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위 블로그 글을 카피한 것이며, 글의 내용이 너무 좋아 오래 기억하고 싶어 블로그글로 남기게 되었습니다.성능이 매우 중요한 코드를 작성할 때는 알고리즘 복잡도를 생각하는 것이 좋다. 알고리즘 복잡도는 대개 Big-O 노테이션으로 표현된다.Big-O는 데이터가
https://overreacted.io/ko/how-are-function-components-different-from-classes/ 의 글을 보고 따라 작성한 글입니다. 본 블로글이 더 잘 정리되어 있으며, 다른 좋은 글도 많기 때문에 React에 관심이 있다면 꼭 보는 것을 추천합니다. TL;DR 클래스형과 함수형의 근본적인 차이는 정말 clas...
리덕스는 (전역)상태 관리 라이브러리썻을 때 장점으론, 컴포넌트로 부터 상태관리 코드를 분리할 수 있습니다.액션 type속성 값을 가진 객체로, 어떤 리듀서를 호출할 것인지만 적습니다.미들웨어(redux에서의) 리듀서를 감싸고 있는 함수로써, 리듀서가 실행되기 전,
React에서 자식 컴포넌트를 리스트로 만들 때 어떤 자식인지 식별하기 위해 key 속성값을 지정해 줘야 한다.배열의 값들의 순서가 바뀔 수 있다면(삭제나 순서 이동)배열의 인덱스를 key로 이용하면 원하지 않는 결과를 리턴한다.이를 해결하기 위해 4가지 방법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