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머스 / C++] 과일 장수

YH·2024년 1월 5일
0

문제

과일 장수 : 문제 링크


문제 분석

  • 과일 장수가 사과 상자를 포장하고 있다. 사과는 상태에 따라 1점부터 k점까지의 점수로 분류하며, k점이 최상품의 사과이고 1점이 최하품의 사과이다. 사과 한 상자의 가격은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 한 상자에 사과를 m개씩 담아 포장한다.
  • 상자에 담긴 사과 중 가장 낮은 점수가 p (1 ≤ p ≤ k)점인 경우, 사과 한 상자의 가격은 p * m 이다.
  • 과일 장수가 가능한 많은 사과를 팔았을 때, 얻을 수 있는 최대 이익을 계산하고자 한다.(사과는 상자 단위로만 판매하며, 남는 사과는 버린다) 예를 들어, k = 3, m = 4, 사과 7개의 점수가 [1, 2, 3, 1, 2, 3, 1]이라면, 다음과 같이 [2, 3, 2, 3]으로 구성된 사과 상자 1개를 만들어 판매하여 최대 이익을 얻을 수 있다.
  • (최저 사과 점수) x (한 상자에 담긴 사과 개수) x (상자의 개수) = 2 x 4 x 1 = 8
  • 사과의 최대 점수 k, 한 상자에 들어가는 사과의 수 m, 사과들의 점수 score가 주어졌을 때, 과일 장수가 얻을 수 있는 최대 이익을 return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

  • 제한 사항

  • 3 ≤ k ≤ 9
  • 3 ≤ m ≤ 10
  • 7 ≤ score의 길이 ≤ 1,000,000
  • 1 ≤ score[i] ≤ k
  • 이익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는 0을 return 해주세요.
  • 배열의 내림차순 정렬을 위해 sort() 함수를 사용할 것 이므로 algorithm 헤더를 포함
  • 과일 장수가 얻을 수 있는 최대 이익을 저장할 정수형 변수 answer을 0으로 초기화. sort() 함수를 사용하여 배열 score을 내림차순으로 정렬하고, for loop의 초기화식을 i = m - 1, 증가식을 i += m으로하여 상자별 가장 낮은 점수의 사과만 순회하도록 설정. 상자의 점수와 한 상자에 들어있는 사과의 수 m를 곱한값을 answer에 더하고 저장하는 것을 반복. loop 탈출 후, 최종적으로 저장된 answer을 return

algorithm 헤더의 sort() 함수 사용법
void sort(T start, T end, Compare comp); //comp 인자가 공란이면 오름차순 정렬

  • sort(v.begin(), v.end(), compare); // 사용자 정의 함수 사용
  • sort(v.rbegin(), v.rend()); // 내림차순
  • sort(v.begin(), v.end(), greater<자료형>()); // 내림차순
  • sort(v.begin(), v.end(), less<자료형>()); // 오름차순

풀이

#include <vector>
#include <algorithm>

using namespace std;

int solution(int k, int m, vector<int> score) {
    int answer = 0;
    
    sort(score.rbegin(), score.rend());
    for(int i = m - 1; i < score.size(); i += m) {
        answer += score[i] * m;
    }
    return answer;
}
profile
Keep Recycling Your Dreams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