톰캣 실행/설치 오류 발생했다면
1. 톰캣 계정 아이디 비번 모를 경우, 재설정
톰캣의 conf 폴더로 간다 -> tomcat-users.xml 파일을 연다 id=admid pw =반드시 바꿔라고 설정되어 있다. 바꾸려면 .txt 로 바꾸고 다시 .xml 로 확장자를 변경해 준다, 톰캣이 실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바꿨다면 중지 시키고 다시 실행시키자
2. 포트번호 바꾸는 방법
conf/파일에 있는 server.xml 을 메모장으로 연다, <Connector port="8080" protocal= 어쩌구 저쩌구 에서 port번호를 바꿀 수 있다, 톰캣을 끄고 바꿔저야함, .xml 로 확장자를 다시 돌려 놓자>
톰캣의 원리
- Manager App 으로 들어 왔다면 프로젝트가 있는걸 확인 할 수 있다
프로젝트는 tomcat 폴더 -> webapps 에서 확인 가능 하다
- 새로운 프로젝트를 webapps 에 만들 거라면 ROOT 폴더에 있는 WEB-INF를 그대로 복사해서
새로운 프로젝트에 붙여넣기 해야 한다
- 새로운 프로젝트에 t1.jsp 라고 새로운 파일을 만들면(WEB-INF와 동등한 관계)
localhost/프로젝트명/t1.jsp 하면 파일을 열 수 있다
톰캣의 동작 원리
-
tomcat -> work -> localhost 가면 만들어 둔 프로젝트를 찾을 수 있다
-
해당 프로젝트에 들어가면 실행한 파일의 t1._jsp.java 와 _jsp.class를 확인할 수 있다
1) 클라이언트가 도메인명을 날리면 도메인에 걸려 있는 ip주소가 날라간다
그걸 해주는 애가 DNS 이다 (도메인 네임 서버)
-
톰캣이 파일을 실행하면 Servlet이 먼저 실행되고(t1.jsp 의 객체가 메모리에 올라간다)
서버는 클라이언트에게 응답한다 (
t1_jsp라는 Servlet이 만들어진다, Servlet 안에 _jspService 메소드가 실행되고 이 메소드 안에 out.print(""))가 실제로 보여진다 /html 소스로 보여진다
클라이언트는 자바파일이 없으니 당연히 html로 가야지

자세한 내용은 JSP Servlet에서 다루니 그냥 그렇다고만 알고 넘어가자
새로운 개발 환경만들기(SWITCH WORKSPACE)
- OTHER 클릭 -> 새로운 워크스페이스만들기 클릭 -> 이름 적절하게 만들기 ->
Lauch 클릭 -> 이클립스는 자동으로 꺼졌다가 켜진다(환경변수 초기화)
- 이클립스가 다시 켜졌다면 workBench 클릭(오른쪽 상단) -> skin 도 전부 바꼈을 가능성이 높다 -> server 클릭 -> Apache폴더 선택 -> 해당 버젼의 톰캣 선택 -> next ->
톰캣의 설치 경로를 찾아 Browse 선택 -> tomcat9 폴더 찾아서 들어가지 말고 그냥 그것 폴더 선택 -> finish 하기
- 선택된 톰캣 더블 클릭 -> server Location 에서 내가 설치한 톰캣 선택 하려면 두번째거 선택 deploy path 를 webapps 로 바꾸기
- 왼쪽 상단에 저장 버튼 누르기
- window -> Preferences 선택 -> General -> Appearance -> 테마선택 가능
- 자동으로 새로 시작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