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에서 모든 함수와 메소드에 대한 테스트 케이스를 작성하여 의도된대로 잘 동작하는지 검증하는 절차이다.프로그램을 작은 단위(모듈)로 나눠 각 단위가 전확하게 동작하는지 검사함으로써 프로그램의 안정성을 높인다. 가짜 프로그램, 객체(Mock Object)를 만들어
spring profile 처럼 react에서도 local, dev, prod 환경에서 환경변수를 변경하여 build를 할 수 있다. 환경변수는 앞에 REACT_APP으로 시작해야 한다. 1. .env 생성 local 환경은 .env.local 을 사용할 수 있게 파일
React.js에서 검색을 할 때 버튼을 두지 않고 text-field에 검색어를 치면 바로 필터링이 되는 기능을 구현해보기로 했다. 먼저 검색하려는 단어를 state변수로 생성한다. text-field를 만들고 onChange 메소드를 연결하여 위에 state변수를
React 프로젝트를 git에서 clone받아 실행할때 가끔 Error \[ERR_PACKAGE_PATH_NOT_EXPORTED]: No 'exports'이 오류가 발생해서 해결방법을 남기기로 했다.찾아보니 node 버전을 낮추는 방법도 있는거 같지만 패키지를 최신 버
JSX란 Javascript의 확장 문법 : Javascript + XML/HTML 자바스크립트에서 HTML을 작성하듯이 비슷하게 작성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 브라우저에서 식행하기 전에 바벨을 사용하여 일반 자바스크립트 형태의 코드로 변환된다. 사용법 1. 반드시
Spring boot JPA Posgre를 사용할때 프로그래밍으로 데이터를 삽입, 삭제 하지않고 Datagrip으로 강제로 삽입, 삭제 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 경우 새로 프로그래밍으로 데이터를 삽입하려 할때 ERROR: duplicate key value viol
Spring boot에서 RestTemplate를 사용하여 OpenAPI를 사용하던 중 1. return되는 값이 너무 많았고, OpenAPI의 2. retrun값의 Content-Type이application/json이 아닌 text/plain; charset=utf
helm은 쿠버네티스 패키지 매니저이다. 우리가 알고있는 패키지 매니저는 apt, yum, pip, npm 등이 있다. 이런 툴들과 비슷하게 플랫폼의 패키지를 관리한다. helm을 이용하여 원하는 패키지를 쿠버네티스에 손쉽게 설치할 수 있다. helm 패키지 또한 YA
작동 원리 테라폼에는 3가지의 형상이 존재한다. Local 코드 : 현재 개발자가 작성/수정하고 있는 코드 Cloud 인프라 : 실제로 클라우드에 배포되어 있는 인프라 Backend 상태 : 가장 최근에 배포한 테라폼 코드 형상 중요한 점은 Cloud 인프라와 Back
RDS를 구축할때 Password를 AWS SecretsManager를 사용한다고 한다. 이때 Terraform으로 Secrets Manager를 생성하는 tf 코드이다.
코드형 인프라(IaC)는 인프라 구성을 소프트웨어를 프로그래밍하는 것처럼 코드를 이용해 구축, 관리, 프로비저닝하는 방식을 말한다. 일관되게 반복되는 과정을 정확하고 잘 짜여진 코드를 통해 자동화하면 빠르게 구성/변경할 수 있고 실수를 줄일 수 있다. 테라폼은 프로그램
EKS Ingress설정중에 aws-load-balancer-controller를 배포하던 중 오류가 발생했다. 문제는 나의 클러스터 버전은 1.22인데 1.19+이상 버전은 aws-load-balancer-controller 버전을 v2.4.2를 사용해야 한다. Gi
kubectl 명령어중 자주 사용하게 될 것들을 정리해놓고 참고하기로 했다. kubernetes cluster, context, user의 정보 → kubectl config view 컨텍스트 확인 → kubectl config get-contexts 컨텍스트 변
EKS로 MSA를 구성할때 모니터링, 로깅 관련 기술스택을 찾던중 Outer Architecture중 Telemetry에 대한 개념이 나와 정리하게 되었다.MSA에서 여러개의 마이크로 서비스가 분산환경에서 운영되기 때문에 서비스들의 상태를 일일이 모니터링하고 이슈에 대
JBoss, Tomcat, Undertow등을 살펴보다 너무 모르는 개념들이 많아 자바 진영에대한 개념들을 정리하게 되었다. > #### J2EE (Java 2 Enterprise Edition) == Java EE 자바 기술로 기업환경의 애플리케이션을 만드는데 필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컴포넌트) 마스터 노드 (Control Plane Component) 워커 노드 (Node Components)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는 마스터 노드와 워커 노드로 구분된다. > 마스터 노드 (Control Plane Component) 마스터
쿠버네티스 공식 문서와 각 블로그들을 보고 쿠버네티스를 공부하는 내용입니다.쿠버네티스(Kubernetes)란 Google에서 개발한 쿠버네티스(Kubernetes)는 오픈소스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플랫폼으로, 컨테이너화된 애플리케이션의 배포, 확장 및 괄리를 자동화하
Amazon ECS란 Amazon Elastic Container Service(Amazon ECS)는 AWS의 컨테이너 관리 서비스이다. ECS를 사용하여 크러스터에서 컨테이너를 실행, 중지 및 관리할 수 있다. > ECS 구성요소 클러스터 작업 또는 서비스의
spring profile을 application.properties로만 하다가 이번엔 application.yml로 설정해보기로 했다.spring boot 2.4 버전 이후 설정 파일에 변화가 있다고 한다.spring.profiles 가 deprecated 되고 sp
AWS API Gateway와 Kong API Gateway를 실습하며 간단한게 REST API를 구축하는 방법을 남긴다.개인적인 공부, 실습, 프로토타입을 만들때 사용하면 좋은것이 json-server이다. 3개의 endpoint가 있다. 차례대로 요청해보면 데이터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