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지스퍼블리싱 서평단으로 선정되어 도서를 지원받아 속직하게 쓴 글입니다.
나는 플러터 개발자인데, 플러터만으로는 요구사항에 맞게 개발할 수 없다...
플러터 분발해라....
여튼 최근 회사에서 잠금화면 기능을 만들라고 해서, 몇달전에 찾아봤었고
다른 개발 하느라고 막 미뤄 두다가 이제 더 미룰 수 없는 때가 오고 말았다.
근데 찾아보니 플러터만으로는 구현할 수 있는 것이 아니었고, 네이티브 개발을 해야 할 수밖에 없더라. 그래서 코틀린 공부를 해야하나 어째야하나 하고 있었는데, 마침 이지스 퍼블리싱에서 서평 이벤트를 하고 있었다.
대략 플러터 개발자인데 안드로이드 공부를 해야해서 마침 알아보는 중이엇다 이런 식으로 나불나불 했었던 것 같음.
그리고 선정되었다!! ㅎㅎㅎㅎ
사실 그간 일이 많아서 잘 보지 못했고, 필요한 부분만 읽었다.
근데 내가 잠금화면 기능을 쓰기 위해 필요한 기능에 대한 건 딱히 없는 것처럼 보인다...
브로드캐스트 리시버 쓰는 배터리 정보 앱 만들기가 그나마 비슷한 느낌??
차근차근 해보면 더 잘 이해되고 눈에 들어올 것 같은데...
우선은 기본적인 부분까지만 읽어보았다.
액티비티, 서비스, 콘텐츠 프로바이더, 브로드캐스트 리시버 이 네개의 컴포넌트로 구성되어있다는것.
항상 어쩔수없이(?) 안드로이드 app을 봐왔었는데 어떤 코드가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몰라서 답답했었다.
안드류이드 앱의 기본 구조 정도만 봐도 전체적인 그림이 그려진다. 나처럼 급하다면 이부분 먼저 보고 필요한 부분만 봐도 충분할 것 같다.
내용은 많지만 핵심만 있고, 설명이 명확하다. 사실 나와 같은 경우에는 기본적으로 앱 개발을 하고있기 때문에 크게 개발이 어렵지않을 듯 하다.
내가 정말 어렵다고 느낀 부분은 버전을 맞추는 부분인데,,, ndk 버전, java 버전 등,,,
이와 같은 내용에 대해서는 딱히 내용이 없었던 것 같다. 개발하다보면 버전 때문에 빌드가 안되는 일들이 종종 생기는데 여기서 가장 큰 어려움을 느낀다...
기본적인 코드의 의미를 알 수 있어서 이제 에러 때려잡는데 큰 도움이 될 것 같다. 무지성 ai 검색에서 유지성 ai 검색 정도로ㅋㅋㅋㅋㅋ 업글할 수 있을 듯.
이 부분이 특히 내가 도움을 받을만한 부분인 것 같다. 디바이스의 상태를 감지하고 내가 원하는 동작을 시작하도록 하는 것.
그리고 이부분...!!! 참고해서 이번달 내에는 내가 원하는대로 동작을 구현하고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