지 회고합니다.
Version Control
소스 코드의 변경 사항을 관리합니다.

중급
Test-Driven Development (TDD)
코드를 작성하기 전에 테스트 케이스를 먼저 작성합니다.
Continuous Integration (CI)
코드 변경을 지속적으로 병합하여 빌드와 테스트를 자동화합니다.
Pair Programming
두 명의 개발자가 하나의 컴퓨터에서 코딩을 하며 서로 검토합니다.
Automated Testing
테스트 과정을 자동화하여 효율을 높입니다.
Kanban Board
작업의 진행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합니다.

고급
Behavior-Driven Development (BDD)
비즈니스 요구 사항을 명확하게 이해하고 테스트 케이스로 변환합니다.
Continuous Deployment (CD)
지속적인 통합 이후에 자동으로 실서버에 배포합니다.
Feature Toggles
기능을 켜고 끌 수 있는 스위치를 두어 배포와 롤백을 쉽게 합니다.
DevOps Culture
개발과 운영 팀이 긴밀히 협력하여 빠른 배포와 유지 보수를 가능하게 합니다.
Microservices Architecture
애플리케이션을 작은 서비스로 나누어 독립적으로 배포하고 운영합니다.

소프트웨어 테스트 및 품질 보증

요약

초급
Unit Testing
작은 코드 단위를 독립적으로 테스트합니다.
Integration Testing
다양한 모듈이나 서비스가 제대로 연동되는지 검사합니다.
Manual Testing
사람이 직접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해보며 버그를 찾습니다.
Bug Tracking
발견된 버그와 이슈를 관리하는 시스템을 사용합니다. (예: Jira)
Regression Testing
코드 변경 후 이전에 작동하던 기능이 계속 작동하는지 확인합니다.

중급
Automated Testing
테스트를 자동화하여 빠르고 효율적으로 진행합니다.
Performance Testing
시스템이 고 부하나 큰 데이터를 얼마나 잘 처리하는지 검사합니다.
Test-Driven Development (TDD)
테스트 케이스를 먼저 작성하고, 그것을 통과하는 코드를 작성합니다.
Quality Metrics
코드 품질을 정량적으로 측정합니다. (예: 코드 커버리지, 결함 밀도 등)
Code Reviews
다른 개발자가 코드를 검토하여 품질을 높입니다.

고급
Continuous Integration and Continuous Testing
지속적인 통합과 지속적인 테스트를 통해 코드 품질을 끊임없이 확인합니다.
Behavior-Driven Development (BDD)
비즈니스 요구 사항에 기반한 테스트 케이스를 작성합니다.
Security Testing
보안 취약점을 식별하고 수정합니다.
Chaos Engineering
시스템에 임의의 장애를 주입하여 복원력을 테스트합니다.
Quality Assurance Strategy
품질 보증 전략을 수립하고, 이를 조직 전체에 적용하여 지속적으로 품질을 관리합니다.

사용자 경험 디자인 원칙

요약

초급
User-Centered Design
사용자의 필요와 목표를 중심으로 디자인합니다.
Usability Testing
사용자가 제품을 쉽게 사용할 수 있는지 테스트합니다.
Wireframing
초기 단계에서 레이아웃과 기능을 간략하게 그림으로 나타냅니다.
Consistency
인터페이스 요소가 일관되게 디자인되어야 합니다.
Feedback Loops
사용자가 액션을 취할 때 반응이 있어야 함 (예: 버튼 클릭시 색 변경).

중급
Information Architecture
사용자가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구조를 설계합니다.
Accessibility
모든 사용자가 제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접근성을 고려합니다.
Interactive Prototypes
클릭 가능한 프로토타입을 만들어 실제 사용감을 테스트합니다.
User Journeys and Personas
사용자의 행동 패턴과 특성을 분석하여 디자인합니다.
A/B Testing
두 가지 다른 디자인을 테스트하여 어느 것이 더 효과적인지 비교합니다.

고급
Heuristic Evaluation
전문가가 고급 사용성 휴리스틱을 기반으로 디자인을 평가합니다.
Design Systems
일관된 디자인을 위해 디자인 가이드라인과 컴포넌트 라이브러리를 구축합니다.
Microinteractions
작은 디자인 요소가 사용자 경험에 큰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합니다.
Data-Driven Design
사용자 데이터와 행동 분석을 통해 디자인을 지속적으로 개선합니다.
Cross-Functional Collaboration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와 협업하여 디자인을 최적화합니다.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개발

요약

초급
Platform Selection
iOS 또는 Android 플랫폼을 선택합니다.
Native vs Hybrid
네이티브 앱과 하이브리드 앱의 차이점을 이해합니다.
UI/UX Basics
모바일에 최적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경험을 설계합니다.
Basic Functionality
기본적인 앱 기능을 구현합니다 (예: 로그인, 리스트 뷰 등).
App Deployment
앱을 플랫폼의 앱 스토어에 배포하는 기본 절차를 알아봅니다.

중급
Responsive Design
다양한 화면 크기와 해상도에 대응하는 디자인을 구현합니다.
State Management
앱의 상태를 효과적으로 관리합니다 (예: Redux, ViewModel).
API Integration
RESTful API나 GraphQL과 같은 백엔드 서비스와 통신합니다.
Offline Support
오프라인 상황에서도 앱이 정상 작동하도록 설계합니다.
Unit and UI Testing
앱의 기능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테스트합니다.

고급
Continuous Integration/Continuous Deployment (CI/CD)
지속적인 통합과 배포를 자동화합니다.
Advanced Animations
고급 애니메이션 효과를 구현하여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킵니다.
Security Measures
데이터 암호화, OAuth 인증 등 고급 보안 기능을 구현합니다.
Cross-Platform Development
여러 플랫폼에서 동작하는 앱을 개발합니다 (예: Flutter, React Native).
Performance Optimization
앱의 성능을 분석하고 최적화합니다 (예: 메모리 관리, UI 렌더링).

인공 지능 및 기계 학습

요약

초급
What is AI?
인공 지능(AI)이 무엇인지, 기본적인 개념과 종류를 이해합니다.
Machine Learning Basics
기계 학습이 무엇인지, supervised와 unsupervised learning 등의 기초를 배웁니다.
Data Preparation
기계 학습을 위한 데이터 준비와 전처리의 중요성을 이해합니다.
Simple Algorithms
단순한 알고리즘 예를 들어 선형 회귀(Linear Regression)에 대해 배웁니다.
Evaluation Metrics
모델의 성능을 평가하는 기초적인 방법(예: 정확도, 오차율)을 알아봅니다.

중급
Feature Engineering
모델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특성 엔지니어링 기법을 배웁니다.
Regularization
과적합을 피하기 위한 정규화 방법을 적용합니다.
Ensemble Methods
여러 모델을 결합하여 성능을 향상시키는 앙상블 기법을 배웁니다.
Neural Networks
기본적인 신경망과 딥러닝의 원리를 이해합니다.
Natural Language Processing (NLP)
텍스트 데이터를 처리하는 NLP 기초를 배웁니다.

고급
Advanced Neural Architectures
고급 신경망 구조(예: GANs, Transformers)를 이해하고 구현합니다.
Reinforcement Learning
보상을 기반으로 학습하는 강화 학습의 고급 개념을 배웁니다.
Optimization Techniques
모델 최적화를 위한 고급 알고리즘과 방법론을 적용합니다.
Explainability and Fairness
모델의 설명 가능성과 공정성을 분석하고 향상시킵니다.
Scalability and Deployment
대규모 데이터셋과 실시간 환경에 모델을 배포하는 고급 전략을 배웁니다.

빅 데이터 분석 및 데이터 과학

요약

초급
데이터의 중요성
빅 데이터와 데이터 과학이 현대 비즈니스와 연구에서 왜 중요한지 기초적인 이해를 합니다.
데이터 수집
웹 스크래핑, API 사용 등을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는 기본적인 방법을 배웁니다.
데이터 클렌징
결측치, 이상치 등을 처리하는 기초적인 데이터 클렌징 방법을 이해합니다.
기초 통계 분석
평균, 중앙값, 표준편차 등 기초 통계를 이해하고 Python 라이브러리로 분석을 수행합니다.
데이터 시각화
Matplotlib, Seaborn 등을 사용해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기초를 배웁니다.

중급
데이터 변환과 특성 공학
원-핫 인코딩, 정규화 등을 통해 머신 러닝 알고리즘에 적합한 형태로 데이터를 변환합니다.
머신 러닝 모델 적용
로지스틱 회귀, 의사결정 나무, 랜덤 포레스트 등의 모델을 적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합니다.
성능 평가
ROC 커브, 정밀도-재현율 등 다양한 성능 지표를 사용해 모델을 평가합니다.
데이터 파이프라인 구축
데이터 수집에서 모델 배포까지의 과정을 자동화하는 데이터 파이프라인을 구축합니다.
클라우드 기반 분석
AWS, Azure 등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 빅 데이터 분석 기법을 배웁니다.

고급
분산 컴퓨팅
Hadoop, Spark 등을 이용한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의 데이터 처리 기법을 마스터합니다.
딥 러닝과 빅 데이터
대규모 데이터셋에 딥 러닝 모델을 적용하는 고급 기술을 배웁니다.
시계열 분석과 예측
고급 시계열 분석 방법론을 이용하여 미래 데이터를 예측합니다.
비정형 데이터 분석
텍스트, 이미지, 음성 등 비정형 데이터를 분석하는 고급 기법을 배웁니다.
윤리와 규제
데이터 과학에서의 윤리적 고려사항과 관련 규제를 이해하고 적용합니다.

DevOps 및 지속적인 통합/지속적인 전달

버전 제어 시스템 및 git

Linux Command Line 기본 사항

HTML 및 CSS 기초

JavaScript 프로그래밍 기본 사항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개념

소프트웨어 디자인 패턴

편안한 웹 서비스 및 API

마이크로 서비스 아키텍처

도커 컨테이너 화

Kubernetes 오케스트레이션

코드 및 자동화로서의 인프라

서버리스 컴퓨팅

블록 체인 기술 및 암호 화폐

양자 컴퓨팅 기본

디지털 혁신과 혁신

비즈니스 분석 및 요구 사항 수집

변화 관리 및 조직 문화

리더십 및 팀 관리

커뮤니케이션 및 프리젠테이션 기술

시간 관리 및 생산성

고객 서비스 및 지원

영업 및 마케팅 전략

재무 관리 및 예산

법적 및 규제 준수

윤리와 사회적 책임

직장의 다양성과 포용

환경 지속 가능성

건강 및 안전 규정

국제 비즈니스 및 문화 인식

업계 동향 및 신흥 기술

전문성 개발 및 평생 학습

네트워킹 및 전문적인 관계 구축

기업가 정신과 혁신

경력 계획 및 구직 전략

내가 위 내용을 정리하지 않은 이유

  • 다른 포스트에서 여러 번 다룸
  • 유사한 내용이 반복적으로 전달되는 범위가 점점 늘고 있음

내가 이런 내용을 작성하는 이유

  • 순전히 내 개인 공부용임
  • 남들 보기 좋으라고 하고 있는 게 아님
  • 타인을 위해서 하고 있는 거였다면 이런 식으로 보기 힘들게 작성하지 않았을 거임

그래서 포맷을 조금 바꿔 보았다.
위 주제를 모두 포함해서 초중급 수준의 개발자에게 도움이 될 만한 아티클을 적어 달라 했다.

그 결과물:

개발자의 성장: 초·중급 개발자를 위한 종합 가이드

서론

초·중급 개발자로서 경쟁력을 갖추려면 다양한 분야에서 기본적인 이해와 중급 수준의 능력이 필요합니다. 이 아티클에서는 기술, 비즈니스, 그리고 인간적 능력을 3가지 큰 카테고리로 나누어 각 분야에서 어떻게 준비해야 할지 알아봅니다.

기술적 능력

DevOps 및 지속적인 통합/지속적인 전달
중급: Jenkins, Travis CI 등의 도구를 사용해 CI/CD 파이프라인을 구축하고 관리해보세요.
버전 제어 시스템 및 git
초급: git clone, git add, git commit, git push와 같은 기본 git 명령어를 익히세요.
Linux Command Line 기본 사항
중급: grep, sed, awk와 같은 텍스트 처리 도구를 사용해 복잡한 데이터 처리 작업을 해보세요.
HTML 및 CSS 기초, JavaScript 프로그래밍 기본 사항
초급: 기본 HTML 태그와 CSS 선택자, 그리고 JavaScript의 기본 문법과 이벤트 처리를 익히세요.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개념
중급: SOLID 원칙을 이해하고 적용해보세요.

비즈니스 및 전략적 능력

비즈니스 분석 및 요구 사항 수집
초급: 사용자 스토리나 유스케이스를 작성해 비즈니스 요구 사항을 명확히 이해하려고 노력하세요.
영업 및 마케팅 전략
중급: 제품이나 서비스의 USP(Unique Selling Proposition)를 정의하고 타겟 고객을 분석하세요.
법적 및 규제 준수
초급: GPL, MIT, Apache 등 오픈소스 라이선스의 기본적인 차이점을 이해하세요.

인간적 능력

커뮤니케이션 및 프리젠테이션 기술
중급: 설득력 있는 프레젠테이션을 위한 슬라이드 디자인과 스토리텔링 기법을 연습하세요.
시간 관리 및 생산성
초급: '포모도로 기법'이나 '아이젠하워 매트릭스'를 활용해 시간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을 익히세요.
리더십 및 팀 관리
중급: 직원의 스킬 세트를 분석하여 업무를 적절히 분배하고, 팀원들이 자기 주도적으로 일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리더십 스타일을 개발하세요.

결론

초·중급 개발자로서 다양한 영역에서 기술과 역량을 향상시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닙니다. 하지만 이 글에서 다룬 여러 주제와 관련된 기본적인 지식과 중급 수준의 능력을 갖추게 되면, 당신은 다가오는 기회를 잡을 준비가 되어있을 것입니다. 지속적인 학습과 실천을 통해 자신을 개발하세요.

profile
여기는 일상 블로그, 기술 블로그는 https://yourhealingcoder.tistory.com/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