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os webview나 safari는 기본적으로 window.open 이 막혀있음먼저 ios webview에서 팝업을 사용하려면 아래처럼 설정해줘야한다그러면 동작한다.그럼에도 불구하고 동작하지 않을 때가 있다.정확한 원인은 모르겠지만 사파리에서도 똑같은 증상이 발생한다
애플 개발자 사이트에 가입한다멤바쉽 가입한다개발자 사이트에서 앱 등록한다ios11부터는 앱아이콘을 넣어서 빌드해줘야 testFlight에서 테스트가 가능그게 아니면 유선케이블 연결해서 xcode에서 테스트앱아이콘은 1024x1024 하나 만들고 애플에서 요구하는 각종
AOS/iOS 푸시를 보낼떄 동적으로 프로퍼티 이름을 변경해줘야할 필요성을 느꼈다. 원래는 프로퍼티 이름이 "data" 이기만 하면 됐다. 그런데 iOS 에선 "notification" 으로 변경 해줘야 했다. 다른 클래스를 생성하기는 그렇고, 아래처럼 동적으로
RESTful API란HTTP 메소드와 URI 사용에 규칙을 정해놓고 제공하는 API이다. (나)RESTful API는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으며 효율적인 소프트웨어 통신 표준을 따른다. URI을 통해 클라이언트가 요구하는 사항을 서버에 명확하게 지정한다HTTP 메소드
https://developer.apple.com/ Account -> Certificates, Identifiers & Profiles 로 들어간다처음 가입하면 셋업하는거 있는데 그거 다해야 나오는듯왼쪽 탭에 Keys 를 클릭한다Apple Push Notif
안녕하세요.안드로이드 웹뷰 관련 질문 있습니다..안드로이드반 개설된지 얼마 안됐지만 혹시나하는 마음으로 올려봅니다..ㅜㅜ문제안드로이드 웹뷰에서 자식창에서 부모창을 참조하지 못하는 문제가 습니다처음 자식창을 오픈했을때는 부모창을 잘 참조를 하는데,해당 페이지에서 다른 페
fcm 프로젝트 생성시 google-service.json을 안드로이드 모듈 루트에 넣어준다 (넣어서 어떻게 설정하는것까진 모르겠음)서버키 생성한다, admin sdk 프라이빗 키 이런거 관계없다 그냥 서버키 생성한다헤더값을 아래와 같이 정의하고 데이터를 https&#
1.클라이언트 앱에서 Sender ID를 이용해 등록을 요청한다2\. FCM은 클라이언트 앱에서 전달받은 SenderId를 토대로 Registration Token 을 클라이언트 앱에서 발급한다3\. 클라이언트 앱은 FCM에서 전달받은 Registration Token
lamp php 버전 5.3 같은 매우 레거시버전 개발할때 컨테이너에서 이미 lamp스택 구성되어있는거 가져와서 사용하면 편리하므로 도커 사용방법1도커에서 작업하면서 깃연동도 해당 컨테이너에서 한다문제라고 생각되는점: IDE사용할때 도커에 있는 소스 그대로 들고와서 사
질문:연관 매핑을 진짜 필요할때만 사용하라는 의미는 테이블간 관계가 연관되어 있더라도 코드로 작성할 때 필요한 순간이 아니라면 사용하지 마라는 의미인가요?예를 들어서, 회원-게시물로 연관되어 있는 테이블이 있다고 할때요, 연관 매핑을 정한다면 게시물->회원, 회원 ->
인간관계 문제 해결은무조건 밖이 아니라 안에서 해결보도록 해야한다문제의 원인이 거기있다. 그 사람과 해결을 보도록해야한다한발물러서든 맞서든말이다.드라마 미생에서 폭풍의 중심으로 가면 고요해진다는 명대사가 머릿속에 항상 맴돈다.지시자가 내려준 문제는지시자가 어떤것을 가
show variables like "%max_connections%";실행max_connections 최대 접속수 확인가능show status like "%connect%";Aborted_connects: MySQL 서버에 접속이 실패된 수Connections: 연결
2022-05-04 해킹건 보안그룹 anywhere로 되어서 근데 오픈하면 어쨋든 최소한 한국에는 다 열어둬야하는건데 어떻게 막을까? 지금은 회사,디딤돌만 되어있음 OAuth 회원가입후 메인으로 리다이렉트 안되던거 회원가입후 remember-me 발급하는 부
JPA 활용 프로젝트 (기존 greenery or 회사꺼 참고)휴대폰인증 구현 인터페이스를 활용해서 테스트를 해볼수 있지 않았었을까헤더에 넣어서 보내기 vs 쿠키에 넣어서보내기이 방식을 사용하면 토큰을 어딘가에는 저장을 해야한다 헤더에 넣기 option1. 로컬스토리지
- [외부 API를 이용하는 로직인경우 테스트하기가 힘들다 이럴때 "대역(Double)"을 사용하면 편리하다](https://velog.io/@kyukim/Chap06)
기능은 주어진 상황에 따라 다르게 동작한다예를 들어, 아래코드를 보자data.txt가 어떤 상황이냐에 따라 sum의 결과는 익셉션이 나야할 수도있다.이 구조에 너무 집착하지마라도움은 되지만, 모든 테스트 메소드를 이렇게 작성해야하는 건 아니다테스트 코드를 보고 이해하면
spring security 에서 remember-me 토큰을 수동으로 생성할 때 주의해야 할 점에 대해서 배웠다.
왜 처음에 들어갈때 설정해주는 remember() 통한 쿠키는 삭제가 안되고직접만드는건 삭제가 되는거지?직접만들때 key값이 config에서 rememberMe().key() 랑 같아야했다.image_314im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