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DN 전 세계에 분산된 서버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사용자에게 콘텐츠를 빠르고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시스템
웹 페이지, 비디오, 이미지 등 정적 및 동적 콘텐츠를 사용자와 물리적으로 가까운 위치에서 제공하여 로딩 시간을 단축하고 서버 과부하를 방지
CDN은 캐싱, 동적 가속, 엣지 로직 계산 등의 원리를 기반으로 작동하며, 이를 통해 웹사이트 성능 최적화, 보안 강화 등의 이점을 제공
콘텐츠를 사용자와 가까운 서버에 캐싱해두고, 사용자가 요청하면 원본 서버가 아니라 가까운 캐시 서버에서 응답 처리
전 세계에 흩어진 여러 서버 중 가장 적절한 서버로 트래픽을 분산하는 기술
GSLB는 인터넷 트래픽을 전 세계에 분산된 서버 네트워크에 걸쳐 배포하여 더 빠르고 안정적인 사용자 경험을 제공
DNS의 업그레이드된 형태로 볼 수 있으며, Health Check를 통해 서버 상태를 주기적으로 확인하여 오류 발생 시 해당 서버로의 요청을 중단함으로써 안정적인 서비스 유지
GSLB는 라운드 로빈, 가중치 라운드 로빈 방식 등으로 로드 밸런싱을 수행하며, 사용자에게 가장 응답 속도가 빠른 서버로 요청을 전달하여 로드 시간을 단축
CDN에서 사용자의 지역 근처에 설치된 네트워크 접점 또는 서버 노드
POP는 CDN 인프라의 핵심 구성 요소로, 여러 네트워크 또는 통신 장치가 연결을 공유하는 지리적 위치 또는 액세스 지점
각 POP에는 CDN 엣지 서버 그룹이 존재하며, 이 서버들은 사용자와 가까운 곳에 전략적으로 배치되어 캐싱된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전달
POP는 캐싱된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더 가까이 저장하여 대기 시간을 줄이고 사이트 로딩 시간을 개선하며, 트래픽을 분산하고 중앙 서버의 부담을 줄여 웹사이트 보안 및 신뢰성 높임
사용자가 요청하기 전에 콘텐츠를 미리 캐시 서버에 배포해두는 것
프리캐싱은 향후 요청을 예측하여 데이터를 미리 저장하거나 캐시하는 기술
자주 액세스되는 데이터나 리소스를 미리 캐시하여 필요할 때 최종 사용자에게 더 빠르게 전달하는 것을 목표
프리캐싱은 웹 브라우저와 같은 클라이언트 측에서 수행될 수도 있고, CDN이나 다른 캐싱 솔루션을 이용하는 서버 측에서 수행될 수도 있으며, 웹사이트나 애플리케이션의 성능 향상, 사용자 경험 개선, 비용 절감 등의 이점을 제공
일반적으로 CDN은 콘텐츠를 온디맨드 방식으로 캐싱 처리
=> 요청이 들어올 때 처음으로 Origin에서 받아오고, 이후 캐싱해서 응답
Pre-caching은 사전에 Origin에서 받아서 POP에 캐싱
=> 대규모 이벤트(예: 신제품 공개, 라이브 방송, 게임출시)에 유용
=> 캐시 미스 없이 빠른 응답 가능
CDN 내부의 캐시 구조를 계층적으로 구성한 것
사용자에게 가장 가까움 (1차 캐시)
가장 빠른 응답이 가능하지만, 용량이 작고 TTL이 짧음
여러 POP이 공유하는 상위 캐시 (2차 캐시)
특정 POP에 없는 콘텐츠는 여기에서 가져올 수 있음
캐시 계층에 없는 경우 최종적으로 요청됨
응답 속도가 가장 느리고, 부하가 가장 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