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acle DBTomcat의 conf 디렉토리의 server.xml 파일 수정 1.2. Oracle Settingusername, password은 DB의 사용자명, 패스워드를 입력하고, orcl 자리에 DB명을 입력할 것오라클 DB명, SID 확인방법SQLPLUS로
Apache HTTP Server는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그룹인 아파치 소프트웨어 재단에서 만드는 웹 서버 프로그램이다. 팀 버너스 리가 만든 최초의 웹 서버 프로그램인 "NCSA HTTPd"를 기반으로 만들어졌다.아파치는 확장성이 상당히 좋은데, 모듈이라는 개념으로
네트워크는 Net + Work 의 합성어로써 컴퓨터들이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그물망처럼 연결된 통신 이용 형태를 의미. 좀더 쉽게 말하자면 "두 대 이상의 컴퓨터들을 연결하고 서로 통신(이야기)할 수 있는 것" 이것이 바로 네트워크네트워크의 장점을 말하자면 우리는 파일
설치파일 다운로드jboss-eap-7.3.0.zip -> 공식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설치파일 압축해제unzip jboss-eap-7.2.0.zip -d /JBOSSJBoss 엔진 디렉터리에서 standalone 디렉터리 복사도메인 방식보다 standalone 모드 방식이
MariaDB 공식홈페이지에 들어가 원하는 버전의 source 파일 다운하여 리눅스로 옮겨준다.(https://mariadb.org/download/?t=mariadb&p=mariadb&r=10.10.2&os=windows&cpu=x86_64&pkg=msi&m
$ cmake \\'-DCMAKE_INSTALL_PREFIX=/usr/local/mysql' = mysql을 설치할 기본 경로 지정'-DINSTALL_SBINDIR=/usr/local/mysql/bin' = mysqld server 설치할 위치 지정'-DINSTALL_
웹브라우저(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을 받아 정적인 콘텐츠(html, css, jpeg)를 처리하는 시스템 Web Server 는 HTTP 프로토콜을 주로 처리하는 서버 (따라서 Web Server는 Application Server에 포함)HTTP Request를 받아
Apache 소스코드 컴파일하여 설치gcc 및 관련 패키지 파일 설치webadm 유저 생성useradd webadm/WEB/apache2 디렉토리에 apache 설치특정 디렉토리를 지정하여 일반유저인 webadm으로 설치하는 실습mkdir -p /WEB/apache2A
1) 리눅스 설치 V센터에서 서버 생성 메모리, 스토리지, 운영체제 등을 설정하여 기동. CD/DVD에 리눅스의 ISO 이미지 삽입하여 설치(계열사마다 사용하는 운영체제 상이) 언어 -> 영어, 소프트웨어(개인마다 차이 있으나 GNOME을 많이 사용), 네트워크 -
rpm -qa | grep vsftpd | nl 1 vsftpd-sysvinit-3.0.2-28.el7.x86_64 2 vsftpd-3.0.2-28.el7.x86_64firewall-cmd --permanent --add-port=21/tcpfirew
vi /etc/selinux/config으로 들어가서 disabled가 되어있는지 확인방화벽 비활성화되어야 연결가능1) 패키지 : openssh\*2) 방화벽 : - 포트번호 : 22/tcp \- 서비스 : sshssh의 관련 패키지를 찾는 명령어rpm -qa
LV = Logical Volume 서로 다른 저장장치를 PE라는 단위로 통일하여 하나의 그룹으로 합친 후, 해당 저장용량을 논리적인 개념으로 재분배해서 사용하는 방법 순서 파일 시스템 타입을 Linux LVM으로 재설정( fdisk 진입 후, t 명령 입력 ->
리눅스 부팅 시 장애가 있을 때복구 작업 시작재부팅복구 작업(그래픽 타깃으로 변경)시스템 부팅(런 레벨, 시스템 타깃 변경의 차이)업로드중..
리눅스 기본 set set [옵션] noclobber --> 현재 있는 디렉터리에서 파일 내용을 겹쳐 쓰이는 상황을 막거나 풀 수 있는 명령 -o : 현재 디렉터리 내에서 엎어쓰기(리다이렉션) 안됨 +o : 현재 디렉터리 내에서 엎어쓰기(리다이렉션) 허용 alia
실무에서 자주 쓰는 명령어 split > split [옵션] [대상] [분할 시 파일명] -a : 뒤에 붙을 문자열 개수 조정 --additional-suffix=분할한 파일들 뒤에 공통적으로 문자열을 줄 때 -b : 지정한 크기만큼 분할 -d : 영문이 아닌 숫자로
원격 로그인과 SSH 이 블로그는 로컬 머신에 있는 리눅스에 로그인하는 것이 전제로 작성되었으나, 네트워크만 연결되어 있다면 다른 머신에 있는 리눅스에 로그인하는 것도 가능하다. 로컬 머신에서 다른 머신에 로그인하는 것을 원격 로그인이라 한다. CLI 환경의 리눅스에
패키지 관리 시스템은 패키지 단위로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고 삭제한다. 여기서 패키지란 소프트웨어의 실행 파일, 도큐먼트 파일, 스크립트를 아카이브한 파일 하나를 말한다.현재 리눅스에서 널리 사용되는 패키지 파일 형식으로 rpm과 deb가 있다.패키지 형식 목록패키지 파일
버전 관리 시스템 리눅스를 사용하다 보면 다양한 파일을 만들고 변경하게 된다. 예를 들어 메모를 기록한 텍스트 파일, 배시의 설정 파일, 셸 스크립트 등은 한 번 작성한 것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이후 계속해서 추가나 변경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파일을 편집할 때 가
셸 함수 셸 스크립트를 작성하다 보면 똑같은 처리를 여러 곳에서 중복하여 입력하는 경우가 생긴다. 이 때 중복되는 처리를 함수로 정의해 놓으면 코드가 훨씬 깔끔해진다. 셸 함수는 다음과 같이 function이라는 키워드를 사용하여 정의한다. function 뒤에 함
고도의 텍스트 처리 sed 명령어 : 스트림 에디터 비대화형 에디터 Stream Editor의 약자인 sed는 에디터이다. 하지만 비대화형 에디터이다. 따라서 대화형 에디터인 리눅스의 Vim과는 동작 방식이 다르다 대화형 에디터는 파일을 열어 메모리상에서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