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제 풀이 이전에 Object와 Map의 효율적인 차이를 모르는 분들은 아래 게시물을 보고오면 큰 도움이 된다.
[본 문제는 정확성과 효율성 테스트 각각 점수가 있는 문제입니다.]
"스노우타운"에서 호텔을 운영하고 있는 "스카피"는 호텔에 투숙하려는 고객들에게 방을 배정하려 합니다. 호텔에는 방이 총 k개 있으며, 각각의 방은 1번부터 k번까지 번호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처음에는 모든 방이 비어 있으며 "스카피"는 다음과 같은 규칙에 따라 고객에게 방을 배정하려고 합니다.
예를 들어, 방이 총 10개이고, 고객들이 원하는 방 번호가 순서대로 [1, 3, 4, 1, 3, 1] 일 경우 다음과 같이 방을 배정받게 됩니다.
| 원하는 방 번호 | 배정된 방 번호 | 
|---|---|
| 1 | 1 | 
| 3 | 3 | 
| 4 | 4 | 
| 1 | 2 | 
| 3 | 5 | 
| 1 | 6 | 
전체 방 개수 k와 고객들이 원하는 방 번호가 순서대로 들어있는 배열 room_number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각 고객에게 배정되는 방 번호를 순서대로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 k | room_number | result | 
|---|---|---|
| 10 | [1,3,4,1,3,1] | [1,3,4,2,5,6] | 
입출력 예 #1
문제의 예시와 같습니다.
첫 번째 ~ 세 번째 고객까지는 원하는 방이 비어 있으므로 즉시 배정받을 수 있습니다. 네 번째 고객의 경우 1번 방을 배정받기를 원했는데, 1번 방은 빈 방이 아니므로, 1번 보다 번호가 크고 비어 있는 방 중에서 가장 번호가 작은 방을 배정해야 합니다. 1번 보다 번호가 크면서 비어있는 방은 [2번, 5번, 6번...] 방이며, 이중 가장 번호가 작은 방은 2번 방입니다. 따라서 네 번째 고객은 2번 방을 배정받습니다. 마찬가지로 5, 6번째 고객은 각각 5번, 6번 방을 배정받게 됩니다.
첫 번째 풀이이다.
이중 반복문을 적용했고, 알고리즘은 끝까지 유지했으나 실패 사유는
function solution(k, room_number) {
    const rooms = []
    const result = []
    room_number.forEach((wantRoom) => {
        const wantRoomNum = Number(wantRoom)
        // 원하는 방이 비어있을 경우
        if(rooms[wantRoomNum] === undefined) {
            result.push(wantRoomNum)
            rooms[wantRoomNum] = 1
        } else {
        // 원하는 방이 비어있지 않을 경우
            for(let i = wantRoomNum; i < k; i++) {
                // 원하는 방이 비어있다면 할당하고 escape
                if(rooms[i] === undefined) {
                    rooms[i] = 1
                    result.push(i)
                    break
                }
            }
        }
    })
    return result
}
다음 풀이로는 Union-find 알고리즘을 사용했다.
이론상 첫 풀이와 동일하며, 재귀 함수의 형태로 사용했으나 효율성은 사실상 큰 차이 없음
// Union-find 알고리즘의 find 함수 정의
// x: 찾고자 하는 방번호, rooms: 각 방번호와 다음으로 이동할 방 번호의 매핑
function find(x, rooms) {
    // 처음 방문한 방이라면, 후속 방으로 현재 방의 바로 다음 방 지정하고 현재 방 반환
    if (rooms[x] === undefined) {
        rooms[x] = x + 1;
        return x;
    }
    // 이미 점유된 방인 경우, 다음으로 이동할 방 번호를 찾아 반환
    return rooms[x] = find(rooms[x], rooms);
}
function solution(k, room_number) {
    const rooms = {}; // 방의 점유 상태를 저장할 객체
    const result = []; // 결과를 담을 배열
    // 각 고객(wantRoom)을 처음부터 살펴보며 방을 배정
    room_number.forEach((wantRoom) => {
        // wantRoom(원하는 방)을 입력으로 하는 배열 생성
        const assignedRoom = find(wantRoom, rooms);
        // 결과 배열에 방을 추가
        result.push(assignedRoom);
    });
    // 배정된 방 번호 배열을 반환
    return result;
}
마지막 풀이로 이전과 대부분 동일하나 두 가지 차이점이 생겼다
Map은 데이터의 입력 및 조회가 Object보다 훨씬 빠르다.
Map 애용할듯
// Union-find 알고리즘의 find 함수 정의 (경로 압축 포함)
// x: 찾고자 하는 방번호, rooms: 각 방번호와 다음으로 이동할 방 번호의 매핑(Map 객체)
function find(x, rooms) {
    // 처음 방문한 방이라면, 후속 방으로 현재 방의 바로 다음 방 지정하고 현재 방 반환
    if (!rooms.has(x)) {
        rooms.set(x, x + 1);
        return x;
    }
    // 이미 점유된 방인 경우, 다음으로 이동할 방 번호를 찾아 반환
    // 경로 압축: 이전에 찾은 방번호를 캐시하여 나중에 다시 방문할 때 빠르게 찾을 수 있도록 함
    rooms.set(x, find(rooms.get(x), rooms));
    return rooms.get(x);
}
function solution(k, room_number) {
    const rooms = new Map(); // 방의 점유 상태를 저장할 Map 객체
    const result = []; // 결과를 담을 배열
    // 각 고객(wantRoom)을 처음부터 살펴보며 방을 배정
    room_number.forEach((wantRoom) => {
        // wantRoom(원하는 방)을 입력으로 하는 배열 생성
        const assignedRoom = find(wantRoom, rooms);
        // 결과 배열에 방을 추가
        result.push(assignedRoom);
    });
    // 배정된 방 번호 배열을 반환
    return result;
}
직접 만드신 홈페이지가 너무 예뻐요! 자극 받고 갑니다~~ 화이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