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mmary
(P)Persona
(CJM)Coustomer Journey Map
(AD)Affinity Diagram
장단점 유의사항 초점
디자인 방법론 Waterfall vs. Agile vs. Lean
➢ Waterfall process (워터폴 프로세스)
➢ Agile process (애자일 프로세스)
➢ Lean process (린 프로세스)
UX 디자인 프로세스
➢ 더블 다이아몬드 프로세스
✓ Research → Modeling → Prototyping → Test
디자인 리서치
✓ 인터뷰 기법 vs. 관찰 조사법
✓ 정성적 리서치 (Qualitative Research): 사용자가 원하는 바를 통찰해 결과를 얻는 방법으로, 주관적임.
✓ 정량적 리서치 (Quantitative Research): 전반적인 상황이나 수치 데이터를 이용해 이해관계자를 설득하는 방
법으로 객관적임.
디자인 리서치 프로세스
✓ 목표 설정: 적합한 리서치의 대상을 선정하기 위하여 대상에 대한 예측을 정리하는 단계
✓ 이슈 정의: 사용자에게 무엇을 물어볼 것인가에 대한 이슈를 정의하는 단계
✓ 기법 정의: 이슈를 조사하기에 가장 적합한 리서치 방법을 선택하는 단계
✓ 수행: 여러 가지 예상 시나리오를 작성하여 리서치를 실행하는 단계
✓ 결과 분석: 테이블이나 인포그래픽, 매트릭스형 등의 도식을 사용하여 결과를 분석하는
➢ 데스크 리서치
✓ 시장, 경쟁사, 트렌드, 기술과 관련된 이슈들을 조사하기 위해서 수행하는 활동
➢ 필드 리서치
✓ 사용자를 대상으로 조사
✓ 설문조사, 심층 인터뷰, 관찰조사
➢ 디자인 리서치 계획
대상 선정
내용 설계
방법 계획
일정 계획
➢계획부터 세워라.
✓ 리서치 대상자 수를 결정하라.
✓ 주제를 객관화하라.
✓ 파일럿 테스트를 하라.
✓ 사용자를 편견 없이 항상 감지하라.
필드리서치
✓설문조사
✓사용자인터뷰,심층인터뷰
✓FGI(Focus Group Interview)
✓맥락질문법(Contextial Inquiry)->사용자가 작업을 하는 환경에 대해 풍부한 정보를 얻고 싶을때
사용자 인터뷰 +디자인 에스노그라피
✓사용자 관찰(User Obervation)
-사용자 관찰을 통한 사용 맥락을 수집하는 방법
✓디자인 에스노그라피(Design Ethnography)
한자리에서 관찰하기(장소 관찰, town watching)
따라다니며 관찰하기(동행 관찰, shadowing)
현장에서 질문하기(맥락질문법, contextual inquiry)
정반대를 관찰하기(investigate opposites)
비디오로 기록하기(video ethnography)
✓다이어리 스터디->사용자들의 장기적 행동을 이해하고자 할 때
ESM vs DRM ->사용자의 정서를 같이 기록하는 방법
경험 표집법(ESM)
일상재구성법(DRM)
습관 : 사용자들은 몇 시에 참여하는가?
사용 시나리오 : 사용자들은 어떤 자격으로 참여하는가?
태도와 동기 : 사람들이 특정 행동을 계속하게 되는 동기가 무엇인가?, 사람들은 어떻게 느끼고 생각하는가?
행동과 관점의 변화 : 시스템이 얼마나 학습 가능한가? 시간이 지나면서 사람들의 충성도에 변화가 있는가?
고객 여정 : 여러 기기와 채널을 통해 여러분의 조직과 상호 작용할 때 참가자들이 경험하게 되는 전형적인 고객 여정과 크로스 채널, 사용자 경험은 어떠한가?, 복수의 서비스 터치 포인트의 누적 효과는 어떠한가?
✓사용성 평가
검사법
설문조사법
면접법
시험법
관찰법
사용흔적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