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코드에서 HTML,CSS를 다시 공부하면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들 혹은 다시 알게된 것들을 끄적끄적 정리해보았습니다.
정의, 기능 : HTML이 헤더, 문단, 테이블 등으로 정보를 조직화하는 구조를 제공해주는 역할
태그 - 속성, 요소
태그는 크게 보면 html , head , body로 볼 수 있다.
<\span> 줄이 바뀌지 않고, 한 줄에 이어서 나오게 됩니다
span과 바로 이어져서 span (span span) : 이런 형식
<\p>태그는 <\span>태그와 달리 줄바꿈이 일어납니다.
p는 다음 단락으로 넘어간다.
id - 고유한 값 (중복 x) 중복된 이름을 사용하면 안된다.
class - 여러태그에 중복된 이름 부여 가능
(div, p 값등 한번에 같은 클래스를 줄수 있고 이를 통해 CSS 수정이 용이! )
CSS는 HTML이 아름다워 보이도록 스타일을 입히는 것입니다.
css적용
인라인 스타일 - 각 태그에 부여 , 빠르고 편리하지만 많으면 유지보수 힘듬 , 가독성 떨어짐
style 태그 - html 파일내 style 사이에 작성한다. (빠름, but 유지보수 부적합 )
css파일 작성 - 연동!
< link href="index.css" rel="stylesheet" type="text/css" />
(link 앞에 띄어쓰기 하였다. 복붙해서 사용하려면 link앞에서 백스페이스!)
href = 경로 작성 할때,
rel 은 관계를 설명해줌 , css파일은 항상 stylesheet 값 입력
type = 연결되는 파일이 무엇인지. css는 항상 text/css 입력
글씨에 줄 추가 태그 !
text-decoration: overline; : 윗줄 추가
text-decoration: line-through;: 가운데 줄 추가 (지움선)
text-decoration: underline; : 밑줄 추가
text-decoration: underline overline;: 밑줄, 윗줄 추가
font family
font weight
color 는 글자색
색 표현 방법
정렬
text-indent 을 이용하여 css로 들여쓰기가 가능하다. 값은 px값
blockquote 이란 태그는 인용구문을 넣을 때 쓰는 태그
& nbsp; : 띄어쓰기를 의미한다.
두께 선스타일 선색깔; 의 순서로 작성한다.
개별로 선스타일을 줄수 있다.
내가 원하는대로 디자인할 수 있으니 대부분의 개발자는 border-bottom로 구현하는 것을 선호한다! (밑줄 기능으로 여러 스타일을 줄수 있거든!)
box-sizing은 박스의 크기를 화면에 표시하는 방식을 변경하는 속성입니다.
Content box : width를 content크기로 지정한다.
Border box: width를 actual width크기로 지정한다.
box-sizing: border-box; : 실제 크기로 지정해서 원하는 값을 넣고 바로바로 크기 지정
css에서도 배경 이미지를 넣을수 있다
background-image: url()
background-color: 배경 색 추가
html은 img 태그를 사용한다.
float 과 display: inline-block ;
반대로 block성질로 변경
display: block;
테이블은 항상 < table> 태그로 감싸져있습니다.
< table> 태그 내에 행도 만들고, 열도 만드는 것입니다.
한 행을 시작할 때는 < tr> 로 시작합니다. tr은 table row의 줄임말입니다.
각각의 셀은 < tr> 태그 내에 < td> 태그를 사용합니다. td는 table data의 줄임말입니다.
th는 table heading의 줄임말
rowspan 은 행 병합, colspan 은 열을 병합합니다
placeholder: 도움말을 넣어주는 부분입니다. 반투명하게 글씨가 보인다
< input type="text" placeholder="ID">
< input> vs < textarea>
< textarea> 는 < input> 보다는 더 긴 텍스트를 입력받고 싶을 때 사용합니다.
보통 짧은 방명록이나 댓글을 입력할 때 < textarea> 태그를 사용합니다.
textarea의 value는 input의 placeholder 와 같다.
< input type="text" placeholder="ID"> = < textarea value=“ID”> < /textarea>
=
< input> 은 시작태그, 끝태그로 구성되지 않습니다. textarea는 끝태그가 있다.
공통점은 모두 인라인 요소
< textarea>의 사이즈 조정 금지 방법
textarea { resize: none; }
CSS attribute 값에 속성 넣기
::placeholder : 콜론 두개를 붙여서 selector를 만들어 줄수 있다.
input[type="text"]::placeholder ( text 타입에만 스타일을 준다. )
rgba라는 것은 opacity를 넣는 다는 뜻입니다.
< div> 태그에 대해 요소를 하나의 논리적인 그룹으로 묶거나, 페이지의 구획을 정의할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media only screen and (max-width: 480px){}
@media : 이 키워드는 media 쿼리를 시작하겠다는 의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