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설계기준 중 가장 중요한 구분은 실험벚 접근법과 비실험적 접근법임
○ 실험설계(experimental design)
연구자가 독립변수를 통제 조작하는 연구설계 <-과학에서 추구하는 이상적인 연구접근법
○ 비실험설계(non-experimental design)
연구자가 독립변수를 통제하지 못하는 연구설계
• 일상생활에서의 실험(experiment): 음식을 만들 ㅐ 소금이나 조미료 양을 조절 ->음식 맛에 영향을 줌
(1) 현장연구
○ 외생변수의 영향을 통제하기 힘든 실제 현장에 직접 나아가서 실시하는 연구
(2) 비현장연구
○ 실제 현장에 직접 나가지 않고 실행하는 연구
○ 연구대상 변수의 거의 완벽한 통제가 가능한 실험실환경에서 수행하는 실험
예1) 신약의 약효를 연구(자연과학 분야)
예2) 광고효과연구(사회과학 분야)
○ 외생독립변수의 제거 및 종속변수 측정 면에서 거의 완벽한 통제가 가능
○ 연구대상자의 무작위화 가능
○ 정확한 측정 가능
-> 높은 내적타당성(internal validity) 가능
○ 인위적으로 조작되는 독립변수의 크기가 제한될 수 있다는 점
○ 실험환경의 인위성(artifitiality)으로 인해 현실과는 다른 환경하에서 독립변수와 종속변수간의 관계가 관찰되기 떄문에 (외적타당성이 낮아짐)
->낮은 외적타당성(external validity)
○ 현실적인 환경에서 독립변수를 조작하는 연구방법
• 실험실실험 현장실험간의 차이
○ 독립변수 통제의 정도상의 차이
• 사회학, 사회심리학, 교육학, 경영학 관련 연구에서 주로 사용
예) 외적보상이 학생들의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를 실제 학교현장에서 연구하는 경우
○ 현장실험에서의 변수간의 관계가 실험실실험에서 ㅗ다 강력하게 검출 됨
->외적타당성(EXTERNAL VLIDITY)면에서 유리한 상황
○ 상당히 복잡한 변수들간의 연구가 가능
○ 독립변수의 조작이 완전하지 않은 점
○ 조사대상자의 randomization 이 가능하지 않은 점
• 설문조사(survey research)
○ 사회과학 분야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연구설계방법
• 설문조사의 유형
○ 조사원(interviewer)이 피설문자(interviewee)를 직접 재면한 상태에서 설문을 시행하는 방법
○ 연구자가 설문지를 설문자에게 우송하고 피설문자가 설문에 응답을 한 후 연구자에게 설문지를 우송하는 방법
3) 전화설문
4) E-mail
○ 많은 연구대상자로부터 많은 변수와 관련된 정보를 얻을 수 있다는 점
○ 수집된 정보의 대표성과 정확성이 상당히 높다점
○ 연구대상 현상을 깊게 설명하기 힘들다고 하는 점
• 현장조사(field study)/현장연구(field research)
○ 현장에서 사회과학현상들간의 관계를 조사하는 비실험적 연구방법
○ 현실성이 있다는 점
○ 현상간 관계의 크기, 즉 효과의 크기가 실험실 환경보다 상당히 크다는 점
○ 특정 현상들간의 관계를 연구하는 과정에서 다른 관계에 대한 여러 가지 (다른)관계를 발견할 수 있는 잠재력이 풍부하다는 점
○ 비실험적(non-experimental)이라는 특징에서 유래, 독립변수를 통제할 수 없음
->현상간의 관계를 명확히 하는 데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음
○ 현장관련 변수를 정확히 측정하지 못하는 경우도 다수 있다는 점
○ 한 시점에서 연구대상을 관찰하는 연구설게
○ 탐색적 연구와 기술적 연구의 경우 대부분 횡단연구적 접근을 사용
○ 상대적으로 적은 시간과 비용으로 많은 변수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음
○ 변수간의 인과관계 추론에 상당한 제약이 있음
○ 동일한 현상을 긴 기간 동안 관찰하는 연구설계
○ 시간에 따른 집단의 변화를 조사하는 종단연구의 한 유형
○ 특정한 집단, 즉 코호트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조사하는 종단적 연구방법
○ 동일한 사람을 대상으로 시간의 경과에 따른 변화를 분석하는 종단적 연구방법
• 종단연구가 횡단연구 대비 많은 장점을 보유
• 시간 및 금전적 비용의 이유로 종단연구가 쉽지 않음
• 횡단적 자료만을 가지고 종단연구와 근접한 결론을 얻을 수도 있음
○ 특정 사회현상을 탐색하기 위한 연구
->현장연구(field research), 문헌조사, 초점집단면접(focus group interview: FGI),사례분석(case study) 등의 방법 사용
-> 계량적 자료 와 질적 자료도 사용
○ 하나의 진행자가 소수의 응답자들을 한 장소에 모아놓고 탐색하려는 주제에 관해 자유로운 대화나 토톤을 유도 및 탐색하
○ 어떠한 현상을 ㅏ지고 있는 특성을 집중적으로 묘사함으로써 궁극적으로 문제해결에 도움을 주는 연구방법
○ 사회현상을 기술하는 목적하에 수행되는 연구
->설문조사, 2차 자료분석, 관찰방법,
-> 계량적 자료와 질적 자료도 사용
○ '왜'에 대한 답을 주는 연구
○ 자연과학 분야 및 사회과학 분야에서도 종종 사용
○ 실험법과 밀접한 관련이 되어있음
• 비 실험적 연구설계로도 인과관계 추론 가능
• 탐색적 연구와 결론적 연구는 상호 보완적
○ 연구자가 현상의 관찰에 개입하는 경우
○ 실험연구와 비실험연구로 다시 구분 가능
• 비실험연구: 설문조사, 현장연구
• 현장연구 중 질적현장연구: 사례연구, 민속지학, 민간방법론 등
○ 연구자가 현상의 관찰에 개입하지 않은 경우
• 2차 자료를 이용한 연구
○ 사람들의 의사소통내용 기록에 대한 분석
• 일반적인 분석단위: 단어, 구절 등의 의사소통 단위
○ 시간과 비용 측면의 경제성
○ 분석과정의 안정성
○ 기록된 내용에 대한 부석만 가능
○ 다른 연구자가 이미 '분석해 놓은'통계자료를 이용하여 자신이 새로 수행하는 연구의 보조자료로 이요하는 데 주로 사용되는 방법
• 통계청 등 정부기관,
○ 질적인 자료 및 양적인 자료 모두 다 이용할 수 있는 비개입적인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