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인프런의 자바 개발자를 위한 코틀린 입문의 영상을 보고 공부하면서 정리하는 글입니다.javaKotlin코틀린에서는 모든 변수에 수정 가능 여부(var/val)를 명시해주어야합니다.자바에서는 타입을 꼭 명시하지만 코틀린에서는 타입을 의무적으로는 작성하지 않아도
이 글은 인프런의 자바 개발자를 위한 코틀린 입문의 영상을 보고 공부하면서 정리하는 글입니다.자바의 코드 먼저 확인해보겠습니다. 아래의 코드는 안전한 코드일까요?javaString 변수에 null이 들어올 수도 있기 때문에 안전하지 않습니다.만약 위의 코드의 str변
Intro 회사를 이직하면서 코틀린을 공부하게되었습니다. 이 글은 자바와 코틀린을 비교하면서 코틀린을 공부하던 중 Checked Exception에 대하여 자바와 코틀린의 처리 방식이 다르다는 것을 알게되었고 코틀린의 Checked Exception의 처리 방식에 대한
자바 개발자를 위한 코틀린 입문 강의에서 9강 코틀린에서 클래스는 다루는 방법을 듣던 중 궁금한 점이 생겨 글을 작성하게되었습니다. 강의 내용에 따르면 코틀린에서는 기본적으로 부생성자보다는 default parameter를 권장한다고 하였습니다. 그리고 어쩔 수 없이
이 글은 인프런의 자바 개발자를 위한 코틀린 입문의 영상을 보고 공부하면서 정리하는 글입니다. 목차 scope function이란 무엇인가? scope function의 분류 scope function이란 무엇일까? 이 코드를 리팩토링 해보겠습니다. 아래와 같이