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송 방식과 일반정보

이경영·2022년 9월 29일
0

HTTP

목록 보기
9/14

전송

: Transfer-Encoding

• Range, Content-Range

전송 방식 설명

  • 단순 전송
  • 압축 전송
  • 분할 전송
  • 범위 전송


단순전송

: content에 대한 길이를 알고 있을 때

압축전송

: Content-Encoding: gzip 절반 이상 줄어드는 경우 많음.

분할전송


:chunked 덩어리로 쪼개서 보낼것.

5byte 먼저보내고 Hello
5byte 먼저보내고 World
서버에서 5byte가 만들어지면 클라이언트로 hello을 먼저보냄
...
마지막에는 0으로 표시하고 \r\n을 쳐서 보내면 마지막이라는걸 표시
용량이 커서 한번에 쭉 보내면 기다려야하기에 분할해서 전송
이때는 Content-Length를 넣으면 안됨. (예상이 안됨)

범위 전송

: 중간에 절반정도 받았다가 끊긴경우 다시요청
: 범위 지정해서 요청할 수 있다. (나머지 절반 요청!)




일반 정보

From : 유저 에이전트의 이메일 정보

  • 일반적으로 잘 사용되지 않음
  • 검색엔진 같은 곳에서 주로 사용
  • 요청에서 사용
  • 내 사이트를 크롤링해갈때 검색엔진 담당자에게 연락할 수 있는 방법 필요

Referer : 이전 웹 사이트의 주소

  • 현재 요청된 페이지의 이전 웹 페이지 주소
  • A->B로 이동하는 경우 B를 요청할 때 Referer: A를 포함해서 요청
  • Referer를 사용해서 유입경로 분석가능
  • 요청에서 사용
  • 참고 : referer는 단어 referrer의 오타
  • 구글->hello 입력 후 들어갔을때

User-agent : 유저 에이전트 애플리케이션 정보

  •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 정보(웹 브라우저 정보, 등등)
  • 통계 정보
  • 어떤 종류의 브라우저에서 장애가 발생하는지 파악 가능
  • 요청에서 사용




Server : 요청을 처리하는 ORIGIN서버의 소프트웨어 정보

  • http 요청을 보내면 중간에 다양한 프록시 서버들을 거치게 됨 : 실제 나의 요청을 받아서 도착하는 마지막 서버(ORIGIN Server라고 함)
  • Server : Apache/2.2.22(Debian)
  • Server : nginx
  • 응답에서 사용

data : 메시지가 발생한 날짜와 시간

  • 응답에서 사용
profile
꾸준히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