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통4장3절

Johnny Lee·2022년 10월 22일
0

확률과 통계

목록 보기
9/15

4장3절 자료수집대상 선정

1. 자료수집대상: 개인,집단, 조직, 사회적 산출물이 됨

*연구자가 현상을 경험적으로 관찰하는 과정 -> 자료수집 과정

• 사회현상

-> 사회적 실체(social entity), 인공물(artifacts 혹은 social artifacts)이 가진 특성을 모두 포함
->개인(예: 소비자),조직(예:기업)과 같은 사회적 실체
-> 상품, idea등과 같은 인공물(사회적 산출물)

1) 개인

• 사회과학 연구에서 가장 전형적인 분석단위(unit of analysis) 
-> 주로 개인이 가진 속성(attribute)을 종합하고 설명
예) 경영자,직원 등

2) 집단

예) 부부, 가족(family),가구(household), 준거집단(reference group)등

3) 조직

1. 영리조직(for-profit organizatoin) 기업 등
2. 비영리조직(not-for-profit organization): 병원 정부,교육기관,종교

4) 사회적 산출물

• 각종 사회적 실체가 만들어낸 생산물, idea 혹은 행동
예) 유형*무형의 각종 상품(product),광고, 생활양식, 문화 등 실로 무한정
• 바람직한 연구설계

-> 자료수집대상, 즉 분석단위를 명확히 하는 것
예) '광고' vs. '광고출연 연예인' , '기업' vs. '기업구성원(경영인, 종업원)'

2. 전체조사 대 부분조사

1) 전수조사(census)

• 이상적 방법
• 예)인구조사
• 조사시간, 비용 그리고 ㅜㄹ리적 가능성 면에서 현실적으로 실행 불가능
• 전수조사 시 기 조사한 현상이 소멸 가능
• 비표본오차 발생 가능 (pp296~297)
• 조사대상 현상이 무엇인가와 ㅜ구를 대상으로 조사하느냐에 따라 전수조사 가능/바람직할 수도 있음 (예: 해당자가 극소수인 희귀한 질병 연구)

2) 표본조사

• 자료수집대상의 일부만을 관찰하고도 전체 자료수집대상에서 작동중인 현상간의 관계 설명 가능 ->통계학의 도움 필요
• 모집단(population)
	○ 관심있는 현상을 관찰 할 수 있는 자료수집대상 전체
• 표본
	○ 모집단의 일부
• 전수조사
	○ 모집단을 대상으로 조사하는 것
• 표본조사
	○ 표본을 대상으로 조사하는 것
-> 일반적으로 전수조사보다는 표본조사를 압도적을 많이 ㅏ용
전체 연구대상 중 일부를 '어떻게 추출'하는가에 따라서 표본조사의 대표성 확보 가능

3. 표본추출

1) 표본추출의 논리

• 전체(즉 모집단) 자료수집대상에서 일부를 선정하는 것
• 일부를 조사한 결가가 전체를 대표하기 위해서는 모집단의 모든 구성원이 표본에 속할 가능성이 동일한 경우 그 표본은 모집단을 대표할 것이란 논리를 추실히 따라야함

2) 표본추출 절차

(1)모집단 결정

• 요소
	○ 사회과학 현상을 관찰할 수 있는 각 자료수집대상
	○ 정보가 수집되는 단위분석의 
	○ 분석의 기초
• 모집단(population)
	○ 연구현상을 관찰할 ㅜ 있는 모든 자료수집대상의 집합체
	○ 요소의 집합체

(2) 표본프레임 선정

• 모집단을 구성하는 ㅛ소의 목록(list)->표본 프레임
• 표본추출 대상자의 구체적 명단

(3) 포본추출방법 결정

• 연구목적에 적합한 구체적인 표본추출방법을 결정
• 학률표본추출ㅏ 비확률표본추출을 결합해서 사용가능

(4) 표본크기 결정

• 일반적으로 표본의 수가 클수록 정확한 결과가 도출
• 실제로 표본조사대상의 크기는 조사의 목표 및 비용 등에 의존

(5) 표본추출

• 실제 표본 추출

3) 표본추출 방법

1. 확률표본추출(probability sampling)

• 모집단에 속한 모든 구성요소가 ㅛ본에 추출될 확률이 동일한 조건에서 표본을 추출하는 것

<장점> 매우 정확한 결과를 제공
<단점> 표본추출 관련 비용과 ㅣ간이 상대적으로 큼

• 단순무작위표본추출(simple random sampling)

○ 확률표본추출의 정신을 가장 순수하게 구현하는 표본추출
○ 모집단을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에 고유의 번호를 부여하고 난수표를 이용해서 무작위 숫자, 즉 난수를 선택하고 이 숫자에 대응하는 응답자를 표본을 ㅗ선택
-> 단순무작위표본추출 방법을 실제로 그리 많이 사용되지 않음
1) 모집단의 모든 구성원에 수를 부여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려움
2) 다른 확률표본추출방법에 비해 표본오차가 상대적으로 더 클 수 있다는 점

• 체계적표본추출(systematic sampling)

	○ 목록에 등록된 ㅐ k번쨰 요소가 체계적으로 선택되어 표본에 선택되는 방법
	○ 표본추출간격, 표본추출비율, 요소들간의 '주기성' 존재여부

• 층화표본추출(stratified sampling)

○ 표본오차를 더욱 더 감소시켜서 ㅛ본의 대표성을 제고할 수 있는 표본추출방법
○ 전체 모집단에서 직접 표본을 추출하는 대신에, 전체 모집단을 각자 동질적인 하위집단으로 일단 구분하고각 하위집단에서 적절한 수의 요소를 추출하는 방법
-> 층화: 동질적인 하위집단으로의 구분 를 결정하는 변수의 선택에 주의

표본오차(sampling error)

• 표본이 모집단을 대표하지 ㅗㅅ하는 정도
• 두 요인에 의해 영향 받음
1. 표본크기가 클수록 표본오차가 줄어들고
2. 동질적인 모집단은 이질적인 모집단보다 작은 표본오차를 가진 표본을 생산
->층화표본추출은 두 번쨰 요인에 기초

• 군집표본추출(cluster sampling)

○ 표본프레임이 없는 모집단에 대한 표본추출이 필요한 경우도 있게 됨
• ->이러한 경우 먼저 각 요소들의 집단인 군집을 파악/추출한 다음, 각 군집 내에서 요소를 추출하는 방법
예) 대한민국 불교신도에 대한 조사
• 전체적인 표본의 대표성은 상대적으로 떨어지게 됨
• 군집표본추출 시 표본오차를 줄일 수 있는 일반적인 규칙: 각 군집 내에서 추출되는 요소들의 수는 줄이고, 추출할 군집의 수를 늘리는것

2. 비확률표본추출

• 구성요소가 표본에 추출된 확률이동일하지 않은 조건에서 표본을 추출하는 것
• 편의표본추출(convenience sampling)
• 연구자가 접근 간으한 대상자들을 표본을 선정
• 모집단의 특성에 대한 고려 없이 표본을 추출
예) 스벅 커피의 브랜드 확장
장점: 시행이 쉽고 저비용
단점 연구결과의 일반화가 어려움

판단표본추출/유의표본추출
모집에 대한 지식과 연구목적에기초해서 표본을 추출함
모집단의 특성에 대한 사전 지식은 있지만 모집단에실질저그올 접근하기 힘듬.

할당표본추출
• 모집단의 특성이 적절히 반영되도록 모집단 내의 각 집단의 특성애 비례해서 표본을 추출하는 방법
• 연구에서 가장 중요한 변수를 기준으로 할당
• 눈덩이표본추출 -> 우연표본추출의 한 예로 구분되기도 함
• 특정 모집단의 구성원들을 찾아내기 여려운 경우에 사용하는 표본추출방법

profile
You can always be better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