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아웃은 웹페이지에 text, image 등의 요소들을 위치시키거나 정렬시키는 방법으로 웹페이지의 시각적인 구조를 제공한다. 이러한 레이아웃은 큰 시각에서 웹페이지를 바라볼 때의 Page layout과 홈페이지를 구성하는 조각 요소들을 바라볼 때의 Component
html 요소들은 기본적으로 inline, block, inline-block 등 각자 고유의 디스플레이 속성을 갖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속성은 불변적인 것은 아니다. display는 기본 속성과 상관없이 사용하고자하는 속성으로 지정 할 때 사용한다. 이러한 속성을
👊🏻 Westagram 프로젝트 후기 [Project] 기간: 2020.10.07 ~ 2020.10.14 사용 스택: . React . React-Router-Dom . JavaScript . SASS . html/css 목표: . Jav
1차: 메뉴 박스 뿔(?) 없이 생성2차: 메뉴 박스 뿔! 추가1차: HTML tag 추가를 위해 tag 요소를 생성, className 부여, appendChild 붙여넣기 ctrl+c,v 신공 😭2차: 필요한 최소한의 정보만 변수로 저장하고 고정 format의 t
지금까지 배운 지식을 바탕으로 Instagram을 clone 해보았다. 아는 내용이 부족해 구현하는데 애를 먹었고, 어느 정도 추가 기능까지 구현하고 나서는 휴 해냈다!라는 마음이 있었는데.... 다른 분들과 로직을 비교해보니 아직 부족한 점이 많아서 몇 가지 아쉬운
. 템플릿 설정하기: HTML 작성시 매번 공통적으로 작성하는 초기 셋팅 값을 설정 해야한다. VS cdoe 사용자라면 입력할 수 있으니단축기를 기억하자 ! + tab . CSS 기본 설정값 초기화하기: 모든 웹브라우저는 기본적으로 설정된 셋팅값이 있기 때문에 개발자가
🔒 Question.1 "사이트에 이미지를 넣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습니다. 태그를 사용하는 것과 태그에 background-image 속성을 추가하는 것. 과 각각 어떠한 경우에 사용하면 좋은지 설명해보세요." 🔓 Answer 개발자는 항상 semant
Display css 속성은 html의 block level의 요소들의 layout을 제어할 때 사용하는 property이다. block level의 요소들의 layout을 좀 더 세밀하게 제어할 때 사용하는 property이다. 기본적으로는 text와 img의
. flexbox: container/item에 각각 적용할 수 있는 속성값들이 있으며 중심축의 선택(수평/수직)에 따라 반대축이 달라진다. flexbox를 활용하면 웹 브라우저 화면에 컨텐츠의 배열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참조: https://youtu.be/
. transition-property: transition 효과를 적용할 속성을 정의할 때 사용한다.(적용 가능한 css 속성: 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Web/CSS/CSS_animated_propertie
. grid: 2차원 형태의 row/column으로 구성된 레이아웃을 구성할 때 사용한다.. grid-template-rows/columns: 생성하고자 하는 grid의 행/열의 조건을 부여할 때 사용한다.(\*repeat: 동일한 속성의 row/column을 생성할
※box model . height/width: 웹페이지에 공간을 정의 할 때 사용한다. 특정한 수치로 공간을 정의하면 웹에서는 문제없지만 모바일 환경에서는 사이즈가 맞지 않을 수 있다. > p { border: 3px solid coral; } . border
. CSS: Cascading Style Sheets로 웹 개발자가 기본값의 서식을 가진 HTML code에 시각적인 효과를 줄 때 사용하는 언어이다.. style: HTML 코드 안에서 CSS 코드 사용시와 동일한 효과를 줄 때 사용한다. 1개 이상의 style 효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