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TML 특수 문자 코드
- temp 임시 객체 활용법
- useLocation()
💡 HTML 특수 문자 코드
- 레이아웃 작업하면서
>
와 같은 화살표가 필요할 때가 있었다. >
를 사용하는 것은 태그로 인식하여 오류 발생 위험이 있으니 앞으로 특수 문자 코드를 이용하면 되겠다.
특수 문자 | 코드 |
---|
↑ | &uarr |
↓ | &darr |
← | &larr |
→ | &rarr |
↔ | &harr |
< | & lt |
> | & gt |
(공백) | & #10 |
💡 temp 임시 객체 활용법
- 서버에서 받아온 데이터를 console.log를 사용하여 콘솔 창 객체에 저장한다.
Object.keys(temp1).map(v=>typeof v).join()
💡 useLocation()
useLocation()
은 현재 머물고 있는 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알려주는 hook이다.
- 경로 정보를 담고있는 객체이다.
const location = useLocation();
useEffect(() => {
console.log(location);
}, [location]);
{
pathname: '',
search: '',
hash: '',
state: null,
key: 'defaul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