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m element는 font-family를 상속받지 않는다.그래서 body에 font-family를 주어도 글꼴이 변하지 않았음...;; Wow 첨알았다!! 이런식으로 각각 써주어야 한다.
리액트로 투두를 만들던 도중,뒤로가기를 할 수 없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오매?당연히 될줄알았는데... 아니였다!! 😱어떤 동작을 해도 react-router-dom을 통해 쿼리를 설정해 놓지 않는 한은 url이 바뀌지가 않는다.흠.사실 뒤로가기를 내가 스택을 사용해서
그동안 별 품이 안들고 잘 했었는데갑자기 문제에 부닥쳤다...setState('')해도 input 내의 값이 초기화되지 않는다...!!!!아래는 내 코드... 원래 useInput으로 title을 다루다가 title과 content를 함께 객체로 다루고 싶어서 구조를
리덕스... 봐도봐도 써봐도 모르겠다... 허허최근 유데미에서 강의를 구매했는데, 리덕스 부분을 먼저 보고 이에 대해 정리를 좀 해보려고 한다.👉 스타트!리듀서 함수는 항상 두개의 인자를 받는다.하나는 기존의 상태(old state), 하나는 발송된 액션(dispat
천오백명의 사람이 프리온보딩 프론트엔드 과정을 신청했다고 한다.하지만 정작 수업에 들어온 인원은 600명이 안됐다.하루에 세시간밖에 안되는데 커리큘럼이 굉장히 알차다.주제도 다양하고 개발자로서 취업해보지 않은 내 입장에서 생각해본 적 없는 이야기들을 많이 해주셨다.다만
useEffect의 의존성 배열이 \[] 이렇게 빈배열로 되어있다.처음 렌더링될때 fetchCharacters()가 실행되고 값이 들어간다.그래서 맨 처음에는 값이 없을 수밖에 없다. 개발하다보면, 콘솔로 찍어보면 처음에는 \[] 이렇게 나오다가 나중에 제대로 값이 다
Todo 앱에 바로 적용해보았다.useState, useEffect를 사용해서 구현.처음 렌더링이 되면 데이터가 fetch된다.useQuery를 사용하니 useEffect, useState를 쓰지 않아도 된다.코드가 직관적이고 간단하다.
useQuery는 get할때 사용하는 메서드였다.create했을때 리스트가 업데이트되지않아서 당황했음.refresh를 삭제해서 그런거겠지만... 리액트쿼리에 이부분을 위한 메서드가 있을거라고 생각했다.찾아보니 useMutation이라는 것을 사용해서 CUD를 하고, 여
타입스크립트에 이어서 리액트쿼리까지 투두 앱에 적용해보았다.그런데 리액트쿼리를 쓰면서 기시감이 느껴졌다.이거... 리덕스랑 똑같은거같은디?결론적으로 리덕스는 상태관리를 위해 쓰는데, 리액트쿼리는 이 상태 에서 서버상태를 분리해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이렇게 UI sta
한국어로 된 공식 홈페이지도 있지만 영어 홈페이지보다 업데이트가 느리다. 영어 홈페이지에서 번역하면서 읽는 게 낫다!몇몇 귀동냥과 프로젝트 경험 결과 공식 홈페이지가 제일이더라. 그래서 리액트 홈페이지를 열심히 뒤져볼 생각이다.리액트 홈페이지에 가보면 메인 페이지에 제
컴포지션을 위한(중복을 배제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
리액트 훅은 함수형 컴포넌트에서 상태관리 및 라이프사이클 메서드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기존에는 클래스형 컴포넌트에서만 상태 관리를 할 수 있었지만, 함수형 컴포넌트에서도 상태 관리를 할 수 있게 되었다. 이를 통해 코드의 가독성과 재사용성이 좋아졌으며, 컴포넌트의 구현
리액트에서 컴포넌트의 생명주기는 컴포넌트가 생성되고, 업데이트되고, 소멸될 때 일어나는 일련의 이벤트들을 의미한다. 이러한 이벤트들은 특정 시점에 미리 정의된 메서드들을 호출하며, 이러한 메서드들을 라이프사이클 메서드라고 한다.리액트의 컴포넌트 생명주기는 크게 세 가지
Redux는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이다. Redux는 컴포넌트 간 데이터 공유를 쉽게 해주며, 상태를 예측 가능하게 만들어 주는 것이 목적이다.Redux의 주요 개념 중 하나는 "store"이다. Store는 어플리케이션 전역에서 상태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객체이다. St
네이버 지도 api 예제 https://navermaps.github.io/maps.js.ncp/docs/tutorial-2-Getting-Started.html 로그인 api와 달리 지도 api는 공식문서에 설명이 잘되어있다. 그리고 react로 네이버맵을 연동하
버전 : react-router-dom@^6.3.0내가 기존에 작업하던 방식프리온보딩을 통해 알게된 방식. v6.4에 추가되었다.1\. BrowserRouter로 감싸지 않는다.RouterProvider를 import해서 router를 제공하면 됨.2\. 이때 Crea
그동안은 CRA로 리액트 프로젝트를 만들었는데, Vite라는 것을 알게되었다.CRA보다 아주 빠르고 가벼운 것 같다.이름도 프랑스어로 빠르다는 뜻이라고 한다.홈페이지서 보니 react보다 vue를 타겟으로 하는 건가 싶다. 예시가 vue로 되어있네. (헉 알아보니 vu
아이디어가 하나 생각나서.. 어플로 만들고싶지만 플러터 공부가 필요해서 일단은 리액트로 시험삼아+복습겸 작은 프로젝트를 하나 하려고 한다.대략 학생과 선생님의 원활한 소통을 위한 어플인데학생과 선생님을 타입으로 정의하다보니 필요 정보가 꽤 다르다고 느꼈다.그래서 생각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