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콜라 문제 : 문제 링크
문제 분석
- 오래전 유행했던 콜라 문제가 있다. 콜라 문제의 지문은 다음과 같다.
정답은 아무에게도 말하지 마세요.
콜라 빈 병 2개를 가져다주면 콜라 1병을 주는 마트가 있다. 빈 병 20개를 가져다주면 몇 병을 받을 수 있는가?
단, 보유 중인 빈 병이 2개 미만이면, 콜라를 받을 수 없다.
- 문제를 풀던 상빈이는 콜라 문제의 완벽한 해답을 찾았다. 상빈이가 푼 방법은 아래 그림과 같다. 우선 콜라 빈 병 20병을 가져가서 10병을 받는다. 받은 10병을 모두 마신 뒤, 가져가서 5병을 받는다. 5병 중 4병을 모두 마신 뒤 가져가서 2병을 받고, 또 2병을 모두 마신 뒤 가져가서 1병을 받는다. 받은 1병과 5병을 받았을 때 남은 1병을 모두 마신 뒤 가져가면 1병을 또 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상빈이는 총 10 + 5 + 2 + 1 + 1 = 19병의 콜라를 받을 수 있다.
- 문제를 열심히 풀던 상빈이는 일반화된 콜라 문제를 생각했다. 이 문제는 빈 병 a개를 가져다주면 콜라 b병을 주는 마트가 있을 때, 빈 병 n개를 가져다주면 몇 병을 받을 수 있는지 계산하는 문제이다. 기존 콜라 문제와 마찬가지로, 보유 중인 빈 병이 a개 미만이면, 추가적으로 빈 병을 받을 순 없다. 상빈이는 열심히 고심했지만, 일반화된 콜라 문제의 답을 찾을 수 없었다. 상빈이를 도와, 일반화된 콜라 문제를 해결하는 프로그램을 완성. 콜라를 받기 위해 마트에 주어야 하는 병 수 a, 빈 병 a개를 가져다 주면 마트가 주는 콜라 병 수 b, 상빈이가 가지고 있는 빈 병의 개수 n이 매개변수로 주어진다. 상빈이가 받을 수 있는 콜라의 병 수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
- 1 ≤ b ≤ a ≤ n ≤ 1,000,000
- 정답은 항상 int 범위를 넘지 않게 주어진다.
- 상빈이가 받을 수 있는 콜라의 병 수를 저장할 정수형 변수 answer을 0으로 초기화. while loop의 조건식을 n >= a로 설정하여 n이 a이상일 동안 반복하고, n에서 a를 나눈 몫에 b를 곱한 값을 answer에 저장. 남은 콜라병을 고려하여 n에서 a를 나눈 몫에 b를 곲한 값에 n에서 a로 나눈 후 나머지를 더한값을 n에 저장. loop 탈출 후, 최종적으로 저장된 answer을 return
풀이
using namespace std;
int solution(int a, int b, int n) {
int answer = 0;
while(n >= a) {
answer += n / a * b;
n = (n / a * b) + (n % a);
}
return answe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