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회사에서 새로 런칭을 준비하는 프로젝트가 있다. 팀에서는 이를 위해 Github Actions을 사용하기로 했다. 나는 Jenkins만 사용해봐서 처음에 Github Actions이 뭔지도 몰랐다. 😓 그래서 비교하는 글을 한번 정리해 보고자 한다 :)
13일날, 깃에서 이런 메일을 받았다. 토큰 방식으로 변경된다는 의미인 것 같았지만 유심히 살펴보진 않았다... 3일 후 레파지토리에 변경사항에 대해 push 하려고 했는데, 다음의 에러를 만났다 🤔이런 에러가 발생하는 이유는 8월 13일 부로 push, clone,
어제까지만 해도 잘되던 github가 갑자기 다음과 같은 에러 메시지를 보여줬다.could not resolve host github.com구글링을 했더니 proxy 의 문제가 있다고 하였다. 위 명령어를 git 터미널에 입력했지만 똑같은 에러가 발생했다. 😂hoxy
git 은 소스 코드 버전 관리 시스템으로 로컬에서 변경 사항을 추적하고 원격 리소스에서 변경 사항을 푸시하거나 가져올 수 있다. Github는 공개적으로 사용 가능한 무료 서비스로 모든 코드를 공개해야 한다. EveryBody! github에 푸시한 코드를 보고 개선
학부 시절부터 사용했던 github 계정이 있다. 이 계정을 통해서 개인 프로젝트를 관리해왔다. 요근래 회사에서 프로젝트를 진행하며서 git 계정을 사용하는 일이 있었다. 그 과정에서 개인 프로젝트와 회사 프로젝트를 분리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특히 컨트리뷰션
이 글은 Github Profile Readme로 프로필 꾸미기의 내용을 바탕으로 적용한 결과입니다.7월 9일경 페이스북에서 Github에 새로운 Feature가 나왔다고 한다. Design Github profile using README.md로, Github의 우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