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simple terms, the Big-O notation describes how good is the performance of your algorithm as the input data grows larger.
input 데이터의 크기와 코드실행시간의 관계
어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은 매우 다양한데,
어떤게 최선의 방법일지 어떻게 알까?
알고리즘 간에 효율성을 비교하기 위해
빅오(big-O) 표기법을 사용한다.
알고리즘의 복잡도를 판단하는 척도는
시간 복잡도와 공간 복잡도 가 있다.
시간 복잡도는 알고리즘 내 연산의 횟수와 관계가 있다.
면접에서도 많이 나오는 빅오 표기법
ex. 이 알고리즘의 빅오 표기법을 말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