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ud Barista 2주차 과제 2nd Action Items 1 1. [1st Action Item]에서 시도하지 않았던, CSP에 대하여 VM 생성 및 접속 연습 AWS VM 생성 및 접속 콘솔 화면 VM 접속  프로젝트를 만든다. 보통 기업에서는 조직을 구성해서 role이나 Biiling 관련 된 작업을 진행하지만, 해당 과제에서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듯 하여 구성하지 않았다. 2) 프로젝트 접속 후
문제가 잘 풀리지 않는다.. 어디까지 공부를 해야할지도 모르겠고, 이것도 해야할 거 같고 저것도 해야할 것 같아서 마음은 급한데, 별로 성과가 안나오는거 같아서 ㅎㅎ 힙은 특정한 규칙을 가지는 트리로, 최댓값과 최솟값을 찾는 연산을 빠르게 하기 위해 고안된 완전 이진
문제는 계속 풀었었는데, 생각보다 리뷰 작성하기가 쉽지 않은 것 같다.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이랑 구현 문제 위주로 풀고 있는데, 풀릴 듯 말듯 애매하다 푸는데 5번은 시도했던 문제였다.왜 이렇게 안풀리는지ㅠㅠ조합하고 Counter 이용해서 푸는 구현 문제 였다.python
너무 더워서 그런가 문제가 잘 안풀려서 쉬운문제부터 풀었다..카카오 코테 후반부 문제들만 남았는데, 너무 어렵고 답을 봐도 한번에 이해가 가지 않아서 이 체력과 집중력에 푸는건 무의미하다 싶다. 아무래도 풀었던 문제를 한번 더 풀어보는게 어떨까 싶다.. 아직 많이 남았
오늘도 공부한 알고리즘 정리하기,, 문제를 풀어야하는데 은근히 알고리즘 이론 공부하는게 재밌어서 정리하게 된다.말그래도 가장 짧은 경로를 찾는 알고리즘 ('길 찾기' 문제라고 불림)문제의 유형은 아래 2개가 가장 대표적이다 '한 지점에서 다른 특정 지점까지의 최단 경로
어제의 리뷰는 아니고.. 오늘 공부한 python 문법들 까먹기 전에 정리 해놓기 소수 찾는 문제는 알고리즘 노트 형식으로 알고 있는게 좋을 거 같아서 정리 해놓는다시간 초과 안나는 math.sqrt 사용한 isPrime() 함수 여러 데이터를 한번에 다른 형태로 변환
단순한 BFS 문제였다. 간단한 BFS/DFS는 풀 수 있는데, 좀 꼬아놓으면 시간이 너무 오래걸려서 더 공부를 해야겠다... 욕심같이서는 다익스트라나 플로이드 같은 알고리즘 공부하고 싶은데, 왜 이렇게 머리에 안들어오는지 모르겠다...BFS란 루트노드에서 시작해서 인
경우의 수를 나누고 rfind()와 규칙만 잘 찾으면 됐던 문제짝수의 경우는 num+1홀수의 경우에는 1) '01'이 있을 때 : '01' -> '10'으로 교체 (3,5,7,...)2) '01'이 없을 때 (= 모든 수가 1일 때) : 앞에 0을 붙이고 '10'으로
교집합과 합집합만 구하면 쉬운 문제였는데, 합집합의 개수를 세는 과정에서 애를 먹었던 문제였다. 문제 예시에 나와있는 부분들을 자세하게 안 읽었던 패착이 있었다... 나는 합집합 개수만 세면 되는줄 알았지..집합연산은 Set, Counter를 통해 연산을 할 수 있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