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de.js API 에서 request 값을 받아 사용자 권한 별로 처리해주는 작업을 하던 도중 Request param,query, body 의 차이가 궁금해졌다. 🙄Request 객체는 API를 컨트롤 하기 위한 메소드 세개를 담고 있다. paramquerybo
node 를 사용하면서 수도 없이 많이 봤던 package.json! 하지만 막상 세부적인 속성 값의 의미를 모르고 있는 것 같아 정리해보려고 한다. package.json 파일은 배포한 모듈 정보를 담고자 만들어졌다. pacakge.json 파일은 기본적으로 Comm
스크립트의 연속적인 실행을 보장하기 위해 사용하는 간단한 CLI 툴로 node.js 앱을 실행시키거나 비정상 종료되었을 때 재실행을 시켜주는 관리도구이다.
Spring, Node.js 차이에 관한 질문을 받았다. 하지만 난 섣불리 대답을 하지 못했다. 😓 질문에 대답하지 못한다면 실제 알고 있는 지식이 아니라고 했는데 .. (김민태 이사님의 말씀이 불현듯 떠올랐다ㅎㅎ) 하여튼! 그래서 이 둘의 차이를 알아보려고 한다.
git 에 올려놓은 프로젝트를 clone 해서 사용하려고 했다. 하지만 그 프로젝트 내에서 npm 을 이용해 여럿 자원들을 설치해 놓아서 css 를 적용시키기 위해서는 프로젝트 내에서 npm install을 해줘야 했다. 음? 그동안 node 정말 잘써왔는데 왜 값자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