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file
부먹 개발자 랑고입니다.
태그 목록
전체보기 (38)카카오클라우드스쿨(25)Spring(16)Java(14)Spring boot(12)github(7)aws(6)JPA(5)docker(4)JavaScript(4)Thread(3)spring security(3)jenkins(3)cloud(3)spring-data-jpa(3)eks(3)blog(3)MVC(2)MVC 패턴(2)git(2)CI/CD(2)ec2(2)RestTemplate(2)JWT(2)WEBRTC(2)annotation(2)Pull Request(2)DTO(2)aws vpc(2)kubernates(2)IoC(1)LomBok(1)ddl auto(1)restful api(1)rds(1)AWS IAM(1)S3(1)loadbalancer(1)hub(1)oAuth(1)DockerHub(1)maven(1)validation(1)유효성검사(1)k8s(1)web socket(1)acm(1)route53(1)lambda(1)알고리즘(1)Scanner(1)jekyll(1)IoC/DI(1)bean(1)Subnet(1)POJO(1)private repository(1)gradle(1)node.js(1)entity(1)ALB(1)frontend(1)IO(1)inheritance(1)https(1)REST API(1)mongodb(1)nested class(1)soft delete(1)CS(1)Spring의 필요성(1)aop(1)build(1)Spring-legacy(1)Java api(1)Lazy loading(1)config(1)git fork(1)di(1)authorization(1)Spring 탄생 배경(1)git-submodules(1)mysql(1)Spring 핵심요소(1)CSS(1)Constructor(1)html(1)docker-image(1)TRIGGER(1)exception handling(1)API Gateway(1)upload(1)spring-rest-docs(1)spring mvc(1)BufferedReader(1)webhook(1)Markdown(1)servlet(1)simple-jekyll-search(1)nosql(1)template method pattern(1)db(1)validator(1)가비아(1)react.js(1)MariaDB(1)RDBMS(1)Swagger(1)AWS Managed Service(1)Builder(1)ODM(1)VO(1)OneToOne(1)Token(1)file(1)JPQL(1)PSA(1)algorithm(1)argocd(1)PR(1)Cloud Native(1)github page(1)authentication(1)MVC 패턴 규칙(1)html5(1)Spring의 정의(1)jsr-303(1)search(1)chroot(1)Spring Profiles(1)P2P(1)ingress(1)ResponseErrorHandler(1)Manifest(1)API documents(1)코드 리뷰(1)AWS Certificate Manager(1)rest-client(1)Method Reference Expression(1)자료구조(1)File System(1)ORM(1)
post-thumbnail

Spring 파헤치기 - 두번째 이야기

이번 글에서는 Spring의 핵심 요소인 IoC와 DI, AOP, PSA에 대해서 배우고 이해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이 3가지 핵심 원리를 통해 Spring에 대한 막연한 지식들을 다시 배우고 정리할 수 있었습니다.

약 20시간 전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Spring 파헤치기 - 첫번째 이야기

Spring 개발자로 지내왔지만, Spring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들을 막현하게 알고 있던 제 모습을 보게 되었습니다. Spring에 대한 기초 지식 습득 및 이해를 위해 Spring이 무엇인지, 왜 등장했는지, 왜 필요한지를 학습하고 기록해보았습니다.

2023년 5월 31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나는 개발하며 MVC 패턴을 잘 지키고 있었을까?

MVC 패턴의 규칙들을 알게 되었는데, 과연 내가 개발했던 코드는 이 규칙들을 잘 지키고 있었는지 리뷰하고 평가하기 위해 고민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2023년 5월 23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여기도 MVC, 저기도 MVC! MVC 패턴이 뭐야?

어딜가든 MVC에 대해서 많이 듣고 접하게 되는데 과연 MVC 패턴은 무엇이고 왜 등장했는지, 더 나아가 MVC의 필요성과 한계점은 무엇인지 학습하고 고민한 내용을 기록하였습니다.

2023년 5월 16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Kakao Cloud School] 25번째 회고록

최종 프로젝트가 마무리되어가고 있습니다. 발표를 위한 문서화도 중요하지만, 수료 이후 어떤 계획을 가지고 개발자로 나아갈지 정하는 것도 중요하기 때문에 바쁜 나날을 보냈습니다.

2023년 5월 14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Kakao Cloud School] 24번째 회고록

24주차 시간을 보내면서 부족한 부분을 다시 한번 느끼게 되었습니다. 프로젝트를 개발하면서 이유와 목적을 분명하게 가지는 태도의 중요성을 깨닫게 되었고, 그저 되는대로 개발하는 태도를 지양하기로 했습니다.

2023년 5월 10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Kakao Cloud School] 23번째 회고록

카카오 클라우드 스쿨에서의 23주차 교육과정이 마무리 되었습니다.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기획하고 설계한 것에 비해 개발 단계에서 미처 구현하지 못하는 것들이 많음을 느꼈고, 이번 프로젝트에서 경험한 오버 엔지니어링을 어떻게 개선할 수 있을까 고민해볼 수 있었습니다.

2023년 4월 24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Kakao Cloud School] 22번째 회고록

서비스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도 중요하지만 서비스의 목적을 분명히 알고 있어야 합니다. 개발에 몰입하면서 이러한 부분을 자주 놓치게 되는데 팀원들과 스프린트나 미팅 시간 속에서 프로젝트의 목적과 방향성에 대해서 꾸준히 이야기하려고 합니다.

2023년 4월 3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Kakao Cloud School] 21번째 회고록

파이널 프로젝트가 시작된지 한달이 지났습니다. 한달도 남지 않은 시점에서 정해진 일정 내에 좋은 퀄리티로 개발을 진행할 수 있도록 팀 단위 스프린트를 유동적으로 늘리고 코드 리뷰 시간과 도입한 CS 기술 공유 시간을 주기적으로 가질 예정입니다.

2023년 3월 26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Kakao Cloud School] 20번째 회고록

카카오 클라우드 스쿨 20주차 기간이 지났습니다. 파이널 프로젝트의 애플리케이션 개발 초기 설정을 진행하면서 팀 단위의 일일 개발내역 회고, 문제 상황에 대한 고민시간 제한 등의 이슈를 제안하면서 어떻게 효율적인 개발을 할 수 있을까 고민하는 시간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2023년 3월 19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Kakao Cloud School] 19번째 회고록

프로젝트 기간동안 정해진 일정 안에서 계획했던 것들이 순조롭게 이루어지지 않음을 느낍니다. 이 때, 혼자 끙끙 앓지 않고 팀원들에게 나의 이슈를 공유하고 피드백 받으며 효율적으로 업무를 진행할 수 있었으며, 보다 동기부여를 받을 수 있음을 느끼게 되었습니다.

2023년 3월 13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Kakao Cloud School] 18번째 회고록

18주차 부터는 온전히 파이널 팀 프로젝트를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이 기간동안 카카오 클라우드 스쿨에서 어떤 것을 배웠고, 고민했고, 하고 싶었는지를 잘 보여주기 위해 팀원들과 충분히 소통하여 각자의 퍼포먼스를 최대로 이끌어낼 수 있도록 노력할 것입니다.

2023년 3월 2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Kakao Cloud School] 17번째 회고록

카카오 클라우드 스쿨 17주의 교육과정이 끝났습니다. 이제 파이널 프로젝트를 통해 어떤 것을 배웠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민했던 흔적들을 잘 녹여내야 한다고 느꼈습니다. 이제는 교육생의 입장이 아닌 취준생의 입장이 되었으니 살아남기 위해서 더 노력하려 합니다.

2023년 2월 26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Kakao Cloud School] 16번째 회고록

카카오 클라우드 스쿨에서의 교육이 끝나가고 있습니다. 여태까지 공부하면서 그냥 되는대로 개발하는 마음가짐을 줄이기 위해 부단히 노력했지만 아직 많이 부족함을 느낍니다. 항상 무엇을 위해서, 왜 개발하는지를 생각하며 교육이나 프로젝트를 진행하기로 다짐하였습니다.

2023년 2월 21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Kakao Cloud School] 15번째 회고록

AWS나 쿠버네티스 등 클라우드에 대한 다양한 기술적 내용을 접하게 되니 넘어야할 산이 너무나도 많다고 느껴졌습니다. 그래서 일정 및 계획 관리의 중요성을 느끼게 되었고 보다 효율적으로 공부하고 개발하기 위해 계획을 세우는 것을 소홀히 하지 않을 것입니다.

2023년 2월 12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Kakao Cloud School] 14번째 회고록

Kubernates와 AWS의 EC2, RDS를 배우게 되었습니다.공부를 하면서 학습할 때는 괜찮았지만, 실무가 기준이 되면 괜찮지 않은 것들이 생각보다 많았습니다. 나쁜 선택을 피하기 위해서 공부한 것들을 실전이라 생각하고 다양하게 응용해야함을 느꼈습니다.

2023년 2월 4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Kakao Cloud School] 13번째 회고록

교육과정 13주차가 지났습니다. Spring Security 실습을 마치고 Linux와 Docker에 대해서 배우게 되었습니다. 교육과정 속에서 꾸준히 공부하는 것이 쉽지 않음을 매번 느낍니다. 하지만 도태되지 않기 위해서 공부를 게을리 하지 않을 것입니다.

2023년 1월 28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Kakao Cloud School] 12번째 회고록

Spring을 통해 File Upload, N:M 관계와 AOP, Spring Security를 간단한 실습을 통해 배우게 되었습니다. 스프링을 배우면 배울수록 앞으로의 숙제가 더욱 많아짐을 느낍니다.

2023년 1월 20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Kakao Cloud School] 11번째 회고록

Spring Boot를 활용한 실습 프로젝트 위주로 교육 주간을 보냈습니다. copy&paste 위주의 코딩이었지만 해당 코드를 어떻게 리팩토링할 수 있는지, 레거시 기술이 적용된 것은 없는지 고민하는 시간을 투자하니 의미있는 학습 시간을 보낼 수 있었습니다.

2023년 1월 15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Kakao Cloud School] 10번째 회고록

Spring Boot를 많이 사용한다고 해서 Spring Legacy를 쓰지말라는 것은 정답이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Spring Boot에 의존하기보다 Spring Framework의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Spring Boot를 이용할 것입니다.

2023년 1월 11일
·
0개의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