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dth = int(input('가로 길이 입력 : '))
height = int(input('세로 길이 입력 : '))
print('square : ',width * height)
print('triangle : ',width * height / 2)
userName = input('이름 입력 : ')
print(userName)
print(type(userName))
사용자가 직접 데이터를 입력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코드이다. 다양한 조건을 입력하여 빠른 시간에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어 좋았다.
이와 동시에 데이터 타입도 변환하는 함수도 같이 사용하면서 살짝 어렵긴 했지만 그래도 멈춰서 반복하니 이해가 되었다.
userName = 'gil dong hong'
userAge = 21
print(userName)
print('User Name : {}' .format(userName))
print('User Age : {}' .format(userAge))
print('User Name : {}, User Age : {}' .format(userName, userAge))
print('User Name : {1}, User Age : {0}' .format(userName, userAge))
변수라는 개념과 비슷한건가 라는 생각이 들었다. 조금 더 사용을 해보아야 알겠지만 아직까지는 큰 차이점을 알지 못하겠다.
연산자 종류
산술 연산자 : +,-,*,/,%,//,**
할당 연산자 : =, +=, -=,*=, /=, %=, //=
비교 연산자 : >,>=,<,<=,==,!=
논리 연산자 : and, or, not
Divmod(나눗셈의 몫과 나머지를 출력)
result3 = divmod(num1, num2)
print('몫 : {}'.format(result3[0]))
print('나머지 : {}'.format(result3[1]))
아직까지는 어렵다라는 생각이 들지는 않았다.
다만, 반복해서 사용해야 기억할 수 있고 필요할 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스터디 노트를 작성하면서 생각을 정리해보기는 했지만 작성 내용도 깔끔하지도 않고 머리속으로
정리가 잘 되지 않는 것을 보니 100% 이해가 되지 않은 듯 하다.
진도를 놓치지 않는 선에서 복습도 꾸준히 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