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현재 로컬 저장소로 이동하고, 다음과 같이 원격 주소를 조회해보면 Fork한 Repository만 조회될 것 이다. (Fork한 Repository를 Clone하였으므로 당연히 존재)//현재 설정된 원격 주소 조회$ git remote -vorigin https&
진행중인 프로젝트에 이메일or휴대폰 으로 인증을 구현할 일이 생겼다.먼저 이메일 인증을 해봤고 휴대폰 인증까지 해보려고 한다.많은 구글링을 했고 대부분 coolsms를 많이들 사용했는데 NAVER CLOUD에서도 지원하는 SMS API가 있기에조금 더 친숙?한 네이버
지난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Redis를 처음 써봤다. 실시간 채팅을 구현하여 채팅 내역을 저장하려고 했지만 서비스 특성상 채팅 내역은 DB에 저장하고 실시간 채팅 인원수 카운팅 하는데 사용했다.회원가입 시 이메일을 통해 인증번호를 발송하고 해당 인증 번호를 Redis에
전에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구현해보고 싶었던 회원가입 시 인증 과정을 구현해봤다.휴대폰 인증을 해보고 싶었고 휴대폰 인증 전 이메일 인증을 먼저 구현했다.추후 휴대폰 인증도 구현 예정이고 인증번호를 Redis에 저장하는 방법도 구현해 볼 예정이다.buid.gradleh
Overview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API는 Notion에서 관리했다. 그 과정에서 팀원중에 실수로 수정하거나 삭제하는 경우가 발생해서 난감했던 상황도 있었다. 우리는 프로젝트 막바지에 Swagger를 알게되었고 배포가 끝난 상황에서 적용해봤다. 처음엔 UI가 보기
Spring을 처음 공부하면서,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자연스럽게 당연히? Tomcat을 사용하게 되었다. 처음 Tomcat을 사용하면서 WAS(Web Application Server) 라는 것은 알고 있었고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HTTPS와 무중단 배포를 구현하면서
스프링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JPA의 영속성 컨텍스트를 개념만 알고 별도로 정리하지 않고 넘어갔다. 지금 이렇게 하나하나 개념을 정리하고 있으니 JPA 영속성 컨텍스트도 다시 한번 익히고 정리해보려고 한다.영속성 컨텍스트란?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사용했던 접근제어자는 public 과 private만 사용해봤었다.이외에 2가지의 접근제어자가 있다고는 알고 있었지만 사용해보진 못했다. 이번 기회에 접근제어자에 대해 정확히 이해하고 넘어가야겠다.접근제어자는 클래스나 변수, 메서드의 접근을 제어하
JVM 메모리 구조를 보기전에 JVM이 무엇인지 알아야 한다.JVM은 Java Virtual Machine의 약자로 자바 가상 머신이라고 한다. 자바와 OS(운영체제) 사이에서 중개자 역할을 수행하며 자바가 OS(운영체제)에 구애 받지 않고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도록
Garbage Collection 약어로 GC라고 부른다.메모리 관리 방법중 하나로 시스템에서 더이상 사용하지 않는 동적 할당된 메모리 블럭을 찾아 자동으로 다시 사용 가능한 자원으로 회수하는 것으로 시스템에서 가비지컬렉션을 수행하는 부분을 가비지 컬렉터라 부른다.가비
스프링을 사용하면서 빌드 관리 도구인 그래들만 사용하였다.처음 스프링을 학습하면서 자연스럽게 그래들을 사용했고 프로젝트를 생성할때 메이븐 이라는 것도 있구나 정도 봤었고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열심히 삽질? 구글링을 통해서 많은 사람들이 그래들 뿐만 아니라 메이븐을 사용
OO 연구소는 한 번에 K 칸을 앞으로 점프하거나, (현재까지 온 거리) x 2 에 해당하는 위치로 순간이동을 할 수 있는 특수한 기능을 가진 아이언 슈트를 개발하여 판매하고 있습니다. 이 아이언 슈트는 건전지로 작동되는데, 순간이동을 하면 건전지 사용량이 줄지 않지만
JVM은 기본적으로 Stack메모리와 Heap메모리 라는 두가지 저장 공간을 이용하여 메모리를 할당한다고 배웠다.Stack메모리와 Heap메모리가 무엇인지 차근차근 다시 알아보려고 한다.먼저 메모리란, 프로그램이 실행되기 위해서는 운영체제(OS)가 프로그램의 정보를 메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Spring Security를 활용해서 회원 로그인/로그아웃 처리 과정을 구현 했었다.당시 시간이 촉박하다는 핑계로 상세하게 들여다보지 않고 로그인이 되는 상세 처리 과정만 이해하고 넘어갔었다. 로그인 과정로그인 시도 -> username, pas
전에 GET과 POST의 차이점에 대해 정리하면서 POST와 PUT도 함께 정리했었는데저장이 안되었는지 어디에도 찾아볼 수 없었다..그래서 다시 정리해보려고 한다.POST는 Create(생성), PUT은 Update(수정)에 매칭되는데,자원에 대한 생성은 POST가 담
짝지어 제거하기는, 알파벳 소문자로 이루어진 문자열을 가지고 시작합니다. 먼저 문자열에서 같은 알파벳이 2개 붙어 있는 짝을 찾습니다. 그다음, 그 둘을 제거한 뒤, 앞뒤로 문자열을 이어 붙입니다. 이 과정을 반복해서 문자열을 모두 제거한다면 짝지어 제거하기가 종료됩니
124 나라가 있습니다. 124 나라에서는 10진법이 아닌 다음과 같은 자신들만의 규칙으로 수를 표현합니다.124 나라에는 자연수만 존재합니다.124 나라에는 모든 수를 표현할 때 1, 2, 4만 사용합니다.예를 들어서 124 나라에서 사용하는 숫자는 다음과 같이 변환
새로 생긴 놀이기구는 인기가 매우 많아 줄이 끊이질 않습니다. 이 놀이기구의 원래 이용료는 price원 인데, 놀이기구를 N 번 째 이용한다면 원래 이용료의 N배를 받기로 하였습니다. 즉, 처음 이용료가 100이었다면 2번째에는 200, 3번째에는 300으로 요금이 인
점심시간에 도둑이 들어, 일부 학생이 체육복을 도난당했습니다. 다행히 여벌 체육복이 있는 학생이 이들에게 체육복을 빌려주려 합니다. 학생들의 번호는 체격 순으로 매겨져 있어, 바로 앞번호의 학생이나 바로 뒷번호의 학생에게만 체육복을 빌려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4
2×n 크기의 직사각형을 1×2, 2×1 타일로 채우는 방법의 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아래 그림은 2×5 크기의 직사각형을 채운 한 가지 방법의 예이다.첫째 줄에 n이 주어진다. (1 ≤ n ≤ 1,000)첫째 줄에 2×n 크기의 직사각형을 채우는 방법의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