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 프로그래밍에 있어서 3가지 중요한 요소가 있다.
나는 그것을 V . D . A 이라고 한다.
변수 (V) :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공간의 이름
자료형 (D) : 변수의 크기와 어떤 종류의 데이터를 저장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
할당 (A) : 변수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
Q. 자동차의 정보를 저장 하려고 한다 변수를 만들어 보시요.
model = BMW528i
distance = 100000km
price = 90000000
company = BMW
type = AType
auto = true
year = 2010
gasmi = 12.5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tring model = "BMW528i";
System.out.println("model = " + model);
String company = "BMW";
System.out.println("company = " + company);
long distance = 1000000L;
System.out.println("distance = " + distance + "Km");
int price = 90000000;
System.out.println("price = " + price);
char type = 'A';
System.out.println("type = " + type);
boolean auto = true;
System.out.println("auto = " + auto);
int year = 2023;
System.out.println("year = " + year);
float gasmi = 12.5F;
System.out.println("gasmi = " + gasmi);
}
할당 : 변수에 지정된 데이터타입에 맞게 데이터를 저장(대입)하는 행위
Q. 변수 a에 10을 저장하고 a에 저장된 값을 변수 b에 저장하고 변수 b에 10을 곱하여 변수 c에 저장하시요.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a = 10;
int b, c;
b = a;
c = b*10;
System.out.println("c = " + c);
}
초기화 :변수를만들고난후연산을하기전에값을저장하는행위
Q. sum이라는 변수에 1부터 5까지의 수를 누적해서 출력 하시요.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sum = 0;
sum = sum +1;
sum = sum +2;
sum = sum +3;
sum = sum +4;
sum = sum +5;
System.out.println("sum = " + sum);
}
심볼 테이블이란?
변수를 관리하는 테이블?
변수가 만들어지면 변수를 관리하는 테이블에 변수 정보가 저장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