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 SpringBoot, Java11, Gradle 7.5 코드 Config 파일생성 QueryDSL 연결용 CustomRepository 생성 QueryDSL 작성용 Class 생성 기본 Repository extends 추가 build.gradle
Spring Boot와 Ec2로 CI/CD 하는 과정의 Log를 기록.Web Framework: Spring BootAWS: EC2, CodeDeploy, IAM(role)Etc: Github actionsSpringBoot를 Github에 Push하면 Github a
백그라운드에서 서비스 실행서비스 로그 10줄 보기EC2에서 80포트여는 코드서비스 일반 실행nohup을 병행해서 벡그라운드에서 영원히 실행시키는 코드os단위에서 사용한 코드
삽질 환경 증상 지속적인 HTTP 503 Service Unavailable 에러 발생. 규칙적인 발생이 아닌 불규칙 적인 발생. 별다른 Request가 없어도 주기적으로 503 발생. 로컬에서 작업당시 전혀 문제 없음. 언어 Nest.js 당시 시스템 아키텍처 삽
@UserGuard를 사용해서 로그인에 성공하면 req.user로 JWT 토큰의 값을 반환해준다.다만, Req.user는 Express+JavaScript에서 사용하던 내용이라 TypeScript에서 Type을 찾을 수 없다. NestJs+TypeScript에서 사용하
우리팀은 Notion과 Slack을 사용한다. 팀 전용 Notion Workspace를 만들고 Slack과 연동하여 기록해 놓는다.노션을 통해 실생활에서 불편했던 점을 전부 나열하였다. 노션 템플릿에 표 형식으로 한번에 작업하니 좋았다. 나열한 후 팀원 모두가 처음부터
프로그라피는 6개월 정도의 기간 동안 디자이너와 개발자가 팀을 이루어 아이디어를 구체화하고 프로젝트를 진행합니다. 사업화보다는 즐겁게 서비스를 개발 해 보는 경험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지금 Ieum 프로젝트는 어떤 클라이언트를 선택하는게 좋을까?본 프로젝트의 인원은 총 3명이다. 기획자, 웹 퍼블리셔 그리고 벡엔드 개발자이다. 사업화 과정이라면 말도 안되는 인원이지만 이 또한 "경험"으로 여기고 극복해보고자 한다. 문제는 이렇다.사용자는 휴대성이 중
JWT, Json Web Token ( https://jwt.io/ ) 기술을 도입하기로했다. RESTAPI로 카카오 로그인 후 클라이언트에 저장할 수단이 필요했다. 기존에는 세션을 사용하였으나 트렌드를 배우고자 사용했다.JWT의 장점을 요약하면 이렇다. 로드
이음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작게작게 새로운 경험을 하고 있다. 좋은 경험은 작성해 놓을까 한다.프로세스가 어떻게 진행될지 플로우를 생각해보지 않고 시작하려니 문제가 많았다. id가 1234인 바둑판을 localhost/1234로 불러온다는 가정하에 개발 당시 의
5억 4년만년전 눈(eye)이 처음으로 만들어지고 빠른 속도로 진화하기 시작하였다.사람과 시각 정보를 비슷하게 받아드리는 고양이 뇌를 활용하여 연구하기 시작함.경계 (edge)가 변경되면 반응하는 세포가 있는것을 알아냈고 시각정보는 주로 경계에 의하여 알게되는 것을 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