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한님의 스프링 핵심 원리 - 고급편 수업을 듣고 있던 중에 LogTraceBasicHandler에 필터링을 추가한다는 말을 듣고 이전 강의에서 말씀해주셨던 프록시 체이닝이 생각이 나서 "FilterHandler 이후에 LogTraceHandler 로 이어지는 프록시
예제의 편의를 위해 위와 같은 약어를 사용하겠다.오늘 하루동안 격리성 수준을 이해하기 위해 부단히도 애를 먹었다. 아직까지 전부 제대로된 이해를 하진 못했지만, 이 부분은 코드를 직접 작성하면서 경험을 하면서 익혀나가야 할 것 같다. 많이 부족해보일 수도 있겠지만, 이
트랜잭션이란, DB쿼리의 최소한의 단위를 이야기한다. 하나의 트랜잭션에 여러개의 쿼리문이 존재할 수 있으며, 모두 성공하면 모든 쿼리문이 성공적으로 영구히 적용되며, 중간에 어떠한 이유로든 실패하게 된다면 모든 쿼리문이 취소되어 트랜잭션이 시작되기 전으로 되돌아간다.
예외는 크게 Checked Exception, Unchecked Exception로 나뉜다.여기서 말하는 “체크”의 주체는 프로그래머가 아닌 컴파일러이다. Checked Exception은 컴파일러가 체크하고 만약 누락되었다면 컴파일이 되지 않는다. 반면에 Unchec
트랜잭션 매니저가 커넥션의 획득, 커밋 및 롤백, 커넥션의 반납을 추상화했다면, 트랜잭션 템플릿은 거기서 한발자국 더 나아가 비즈니스 로직을 제외한 트랜잭션의 시작과 끝을 숨겨놓은 객체를 의미한다.생성자를 통해 트랜잭션 매니저를 주입받는다.execute()action
공식 Docs트랜잭션의 동작방식에 영향을 주는 네 가지 속성을 정의한다.트랜잭션 전파란, 트랜잭션 A안에서 트랜잭션 B가 호출되는 경우 진행되는 과정을 말한다.기본값부모 트랜잭션이 있다면 해당 트랜잭션에 합류한다.트랜잭션 B가 성공하더라도 트랜잭션 A가 실패하면 트랜잭
JDBC에서 기본적으로 지원하는 DriverManager는 각 연결마다 새로운 커넥션을 만든다. 그런데, 매 사용자의 요청마다 새로운 커넥션을 만들어서 데이터를 가공한다면 매우 불편할 것이다. 게다가 이 커넥션의 비용은 요청의 크기에 비례하지 않고 고정적으로 발생하며,
Java Database ConnectivityJava언어에서 Database와 통신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Java 표준 API이다.인터페이스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는 없지만, 프로그래머는 JDBC를 이용해 코드를 작성하고 다양한 DBM
Multipart란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파일을 보낼 때 사용하는 Content Type이다.클라이언트에서 보내는 요청을 찬찬히 뜯어보면 boundary=-----XXX 로 되어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각 Form 데이터의 경계를 나타내며, 이 경계를 기준으로
컨버터을 상속하여 구현하더라도 컨트롤러에서 new Converter로 선언하여 사용하면 메서드로 빼서 구현한 것과 차이가 없다. ConversionService는 컨버터의 구현체를 등록하고 사용하는 것을 분리하여 클래스간의 의존성을 낮출 수 있게 도와준다. Conver
Converter는 보통 타입 변환을 제공하는데, 이것에 더해 어떤 숫자에 자릿수마다 , 를 붙이고 싶거나 날짜 정보를 원하는 방식으로 변환하고 싶을 때는 컨버터를 사용하기에는 부적절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 바로 Formatter이다. 즉, 포맷터는 컨
기본적으로 클라이언트에서 오는 요청은 문자열의 형태로 전송된다. 이 때문에 코드를 작성할 때 먼저 문자열로 전송된 데이터를 원하는 형태에 맞게 변환을 진행해야 했다. 스프링은 이 과정을 추상화하여 제공하는데, 우리가 그동안 컨트롤러를 작성할 때 @ModelAttribu
디스페처 서블릿은 컨트롤러에서 발생한 예외를 처리하기 위한 ExceptionResolver를 제공한다.여기서 처리되지 않고 WAS까지 예외가 전달되면 뷰 템플릿을 찾기 위해 내부적으로 다시 컨트롤러까지 호출되는 일이 발생한다. 이는 컨트롤러는 물론, 필터와 인터셉터까지
요청 → WAS(톰캣) → 필터 → 서블릿 → 인터셉터 → 컨트롤러(예외 발생)컨트롤러 → 인터셉터 → 서블릿 → 필터 → WAS (예외 전달)WAS /error 재요청 → 필터 → 서블릿 → 인터셉터 → BasicErrorController → 인터셉터 → 뷰 리졸버
HTTP 요청 → WAS(톰캣) → 필터 → 서블릿 (디스페처 서블릿) → 인터셉터 → 컨트롤러인터셉터는 필터와 마찬가지로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컨트롤러 호출 전에 처리하여 컨트롤러마다 동일한 로직을 처리 할 수 있게 지원해주는 기능이다.필터는 서블릿에서 제공하는 기술인
HTTP 요청 → WAS(톰캣) → 필터 → 서블릿 (디스페처 서블릿) → 컨트롤러필터란,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중간에 낚아채서 로직을 처리하기 위해 제공되는 기능이다.필터는 여러 체인으로 구성되며, 프로그래머가 정한 순서에 맞게 해당 로직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do
서버의 Session Storage를 만들어 Key-Value 형태로 저장되는 자료구조를 뜻한다.쿠키는 브라우저에 저장되므로 Value가 String Type으로 정해져 있는데 반해, 세션은 Object Type을 이용해 자바의 모든 객체를 담을 수 있도록 구현된다.이
클라이언트의 Cookie Storage에 Key-Value 형태로 저장되는 자료구조를 뜻한다.서버에서 클라이언트에게 응답을 줄 때 Set-Cookie Header에 담아서 전달하게 되면, 브라우저는 Cookie Storage에 저장하게 된다.저장된 쿠키는 클라이언트가
Spring은 메시지, 국제화 기능을 제공하여 다음의 편의성을 제공했다.메시지 기능을 이용해 자주 등장하는 메시지를 하드 코딩 하지않고 별도의 파일로 분리하여 수정을 용이하게 했다.국제화 기능을 이용해 각 국가별로 다른 언어로된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하였다.그런데
JSR-380에 등재된 Bean Validation 2.0 이라는 표준 기술이다.즉, 검증을 위한 애노테이션과 여러 인터페이스를 어떻게 구현해야하는지 가이드가 기술되어 있다.Bean Validation을 구현한 구현체중 일반적으로 Hibernate Validator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