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는 계속 풀었었는데, 생각보다 리뷰 작성하기가 쉽지 않은 것 같다.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이랑 구현 문제 위주로 풀고 있는데, 풀릴 듯 말듯 애매하다 푸는데 5번은 시도했던 문제였다.왜 이렇게 안풀리는지ㅠㅠ조합하고 Counter 이용해서 푸는 구현 문제 였다.python
단순한 BFS 문제였다. 간단한 BFS/DFS는 풀 수 있는데, 좀 꼬아놓으면 시간이 너무 오래걸려서 더 공부를 해야겠다... 욕심같이서는 다익스트라나 플로이드 같은 알고리즘 공부하고 싶은데, 왜 이렇게 머리에 안들어오는지 모르겠다...BFS란 루트노드에서 시작해서 인
경우의 수를 나누고 rfind()와 규칙만 잘 찾으면 됐던 문제짝수의 경우는 num+1홀수의 경우에는 1) '01'이 있을 때 : '01' -> '10'으로 교체 (3,5,7,...)2) '01'이 없을 때 (= 모든 수가 1일 때) : 앞에 0을 붙이고 '10'으로
교집합과 합집합만 구하면 쉬운 문제였는데, 합집합의 개수를 세는 과정에서 애를 먹었던 문제였다. 문제 예시에 나와있는 부분들을 자세하게 안 읽었던 패착이 있었다... 나는 합집합 개수만 세면 되는줄 알았지..집합연산은 Set, Counter를 통해 연산을 할 수 있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