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프트웨어 품질 특성
품질특성 | 설명 |
---|
기능성(Functionality) | 명시된 요구와 내재된 요구를 만족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능력 |
신뢰성(Reliability) | 성능 수준을 유지할 수 있는 능력 / 주어진 기능을 오류 없이 수행하는 정도 |
사용성(Usability) | 사용자에 의해 이해되고, 학습되고, 사용되고 선호될 수 있는 능력 |
효율성(Effciency) | 자원의 양에 따라 요구된 성능을 제공하는 능력 |
유지보수성(Maintainability) | 제품이 변경되는 능력 |
이식성(Portability) | 한 환경에서 다른 환경으로 전이될 수 있는 능력 |
요구사항 명세 단계 주요기법
비정형 명세 기법
- 사용자의 요구를 표현할 때 자연어를 기반으로 서술하는 기법
- 사용자와 개발자의 이해가 편함
- 명확성 및 검증에 문제가 있음
정형 명세 기법
- 사용자의 요구를 표현할 때 수학적인 원리와 표기법으로 서술하는 기법
- 정형 명세 언어인 Z-스키마, Petri Nets, 상태 차트 활용
- 기법의 이해가 어렵다
UWB (Ultra Wide Band : 초광대역무선)
- 중심 주파수의 20% 이상의 점유 대역폭을 가지는 신호, 또는 점유 대역폭과 상관없이 500MHz 이상의 대역폭을 갖는 신호와 수 GHz대의 초광대역을 사용하는 초고속의 무선 데이터 전송 기술 대충 외우자 USB같은 너낌으로~
킬 스위치(Kill Switch)
- 스마트폰 이용자가 도난당한 스마트폰의 작동을 웹사이트를 통해 정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일종의 자폭 기능으로 스마트폰의 유통, 도난이나 분실을 어느 정도 막을 수 있고, 단말기의 펌웨어나 운영체제에 탑재되는 기술
그냥 스마트폰 훔쳐간 놈이 죽었으면 좋겠다 라고 대부분 생각하니 그런 너낌으로 외우자~
인증(Authentication)기술 유형
유형 | 설명 | 예시 |
---|
지식 기반 인증 | 사용자가 기억하고 있는 지식 | ID/패스워드 |
소지 기반 인증 |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 물품 | 공식인증서, OTP |
생체 기반 인증 | 고유한 사용자의 생체 정보 | 홍채, 정맥, 얼굴, 지문 |
특징 기반 인증 | 사용자의 특징을 활용 | 서명, 발걸음, 몸짓 |
트랜잭션의 주요 특성
- 트랜잭션이란?
-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하나의 논리적 기능을 정상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기본 단위
특성 | 설명 |
---|
원자성(Atomicity) | 분해가 불가능한 작업의 최소단위 / 하나라도 실패할 경우 전체가 취소되어야 하는 특성 |
일관성(Consistency) | 트랜잭션이 실행 성공 후 항상 일관된 데이터베이스 상태를 보존해야 하는 특성 |
고립성(Isolation) | 트랜잭션 실행 중 생성하는 연산의 중간 결과를 다른 트랜잭션이 접근 불가한 특성 |
영원성(Durability) | 성공이 완료된 트랜잭션의 결과는 영속적으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특성 |
EAI의 구축 유형
- EAI(Enterprise Architecture Intergration)
- 아키텍쳐 대신 어플리케이션이 쓰이기도 하는데 암튼 EAI란 기업 내 어플리케이션들이 상호연동 될 수 있도록 통합하는 솔루션이다.
구축 유형 | 설명 |
---|
포인트 투 포인트 | 1:1 단순 통합 방법 |
허브 앤 스포크 | 단일한 접점의 허브에 중앙 집중적 방식 |
메시지 버스 | 어플리케이션 사이 미들웨어(버스)를 두어 연계하는 방식 |
하이브리드 | 그룹 내부는 허브 앤 스포크 방식을 사용하고, 그룹 간에는 메시지버스를 사용하는 혼합방식 |
크리스티 매튜슨의 명언을 끝으로 이번 글은 여기까지 하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