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클레이튼의 디파이 서비스인 클레이스왑 거버넌스 문서를 읽어보고 거버넌스 적용 및 파악을 위한 목적
내용

거버넌스의 기본 명제
- KSP인플레이션(보상) 보다 더 많은 디플레이션(소각)을 통해 KSP의 가치상승으로 자생력을 강화한다.
- 가치상승이 없다면 원동력을 잃어가는것이다.
- 거버넌스는 가치상승을 위해 구축된 원칙과 체계 위에서 돌아간다.
클레이스왑 거버넌스의 도입
- 구성
- KSP 가치 상승
- DAO(스테이킹참여자)의 이익으로 직결
한국말 엄청 어렵게 써놨네...
(스테이킹을 하면 KSP를 리워드로 받고, 가격이 오르니 가진 KSP가격도 오르고)
- 다시 KSP의 가치상승(사람들이 스테이킹을 하려고 하니 물량이 묶이고 유동성이 줄어들어서 가치가 상승한다는말 같음)
- KSP 인플레이션 대상 세분화
- DAO에 의한 전체 KSP 인플레이션 조정
- 어떤 자산 유동성에 대해 KSP 보상을 분배할 것인가
DAO를 통한 KSP생태계 조절
한정된 KSP 자원을 어떤 자산 유동성에 분배하여 KLAYswap 내부로 흡수하고, 더 많은 거래 수수료를 발생시킬 것인가?
KLAYswap 거버넌스는 생태계 내의 유동성을 다음의 세 개의 레벨로 분류하고, KSP 생태계에 참여할 일반 자산을 DAO의 투표로 결정합니다.
KLAYswap 생태계 내의 유동성 분류
(1) KSP
- KLAYswap의 핵심 토큰으로, 건전한 유동성과 유기적 관계를 형성해 가치 상승 추구
(2) 대중적 자산 (A 레벨)
- 다수의 대형 거래소에서 지원되는 일정 시가총액 이상의 대형자산
KLAYswap 거버넌스는 대중적 자산 유동성에 KSP 인플레이션 보상을 전략적으로 분배함으로써 KLAYswap 내에 한층 더 넓고 깊은 대중적 거래 유동성을 빠르게 조성해 생태계 확장과 KSP 가치 상승을 도모합니다..
(3) 거버넌스 통과 자산 (B레벨)
- 일반 자산 중 거버넌스 투표를 통해 KSP 생태계 참여 자격을 획득한 자산
KLAYswap 거버넌스는 분권화 바탕의 혁신 개방성 (Open-system)을 바탕으로, 이러한 자산이 아직 대중 기반의 유동성과 커뮤니티는 확보하지 못했을지라도 초기 참여자와 유동성 순환을 통해 점차 유의미한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닌다는 점을 고려하여, 일반 자산 유동성까지도 포용해 KSP 인플레이션 보상을 분배합니다.
(4) 일반 자산
- KSP, 대중적 자산, 거버넌스 통과자산을 제외한 모든 자산
결론
그냥 투표로 디파이를 운영하겠다는글인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