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S - 클로저

hoin_lee·2023년 10월 3일
0

TIL

목록 보기
227/234

클로저

우리가 실행컨텍스트를 배웠다면 클로저는 이해하기 쉽다.

function f1() {
  let i = 0;
  return function () {
    i += 1;
    console.log(i);
  }
}

const ff = f1();
ff(); //1
ff(); //2
ff(); //3

이처럼 함수에 리턴되는 함수를 만들고 리턴된 함수를 다른 변수에 담아 사용한다면 참조되는 Environment Record가 삭제되지 않고 남아있다는 건데 이렇게 말하면 이해하기 힘들 것 같긴 하다.

하지만 실행컨텍스트를 생각한다면 금방 이해된는데 차근차근 봐보자

  • 전역 코드 평가
    가장 먼저 전역 코드가 평가 되는데 이때 전역 코드속에서 호이스팅될 문들을 찾아야하는데 먼저
    • f1 함수가 전역 함수로 선언되어 있기 때문에 <f.o>에 올라가게 된다.
    • ff 변수가 const 선언문으로인해 Declarative Environment Record에 UIY으로 올라간다
  • 전역 코드 실행
    더이상 평가 될 것이 없으니 이제 코드가 실행돼야 하는데 앞에 있는 f1함수는 function 선언문이니 실행할 것은 아니니 넘어간다
    • const ff = f1()문을 할당해줘야 하기 때문에 f1함수를 ()실행한다.
  • f1함수 실행
    f1함수가 실행되었으니 이제 ECS에 f1함수 컨텍스트 스택이 올라가게 되고 f1의 레코드 가 만들어진다.
  • f1함수 평가
    • let i가 있으니 if1함수 실행 환경 레코드에 올리고 return은 실행시 반환될 것이니 아직 대기한다
  • f1함수 실행
    • let i=0을 통해 i에 0을 할당하고 return문을 실행한다
    • return문을 실행하며 함수가 반환되기 때문에 return문에 적힌 익명함수를 <f.o>에 올린다
    • 익명함수를 return한다
  • f1함수 종료 -> 전역 실행으로 돌아감
    f1함수가 종료되면서 실행 컨텍스트는 pop되고 f1함수가 return한 익명함수는 const ff = f1();를 통해 ff라는 변수에 할당된다
    • 이때 원래라면 f1의 함수가 실행 컨텍스트 스택에서 pop 될 때 f1함수가 스택에 올라오며 생성된 Record는 더이상 참조되지 않으니 사라져야 하는게 맞다
    • 하지만 이 Record는 살아있는데 이는 아까 f1함수가 실행되며 return하게된 익명함수가 전역에 있는 ff란 변수를 통해 참조되고 있고 그 익명함수의 [[Envrionment]](함수가 <f.o>를 생성할 당시의 envrecord이기 때문에 f1함수가 실행되며 생성되었다)가 f1의 레코드를 참조하고 있기 때문에 G.C가 돌지 않아 계속해서 살아남아 있는 것이다
  • 그렇기에 그뒤에 실행되는 ff()는 그 <f.o>에 생성된 익명함수를 실행시키는 것이고 그 익명함수는 f1함수의 레코드를 [[Environment]]를 통해 참조하고 있으니 f1함수의 레코드에서 i를 찾아 연산하고 반환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단순히 함수가 함수를 반환하는 것이 클로저가 아니라 이런 Function Object가 생성될 당시의 참조 Record등을 생각해서 이 Record 참조가 계속 유지 되는 것이 클로저이다.

  • 외부 함수를 참조하는 내부 함수(스코프 사슬에 접근) - 안토 아라빈스, 스리칸스 마치리주(Functional Javascript, 2020)
  • 함수가 특정 스코프에 접근할 수 있도록 의도적으로 그 스코프에서 정의하는 것 - 이선 브라운(러닝 자바스크립트, 2017)
  • 로컬 변수를 참조하고 있는 함수 내의 함수 - 야마다 요시히로(자바스크립트 마스터 북, 2017)
  • 자신이 생성될 때의 스코프에서 알 수 있었던 변수들 중 언젠가 자신이 실행될 때 사용할 변수들만을 기억하여 유지시키는 함수 - 유인동(함수형 자바스크립트 프로그래밍, 2017)
  • 함수 선언 시 만들어지는 유효범위가 사라진 후에도 호출할 수 있는 함수 - 베어 바이볼트,존 레식(자바스크립트 닌자 비급, 2014)
  • 이미 생명 주기상 끝난 외부 함수의 변수를 참조하는 함수 - 송형주,고현준(인사이드 자바스크립트, 2014)
  • 자유변수가 있는 함수와 자유변수를 알 수 있는 환경의 결합 - 에릭 프리먼(헤드퍼스트자바스크립트, 2012)
  • 자신을 내포하는 함수의 컨텍스트에 접근할 수 있는 함수 - 더글라스 크록포드(자바스크립트 핵심 가이드, 2008)

각 책들에서 나오는 클로저에 대한 내용인데 한번 읽어보면 좋다

메모이제이션

그럼 이 클로저를 이용해 어떤 걸 활용할 수 있냐면... 우리가 React를 배울 때 많이 했던 memoization 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

만약 우리가 클로저를 활용해 어떠한 값을 레코드 참조로 기억해두고 있다면 만약 다시 실행했을 때 그 값이 있거나 이미 실행했었다면 굳이 다시 코드를 전부 실행하는 것이 아닌 클로저 된 환경에서 해당 값을 찾으면 되는 것이다

메모이제이션 즉 메모하기, 기억해두는 것이다

const forFibonachi = () => {
  const arr = [0, 1];

  return (k) => {
    if (arr.length > k) return arr.slice(0, k + 1);
    for (let i = arr.length; i <= k; i++) {
      arr[i] = arr[i - 2] + arr[i - 1];
    }
    return arr;
  };
};
const fibo = forFibonachi();

피보나치 수열을 메모이제이션 하는 것인데
forFibonachi가 return하는 함수가 있고 return되는 익명함수에 arr을 클로저 시켜 저장하도록 했다
return된 익명함수는 피보나치 수열을 동작하지만 만약 내가 이미 한번 실행했던 피보나치 수열의 위치라면 for반복문을 실행하지 않고 slice를 활용해 해당 위치까지의 피보나치 수열을 반환한다.

고로 똑같은 값을 2번 실행하면 1번째는 반복문을 똑같이 실행하겠지만 2번째는 반복문을 실행하지도 않고 바로 답을 반환하여 시간,메모리 모두를 아낄 수 있다

profile
https://mo-i-programmers.tistory.com/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