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9.11 작성
OS : macOs
언어 : Java
애플리케이션 : Eclipse
메모리: 28400 KB, 시간: 516 ms
자료 구조, 우선순위 큐
2024년 9월 11일 16:10:39
절댓값 힙은 다음과 같은 연산을 지원하는 자료구조이다.
배열에 정수 x (x ≠ 0)를 넣는다.
배열에서 절댓값이 가장 작은 값을 출력하고, 그 값을 배열에서 제거한다.
절댓값이 가장 작은 값이 여러개일 때는, 가장 작은 수를 출력하고, 그 값을 배열에서 제거한다.
프로그램은 처음에 비어있는 배열에서 시작하게 된다.
첫째 줄에 연산의 개수 N(1≤N≤100,000)이 주어진다.
다음 N개의 줄에는 연산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정수 x가 주어진다.
만약 x가 0이 아니라면 배열에 x라는 값을 넣는(추가하는) 연산이고, x가 0이라면 배열에서 절댓값이 가장 작은 값을 출력하고 그 값을 배열에서 제거하는 경우이다.
입력되는 정수는 -2(31)보다 크고, 2(31)보다 작다.
입력에서 0이 주어진 회수만큼 답을 출력한다.
만약 배열이 비어 있는 경우인데 절댓값이 가장 작은 값을 출력하라고 한 경우에는 0을 출력하면 된다.
// 절대값 힙은 여기서 새로 정의한 자료구조
// 절대값이 같을 수 있다 --> 음수 우선 출력
// 데이터가 새로 삽입될 때마다 절대값과 관련된 정렬이 필요하므로 우선순위 큐로 문제를 쉽게 해결할 수 있음
// PriorityQueue = 기본형: 우선순위가 낮은 숫자가 먼저 나옴 (작은 숫자)
package absolute_value_heap;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PriorityQueue;
public class baekjoon11286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NumberFormatException, IOException {
// TODO Auto-generated method stub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int N = Integer.parseInt(br.readLine());
// 우선순위 큐
// 비교할 객체 2
PriorityQueue<Integer> myQueue = new PriorityQueue<>((o1, o2) -> {
int first_abs = Math.abs(o1);
int second_abd = Math.abs(o2);
// 절대값이 같은 경우 음수 우선
if (first_abs == second_abd) {
return o1 > o2 ? 1 : -1;
}
// 절대값 작은 데이터 우선
// 첫번째 절대값이 크면 양수 리턴, 두번째 절대값이 크면 음수 리턴
return first_abs - second_abd;
});
for (int i = 0; i < N; i++) {
int request = Integer.parseInt(br.readLine());
if (request == 0) {
if (myQueue.isEmpty()) {
System.out.println("0");
} else {
System.out.println(myQueue.poll());
}
} else {
myQueue.add(request);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