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SAI (Server-Side Ad Insertion)란?
SSAI는 서버에서 광고를 본편 영상과 합쳐서 하나의 스트림처럼 만들어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광고 삽입 기술
클라이언트는 본편과 광고의 차이를 모르고 시청하게 되며, 재생 중 버퍼링이나 광고 차단을 어렵게 함
장점
- 광고 차단이 어려움 (광고가 콘텐츠에 통합되어 있음 )
- 플레이어 호환성이 좋음
- 사용자 경험 향상 ( 끊김 없는 광고 )
SCTE-35란?
SCTE-35는 방송 및 OTT 스트리밍에서 광고 삽입 지점을 나타내는 표준화된 신호(Splice Insert Signal)
MPEG-TS 스트림이나 HLS/DASH 스트림 안에서 광고 삽입의 타이밍을 나타내는 Marker 역할을 함
주요 기능
- 광고 시작/종료 타이밍 지정 ( Splice_time )
- 광고의 unique ID, duration 정보 포함 ( break_duration, break_id )
- 중첩,반복,종료 조건 등도 제어 가능
이 신호를 Ad Decision Server(ADS)가 해석하여 적절한 광고를 요청하고 삽입
Splice(광고 분리 신호)의 동작 원리
- 콘텐츠 프로바이더는 여상 스트림에 SCTE-35 splice 신호를 삽입
- SSAI 서버나 플레이어는 이 신호를 감지해 광고 시점임을 인지
- SSAI 서버는 해당 splice 시점에 맞춰 광고 콘텐츠(광고 VOD 등)을 요청하여 삽입
- 삽입된 광고와 본편 콘텐츠가 하나의 스트림으로 사용자에게 전송
Manifest-based vs Signal-based 광고 삽입 방식 비교
Manifest_based
- 광고 정보를 HLS/DASH manifest(m3u8/mpd)에 직접 기술하는 방식
- manifest의 EXT-X-DATERANGE, EXT-X-CUE-OUT 등을 활용하여 광고 시간대를 정의
- 플레이어가 manifest를 해석해 광고 위치 판단
- 구현이 간단하고 파일 기반 서비스에 적합
- 지연 발생 가능, 정확한 splice sync 어려움
- VOD 기반 FAST 채널에서 사용
Signal-based (SCTE-35 기반)
- 스트림 내부에 SCTE-35 신호를 삽입하여 광고 위치를 정의하는 방식
- MEPG-TS 또는 HLS/DASH 세그먼트에 SCTE-35 splice_info 섹션 삽입
- 서버 또는 SSAI 삽입기가 splice 신호를 감지하여 처리
- 라이브 스트리밍, 방송 송출 시스템과 통합이 용이
- SCTE-35 파서 및 SSAI 서버가 필요하며 복잡도 증가
- 방송 채널 또는 라이브 스포츠 스트리밍
EXT-E-CUE-* 태그 (HLS용 manifest 기반 광고)
- #EXT-X-CUE-OUT:DURATION=30.0 -> 광고 구간 시작(30초 광고 삽입 예정)
- #EXT-X-CUE-IN -> 광고 구간 끝
- #EXT-X-DATERANGE -> 광고/이벤트의 시간 범위 지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