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ira를 실무에 도입해보자 - 폭포수 / 애자일

몽루문·2024년 3월 6일
0

Jira

목록 보기
1/3
post-thumbnail

📝 Jira 를 실무에 도입해보자

최근에 재 취업이 이루어지면서 경력직으로 실무에 도입되게 되었다.
옛날부터 고치고 싶었던 육성으로 이루어지는 프로젝트 협업, 에버노트로 이루어지는 프로젝트 경과 및 결과 보고를
Jira를 도입하여 해결해보고자 실무에 Jira를 도입하려고 한다.
지금까지 진행되고 있던 폭포수 방법론과 애자일 방법론과 애자일 방법론의 칸반과 스크럼에 대해서도 간단히 정리해보려고 한다.




🚩 폭포수 방법론 ( Waterfal )

폭포수 방법론이란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 중 하나로서 개발 생명 주기를 폭포수가 내려오듯이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개발 방법론이다.

■ 특징

  • 폭포수 방법론 아래와 같은 단계를 거치며 특징은 아래와 같다.
    1. 계획 및 분석 ( Discover ) : Client의 요구분석 및 문제 발생 시 해결 방법을 찾는 단계이다.
    1. 설계 ( Design ) : 프로그램, DataBase의 구조 및 디자인 상세 설계가 진행되는 단계이다.
    2. 개발 ( Develop ) : 설계에 따른 코딩으로서 프로그램의 구현 및 모듈 테스트, 통합 테스트가 이루어지는 단계이다.
    3. 테스트 ( Test ) : 프로그램의 실질적인 검증 테스트가 이루어지는 단계이다.
    4. 운영 / 유지보수 ( Deploy / Maintenance ) : 배포 및 운영, Client의 요구에 따른 유지보수 보완이 이루어지는 단계이다.
  • 폭포수 방법론의 각 단계는 이전 단계의 결과물을 입력받아 다음 단계의 결과물을 출력하는 구조를 가진다.



🚩 애자일 방법론 ( Agile )

애자일 방법론이란 폭포수 방법론과 마찬가지로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 중 하나로서 하나의 프로그램을 만들 때 반복적이고 점진적으로 개발하는 방법으로서 하나의 프로젝트를 작은 단위로 반복 수행하여 완성하는 방법론이다.

■ 특징

  • 개발의 초기부터 Client의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가능한 부분부터 빠르게 개발하고, 그 과정속에서 지속적으로 피드백을 받아서 완성도를 높이는 방식으로 개발을 진행한다.
  • 각각의 단계는 계획 및 분석 - 설계 - 개발 - 테스트단계 를 작은 단위의 사이클로 분리하고 사이클이 종료되면 다음 사이클로 넘어가면서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 애자일 방법론의 종류는 대표적으로 칸반 ( Kanban ), 스크럼 ( Scrum ), 익스트림 프로그래밍 ( Extreme Programming, XP ) 이 존재한다.

■ 용어정리

용어설명
스프린트 ( Sprint )애자일 방법론 중 스크럼(Scrum)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고객 요구사항에 대한 개발을 정해진 기간 안에 완료하는 작업 주기를 의미한다.
백로그 ( Backlog )개발할 기능 또는 작업목록을 의미하며, 스프린트 전에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스프린트 동안 개발될 목록으로 사용된다.
스탠드업 미팅 ( Stand-up Meeting )스크럼(Scrum)에서 사용되는 미팅으로서 매일 아침 팀워들이 모여 진행 상황과 문제를 공유하는 미팅이다.
이터레이션 ( Iteration )고객의 요구사항을 단계적으로 수행하며, 반복적인 개발과 검증을 통해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것을 의미한다.
인큐베이션 ( Incubation )새로운 아이디어나 기능을 개발하기 전에 실험적으로 검증하는 단계를 의미한다.

📝 스크럼 ( Scrum )

애자일 방법론 중 하나로서 프로젝트를 진행하는데 있어서 유연성과 적응성 을 강조하는 방법론이다.

■ 특징

  • 작은 팀으로 구성되며, 각 팀원이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프로젝트 진행방식을 가진다.
  • 개발 주기를 일정 기간으로 나누어 각 주기마다 일정한 목표를 설정한다.
  • 각 주기를 팀원들끼리 빠르게 의사소통하여 문제를 해결하며 목표를 달성한다.

■ 스크럼의 진행과정

  1. 프로젝트를 완성하기 위한 백로그를 모두 작성
  2. 작성된 백로그를 검토하며 분류하고 우선순위를 지정
  3. 분류에 따라 스프린트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스프린트에 백로그를 등록
  4. 우선순위가 결정된 스프린트 목록을 짧은 기간안에 반복적으로 수행
  5. 프로젝트 완성

📝 칸반 ( Kanban )

개발 과정에서 사용되는 시각적인 작업 관리 도구 이다.

■ 특징

  • 개발 과정에서 발생하는 작업들이 카드 형태로 시각적으로 표시되어 있고, 작업 진행 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이 가능하다.
  • 각각의 작업이 어떤 상태인지 파악하는것이 쉬우므로 개발 과정에서 일어나는 문제를 빠르게 파악하여 대처가 가능하다.



🚩 폭포수 VS 애자일 ( Waterfall VS Agile )

폭포수 ( Waterfall )애자일 ( Agile )
계획 중심, 선형적인 개발 방법반복적이고 점진적인 개발 방법
단계별로 엄격하게 분류된 개발 단계반복적인 개발단계
초기에 명확하고 정의하고 나중에 변경이 어려움블랙박스에 관한 사항을 좀더 유연하게 대처가능하다.
개발 완료 후 전체 테스트개발이 미리 완료된 부분부터 테스트 가능
변경 및 오류 수정이 어렵다.변경 및 오류 수정이 상대적으로 유연하나 유지보수가 어려울 가능성이 높다.
대규모 프로젝트에 어울리며, 기간이 충분할 경우 좋다.소규모 프로젝트에 어울리나 요즘을 대규모 프로젝트에도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 마무리

폭포수 개발 방법론과 애자일 개발 방법론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다음부터는 본격적인 Jira 툴 사용에 대하여 다뤄보려고 한다.

profile
알고 있는 것을 정리하고, 새로운 것을 알기위해 끄적이는곳..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