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에는 자바스크립트의 비교 연산자, 논리 연산자 에 대해 알아보도록 한다.
증감 연산자는 피연산자를 1씩 증가(+) 혹은 감소(-) 시킬 때 사용하는 연산자이며, 피연산자가 단 하나뿐인 단항 연산자이다.
++n : 먼저 피연산자(n)의 값을 1 증가시킨 후에 뒤의 연산을 진행함.
n++ : 피연산자(n)의 뒤에 있는 연산을 먼저 진행한 후에 피연산자(n)의 값을 1 증가시킴.
--n : 먼저 피연산자(n)의 값을 1 감소시킨 후에 뒤의 연산을 진행함.
n-- : 피연산자(n)의 뒤에 있는 연산을 먼저 진행한 후에 피연산자(n)의 값을 1 감소시킴.
예시
	let n = 5;
	console.log(n); // 5	
	console.log(n++ + 3); // 8
	console.log(n); // 6
	console.log(++n - 5); // 2 
	console.log(n); // 7
	console.log(--n - 6); // 0
	console.log(n); // 6
	console.log(n-- + 2); // 8
	console.log(n); // 5
	console.log(n-- + 5 + --n); // 12
	console.log(n); // 3
비교 연산자는 피연산자 사이의 상대적인 크기를 판단하여 참/거짓을 반환한다.
두 개의 피연산자를 가지는 이항 연산자이며, 피연산자들의 결합 방향은 왼쪽 -> 오른쪽 이다.
== : 왼쪽 피연산자와 오른쪽 피연산자의 값이 같으면 true 반환.
===: 왼쪽 피연산자와 오른쪽 피연산자의 값과 타입 모두 같으면 true 반환.
!=: 왼쪽 피연산자와 오른쪽 피연산자의  값이 같지 않으면 true 반환.
!== 왼쪽 피연산자와 오른쪽 피연산자의 값 또는 타입이 다르면 true 반환.
> : 왼쪽 피연산자의 값이 오른쪽 피연산자의 값보다 크면 true 반환.
>= : 왼쪽 피연산자의 값이 오른쪽 피연산자의 값보다 크거나 같으면 true 반환.
< : 왼쪽 피연산자의 값이 오른쪽 피연산자의 값보다 작으면 true 반환.
<= : 왼쪽 피연산자의 값이 오른쪽 피연산자의 값보다 작거나 같으면 true 반환.
예시
const x = 12;
const xString = '12';
const y = 14;
console.log(x < y); // true
console.log(x === xString); // false
피연산자가 문자열일 경우
문자열의 첫 번째 문자부터 알파벳 순서대로 비교한다.
출처: TCPSCHOO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