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열 array의 i번째 숫자부터 j번째 숫자까지 자르고 정렬했을 때, k번째에 있는 수를 구하려 합니다.
예를 들어 array가 [1, 5, 2, 6, 3, 7, 4], i = 2, j = 5, k = 3이라면
array의 2번째부터 5번째까지 자르면 [5, 2, 6, 3]입니다.
1에서 나온 배열을 정렬하면 [2, 3, 5, 6]입니다.
2에서 나온 배열의 3번째 숫자는 5입니다.
배열 array, [i, j, k]를 원소로 가진 2차원 배열 command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commands의 모든 원소에 대해 앞서 설명한 연산을 적용했을 때 나온 결과를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
제한사항
array의 길이는 1 이상 100 이하입니다.
array의 각 원소는 1 이상 100 이하입니다.
commands의 길이는 1 이상 50 이하입니다.
commands의 각 원소는 길이가 3입니다.
입출력 예
array commands return
[1, 5, 2, 6, 3, 7, 4][2, 5, 3], [4, 4, 1], [1, 7, 3]] [5, 6, 3]
입출력 예 설명
[1, 5, 2, 6, 3, 7, 4]를 2번째부터 5번째까지 자른 후 정렬합니다. [2, 3, 5, 6]의 세 번째 숫자는 5입니다.
[1, 5, 2, 6, 3, 7, 4]를 4번째부터 4번째까지 자른 후 정렬합니다. [6]의 첫 번째 숫자는 6입니다.
[1, 5, 2, 6, 3, 7, 4]를 1번째부터 7번째까지 자릅니다. [1, 2, 3, 4, 5, 6, 7]의 세 번째 숫자는 3입니다.
my solution
def solution(array, commands):
answer = []
for command in commands:
start = command[0]-1
end = command[1]
arr = array[start:end]
arr.sort()
answer.append(arr[command[2]-1])
return answer
0 또는 양의 정수가 주어졌을 때, 정수를 이어 붙여 만들 수 있는 가장 큰 수를 알아내 주세요.
예를 들어, 주어진 정수가 [6, 10, 2]라면 [6102, 6210, 1062, 1026, 2610, 2106]를 만들 수 있고, 이중 가장 큰 수는 6210입니다.
0 또는 양의 정수가 담긴 배열 number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순서를 재배치하여 만들 수 있는 가장 큰 수를 문자열로 바꾸어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
제한 사항
numbers의 길이는 1 이상 100,000 이하입니다.
numbers의 원소는 0 이상 1,000 이하입니다.
정답이 너무 클 수 있으니 문자열로 바꾸어 return 합니다.
[입출력 예]
numbers return
[6, 10, 2] "6210"
[3, 30, 34, 5, 9] "9534330"
my solution
def solution(numbers):
numbers = list(map(str, numbers))
numbers.sort(key=lambda x:x*3,reverse=True)
answer = str(int(''.join(numbers)))
return answer
문제 설명
H-Index는 과학자의 생산성과 영향력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어느 과학자의 H-Index를 나타내는 값인 h를 구하려고 합니다. 위키백과1에 따르면, H-Index는 다음과 같이 구합니다.
어떤 과학자가 발표한 논문 n편 중, h번 이상 인용된 논문이 h편 이상이고 나머지 논문이 h번 이하 인용되었다면 h의 최댓값이 이 과학자의 H-Index입니다.
어떤 과학자가 발표한 논문의 인용 횟수를 담은 배열 citation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이 과학자의 H-Index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
제한 사항
과학자가 발표한 논문의 수는 1편 이상 1,000편 이하입니다.
논문별 인용 횟수는 0회 이상 10,000회 이하입니다.
입력형식
점수|보너스|[옵션]으로 이루어진 문자열 3세트.
예) 1S2D*3T
점수는 0에서 10 사이의 정수이다.
보너스는 S, D, T 중 하나이다.
옵선은 *이나 # 중 하나이며, 없을 수도 있다.
출력형식
3번의 기회에서 얻은 점수 합계에 해당하는 정수값을 출력한다.
예) 37
입출력 예시
풀이 과정
문제를 이해하는 게 전부였던 문제였다. 그만큼 문제가 이해하기 어려웠다. H - Index 구하는 방법에 대해 잘 모르시겠다면 ?! 아래 글을 읽어보고 문제를 풀어보면 쉽게 풀수 있을 것 같다.
[연구논문을 위한 핵심 10단계] H-지수(H-Index) 란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특정 연구원의 연구성과를 평가하기 위해 얼마나 많은 논문을 발표 하였는지를 보게됩니다. 그러나 단순히 발표한 논문 수로만 그 연구원의 연구 업적을 평가 하기에는 발표한 논문
www.ibric.org
2가지 버전으로 문제를 풀었다.
def solution(citations):
citations.sort()
for idx , citation in enumerate(citations):
if citation >= len(citations) - idx :
return len(citations) - idx
return 0
def solution(citations):
citations.sort(reverse=True)
for idx , citation in enumerate(citations):
if idx >= citation:
return idx
return len(citations)
개인적으로는 내림차순으로 정렬한 뒤 푸는 방법이 더 이해하기 쉬운 풀이 방식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